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Self-employment Exits - Focusing on why they exit from their owned business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 요인 분석: 자영업 이탈 이유를 중심으로

  • 문상균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
  • 박세정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20.04.30
  • Accepted : 2020.08.12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among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For the analysis, we used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from the first(2006) to the sixth(2016) and vocational data, which is a retrospective data surveyed in 2007. Among the reasons for exiting the self-employment, we find that the group that went out of their businesses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have economic difficulties after the exit. Therefore,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considering the exit reason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The analysis model used a 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 that defined the only exit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as failure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gender, age, and education variables, which were well known as determinants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the prior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ended to lower the risk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To summarize the results, we suggest that we need some ways to help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who start their own businesses without any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o prevent them from failures.

본 연구는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영업 이탈 이유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고령화 연구 패널(KLoSA)의 1~6차 및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영업 이탈 이유 중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이탈한 집단이 다른 이유로 이탈한 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모형으로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한 이탈만을 실패로 정의하는 경쟁위험회귀모형(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s)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영업 이탈 요인으로 알려졌던 성별, 연령, 학력 변수의 유의성이 사라졌다. 반면 동종 산업 경력이 자영업 이탈 위험률을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과 실업에 직면할 위험이 큰 자영업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 경력이 부족한 채로 자영업을 시작하는 중고령층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금재호 . 김기승 . 조동훈 . 조준모. 자영업 노동시장 연구(I): 자영업의 변화추이와 특성. 한국노동연구원, 2009.
  2. 금재호 . 류재우 . 전병유 . 최강식. 자영업 노동시장의 현상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금재호 . 윤미례 . 조준모 . 최강식. 자영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06-10, 2006.
  4. 남윤미.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xit of Self-Employed Businesses in Korea). 한국은행 경제연구 5호 (2017): 1-37.
  5. 박미현. 창업 전 취업형태와 중고령자 자영창업의 생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8 (2012): 176-194.
  6. 성지미 .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권 1호 (2006): 39-74.
  7. 안주엽 . 성지미.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노동경제논집 26권 2호 (2003): 1-30.
  8. 우석진. 한국 고령노동자의 부분은퇴와 노동시장 복귀. 한국노년학, 30권 2호 (2010): 499-513.
  9. 이아영 . 황남희 . 양준석 . 안영. 자영업가구 빈곤 실태 및 사회보장정책 현황 분석.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0. 장희원 . 김경근. 대학생의 졸업 속도 영향요인에 대한 생존 분석 : 4년제 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4권 3호 (2014): 217-241.
  11. 최화영. 고령화연구조사 (KLoSA) 패널을 활용한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 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37권 1호 (2018): 119-138.
  12. 통계청. 기업생멸 행정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2018. 12. 10.).
  13. 현대경제연구원.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 자영업은 자영업과 경쟁한다 -자영업자의 대 문제. 한국경제주평 12권 27호 (2012.07.): 1-25.
  14. Bruce, D., Holtz-Eakin, D., and Quinn, J. "Self-employment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at older ages." Boston College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Working Paper 13 (December 2000): 1-30.
  15. Gu, Qian. Self-Employment among Older Workers: Assistance Programs, Liquidity Constraints and Employment Patterns. Santa Monica, CA: Pardee Rand Graduate School, 2009.
  16. Guo, S. Survival analysis.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7. Hyytinen, A., and Rouvinen, P. "The labour market consequences of self-employment spells: European evidence." Labour Economics 15 (2) (April 2008): 246-271. https://doi.org/10.1016/j.labeco.2007.02.001
  18. OECD. OECD Economic Review of Korea. OECD Publishing, 2018. http://www.oecd.org/economy/surveys/Korea-2018-OECD-economic-survey-overview-Korean.pdf
  19. OECD.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4, OECD Publishing, 2014. http://dx.doi.org/10.1787/entrepreneur _aag-2014-en
  20. Prentice, R. L., Kalbfleisch, J. D., Peterson Jr, A. V., Flournoy, N., Farewell, V. T., and Breslow, N. E. "The analysis of failure times in the presence of competing risks." Biometrics (December 1978): 541-554.
  21. Taylor, M. P. "Survival of the fittest? An analysis of self-employment duration in Britain." The Economic Journal 109 (454) (March 1999): 140-155. https://doi.org/10.1111/1468-0297.00422
  22. Zissimopoulos, J. M., and Karoly, L. A. Work and Well-Being Among the Self-Employed at Older Ages. Washington, DC: AARP,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