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 기술보고서 - 사회·수문 기술

  • 발행 : 2020.10.31

초록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83079)

참고문헌

  1. 강두선, 정기문 (2020). Water-Energy-Food Nexus (W-E-F Nexus) 평가모형 개발, CCAW-TR-36,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2. 김연주, 정은성 (2015). 사회-수문학 (Socio-hydrology) 혹은 수문사회학 (Hydro-sociology): 인간과 물 순환과의 상호진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물과미래, 4(7), 34-43.
  3. 김영호, 서승범, 김기주 (2020).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 이론 및 적용, CCAW-TR-29,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4. 김지성, 남욱현, 임현수 (2016). 인류세 (Anthropocene)의 시점과 의미, 지질학회지, 52(2), 163-171. https://doi.org/10.14770/jgsk.2016.52.2.163
  5. 박성제, 유시생, 이민현, 주예나 (2020). 국제 물거래 대비 우리나라 가상수 분석 기반 구축, CCAW-TR-32,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6. 박후, 최동진, 조아라 (2020). 수자원 부문 지방자치단체 기후 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비교와 평가, CCAW-TR-31,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7. 배덕효 (2018). Socio-Hydrology: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2017-2018 하천관리포럼 정책 제안서, 한국수자원학회 하천관리포럼 위원회.
  8. 윤지웅, 김영오, 윤영석 (2020).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지역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CCAW-TR-30,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9. 이덕로, 조성민, 홍영식 (2020). 기후변화 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 CCAW-TR-34,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10. 최성열, 정대명, 장석진, 이남영 (2020). 수자원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물산업지수 평가 가이드라인, CCAW-TR-33,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
  11. Crutzen, P.J. (2002). Geology of mankind, Nature, 415, 23. https://doi.org/10.1038/415023a
  12. Crutzen, P.J., and Stoermer, E.F. (2000). The "Anthropocene". Global Change Newsletter, 41, 17-18.
  13. Sivapalan, M., Savenije, H. H. G., Bloschl, G. (2012). Socio-hydrology: A new science of people and water, Hydrological Processes, 26(8), 1270-1276. https://doi.org/10.1002/hyp.8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