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6 Key Competencie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09.2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key competency as Christian(in another word: Christian key competency) and to interpret the six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 Christian educational way. Also as an alternative to the key competencies mode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materialize the formation of a Christian key competencies model based on Christian faith. This study derived 'faith' from the key competencies as Christian throughout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faith' of the key competencies as Christian means the ability to know oneself, and to know the world and God within the knowledge of the Bible (knowledge of God) in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nd also it is the ability to think, judge, and act with biblical values, Christian world view, and Christian self-identity. The key competency 'faith' could be the basis (standard) of motivation, attitude and the value of all competencies in cultivation and exercise. The model of Christian key competencies has the structure in which each six key competencies become to be cultivated based on the Christian key competency called "faith." Based on the structure, the six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interpreted and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self-management competency, self-identity can be correctly formed in relations with transcendent God. I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y,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come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image of God, the supreme beauty, the source of beauty. About the community competency, human community is the source of God who created the universe, human and all of things. It is because a Christian community is a community within the relationship of Trinity God, Nature and others. Therefore regions, countries, and the world become one community. Communication competency first stem from good attitudes toward yourself and others with respectful mind. It comes from an understanding of Christian human beings. Also, there is a need of having a common language for communications. The common language is the Bible that given to us for our communicative companionship. Through the language of the Bible, God made us to know about God, human being and the creative world, and also made us to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God, others and the world. For having the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 standard of value for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required. The standard should be the basis of moral and ethical values for human respect. Abou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e source of creativity is God who created the world. Human beings who have the image of God own creative potential. As well as, creativity has different expression forms depending on individual preferences and interests, and different approaches will be made depending on each individual's importance and achievement. Individual creativity can be found through education, and it can be embodied by converging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을 기독교교육적으로 해석하여 설명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모형의 대안으로 기독교적 신앙을 토대로 한 신앙적 핵심역량 모형을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적 핵심역량을 '신앙'으로 도출하였다. 기독교적 핵심역량 '신앙'은 성경 지식(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 안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와 하나님을 알고, 기독교적 자아정체성, 성경적 가치관, 기독교 세계관을 가지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 곧 역량이다. 핵심역량 '신앙'은 모든 역량의 함양과 발휘의 동기, 태도, 가치의 기반(기준)이 될 수 있다. 기독교 신앙적 핵심역량 모형은 기독교적 핵심역량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6개의 핵심역량이 함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개 핵심역량을 기독교교육적으로 해석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관리 역량에서 자아정체성은 초월자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 심미적 감성 역량에서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는 최고의 아름다움이신 하나님, 아름다움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로부터 온다. 인간의 공동체성은 우주만물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지으신 하나님이 그 근원이시다. 기독교적인 공동체는 하나님, 타인, 자연과의 삼중관계 안에서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지역·국가·세계가 하나님의 공동체가 된다. 의사소통 역량은 먼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좋은 태도, 존중하는 마음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리고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공통의 언어가 필요하다. 공통의 언어는 서로간의 소통하는 교제를 위해서 주신 성경이다. 하나님은 성경의 언어를 통해서 인간이 하나님을 알고, 인간을 알고, 창조 세계를 알고, 계속해서 하나님과 그리고 타인과 세계와 소통하게 하셨다. 지식정보처리 역량에서 지식과 정보의 처리와 활용에 대한 가치의 기준이 필요하다. 이 기준은 인간 존중을 위한 도덕적, 윤리적인 가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창의적 사고 역량에서 창의성의 근원은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은 창의적 잠재력을 가진 존재이다. 그리고 창의성은 개인의 선호도와 흥미에 따라 다른 표현 양식을 가지며, 각 개인의 중요도와 성취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가진다. 개인의 창의성은 교육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으며,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택 (2009). 고통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 서울: 하늘유통.
  2. 강영택(2015).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기독교학교의 과제. 신앙과 학문. 20(1), 7-37.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KISTEP 정책기획실.
  4.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각론 확정.발표(보도자료 2015. 9. 23)). 교육부.
  5. 교육부 (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제 2015-74호). 교육부.
  6. 김경자.곽상훈.백남진.송호현.온정덕.이승미.한혜정.허병운.홍은숙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국가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7. 김도일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호모 에두칸두스 장신논단. 50(5), 247-275.
  8. 김웅기 (2017). 기독교적 역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적 원리들. 개혁논총. 41, 101-131.
  9. 김웅기 (2018). 루터와 칼빈의 기독교학교교육관과 오늘날에의 적용점. 개혁논총. 45, 109-137.
  10. 김효숙.권성호.성민경 (201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독교교육논총. 33, 67-90.
  11. 박상진 (2004). 기독교교육과정 탐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2. 박은숙 (2009). 창의적 문제해결 기독교 학습모형 개발. 기독교교육논총. 20, 359-388.
  13. 박은숙 (2013a). 대학에서의 기독교역량 교육모형 개발 및 적용. 기독교교육정보. 37, 93-121.
  14. 박은숙 (2013b). 기독교대학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CTL 특성화 프로그램개발 신앙과 학문 통합 역량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36, 247-268.
  15. 박화경 (2019). 과학과 세속화 시대에 직면한 신앙교육의 위기와 과제. 기독교교육정보. 60, 1-35.
  16. 소태영 (2010). 아름다운 시를 노래하며: 신학적 미학과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 기독교교육논총. 23, 153-180.
  17. 송인규 (1996). 성경은 공동체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 서울: IVP.
  18. 양승준 (2013). 청소년 신앙형성을 위한 입교교육과정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39, 161-189.
  19. 연지연.최은수 (2016). 기독교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와 서번트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 Andragogy Today. 19(2), 1-27.
  20. 이경직 (2012). 기획주제 :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믿음 개념. 기독교철학. 15, 91-115.
  21. 이은실.제양규 (2016). 기독교대학에서의 역량기반교육 개발 및 운영- 한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신앙과 학문. 21(2), 177-207.
  22. 이재하 (2008). 루터의 '사랑으로 형성되는 믿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선교와 신학. 21, 42-67.
  23. 이정기.이은철 (2018). 미래 사회 및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관제 제안-기독교적 인재 역량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85-94.
  24. 이정기.이은철 (2019). 미래사회를 위한 신앙중심 핵심역량의 농력단위 분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1-154.
  25. 이종재.송경오 (2007).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 아시아교육연구. 8, 137-159.
  26. 장화선 (2015)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에 관한 고찰, 기독교교육논총. 43, 109-136.
  27. 장화선 (2017). 역량기반교육의 맥락에서 사범계 기독교교육과의 동향: A 대학교 신학대학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성경과 신학. 81, 31-50.
  28. 정홍열 (2015).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에서 본 "믿음과 사랑의 관계" 재조명 한국조직 신학논총. 41, 121-157.
  29. 조철현 (2014). 기독교 대학에서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K대학교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37, 261-293.
  30. 조철현 (2015). : 교회학교 교사상의 패러다임 전환 : 교사 리더십 기술역량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43, 261-291.
  31. 조철현 (2017). 교회학교 교사의 역량, 헌신도, 만족도, 그리고 교사사역 인식에 대한양적연구: 장로교 K 교단을 중심으로. 개혁논총. 43, 157-181.
  32. 한철희 (2004). 신앙 교육을 위한 "지식의 암묵적 내주성"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1(1), 399-428.
  33. Burger, R. (2018). 4차산업혁명, 이미 와 있는 미래. 김정희, 조원영 역. 서울: 다산. (원저 2017 출판)
  34. Crain, W. (2011). 발달의 이론(개념과 적용 제5판). 송길연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5 출판)
  35. Fowler, J. W. (1981). Stages of faith. San Franciesco: Haper & Row Publisher.
  36. Groome, T. H. (1983). 기독교적 종교교육. 이기문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원저 1980 출판)
  37. Keller, T. (2018). 답이 되는 기독교. 윤종석 역. 서울: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원저 2016 출판)
  38. Lewis, C. S. (2000). C. S. Lewis: Essay collection. Walmsley, L(Ed.). London: HarperCollins.
  39. Miller, D. E. (1988). 기독교교육 개론. 고용수, 장종철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저 1987 출판)
  40. Nelson, C. E. (1967). Where faith begins?. Atlanta: John Knox press.
  41. Paintner, C. V., & Beckman, B. (2010). Awakening the creative spirit: Bringing the arts to spiritual direction. Harrisburg, PA: Morehouse Publishing.
  42. Palmer, J. P. (2000).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역. 서울: 한문화. (원저 1997 출판)
  43. Palmer, P. J. (2008).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 (원저 1993 출판)
  44. Ryan, T. (2008). Soul fire: Accessing your creativity. Woodstock, VT: SkyLight Paths Publishing.
  45.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a). Key competencies-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Seattle: Hogrefe & Huber.
  46.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b).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 L. H. Salganik(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41-62). Seattle: Hogrefe & Huber.
  47. Schwab, K. (2017). 제4차 산업혁명. 성경진 역. 서울: 새로운 현재. (원저 2016 출판)
  48. Schwab, K. (2018).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 김민주.이엽 역. 서울: 새로운 현재. (원저 2017 출판)
  49. Sherry, P. (1992). Spirit and beauty: An introduction to theological aesthetics. Oxford: Clarendon Pr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51. Wolterstorff, N. (2004). Educating for shalom: Essays 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