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Intercultural Conflict Resolution

문화 간 갈등해소를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05.24
  • Accept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Our current society is experiencing a mass upheaval through globalization: mobility, hybridity, and cultural diversity are part of this world phenomenon. We can say that these changes are a result of people crossing borders due to international travel, immigration, emigration, studying abroad, labor, international marriages, fast and comfortable transportation, and the Internet. According to 2018 UNPD(Unti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s data, the international migrants have exceeded 258 million as of 2017. The increased number of migrants signifies that people with various backgrounds move from their own culture to a drastically different one. Interacting with different cultures can give people the chance to experience abundant lifestyles and improve life qualities. During that proces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can cause not only misunderstandings, conflicts, and violent collisions, but also xenophobia or radical nationalism. The current society is confronted with a problem: the people cannot stubbornly cling to a homogenous ethnicity anymore, which makes the coexistence between the citizens and immigrants necessary. Through these circumstances, I aim to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and a practical curriculu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s the aim of this study. It seeks to encourage Christians to flexibly respond to these conflicts and collisions, and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faithfully. For this reason, I will explore and seek sharing practical values through both shalom's communality as a theological approach and postconventionality in mature adults as a social-scientific approach. Consequently, I have few requests for the readers. First, approach with openness,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other culture. Second, see this study as one step of confronting the global problem for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of all social agents in the earth, a limited space. Third, notice that this study use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ological and social scientific view) for a shareable, practical value that consistently leads the curriculum of my thesis, and a scientific method to eliminate bias. Lastly, understand that this study will eventually be used in educational practice, and as a result it prioritizes giving thought to the Christian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begins by exploring the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diverse cultures of our current society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cases. Afterwards, I will reflect on how we can manage these conflicts and collisions by exploring the social-scientific view, postconventionality in mature adults, the theological view, and shalom's communality as a complement for the postconventionality's personal dimension. In conclusion, I suggest a curriculum that achieves peace as a practical value based on postventionality and shalom's communality for this study's goal.

세계화로 대변되는 현대사회는 이동성, 혼종성,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지구적 현상을 보인다. 최근 보고된 유엔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제이주, 즉 자신이 태어난 본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살고 있는 수가 2억 5천 8백만 명이 넘는다. 이 수치는 자신의 문화로부터 다양한 문화적 상황 속으로의 이동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이질적 문화와의 만남 속에 인간은 다양하고 풍성한 삶의 양식들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높은 삶의 질을 영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반면 문화적 차이 내지는 간격에 대한 몰이해, 배타 및 배제, 혐오, 자민족 우월주의 등에 의한 갈등이나 심각한 물리적 충돌에 노출되기도 한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들이 중첩됨에 따른 갈등상황을 안고 있는 현대사회는 더 이상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에 의한 자민족 내지는 자국 중심의 정체성을 고집하며 살아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국내인과 이주민 모두가 지구적 시민으로서 연합된 공동체로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실은 더욱 확대 및 강화될 것이다. 이러한 갈등상황을 전제로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기여하고자 하는 바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교육모형으로써 기독교인에게 갈등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킬 뿐만 아니라, 주어지는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도록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 축으로는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한 인간발달 과정에서의 탈인 습성을, 또 다른 한 축으로는 신학적 접근을 통한 샬롬의 공동체성을 상호 간 비판적으로 성찰해보고, 본 연구의 목적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모형을 위한 실천적 수렴가치를 도출해 볼 것이다. 본 논문의 충실한 이해를 위한 선행적 해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문화적 다양성 및 타자가 전유하고 있는 문화적 내용에 대한 열린 마음과 존중의 태도는 차이와 이질성의 장애를 극복하는 실마리가 된다는 점이다. 둘째는 본 연구는 '지구'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모든 실재들의 공존과 공영을 위한 발의(initiative)라는 점이다. 셋째는 본 연구에서 결론적으로 제안하는 실천적 교육모형을 일관적으로 견인해 가도록 하는 실천적 수렴 가치인 평화는 심리학과 신학의 간학문적 방법을 통해 도출되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 맥락 속에 제시된 본 연구의 교육모형은 기독교적 교육환경을 우선 염두에 둔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에 의해 발생하는 갈등상황을 국제적으로, 그리고 국내적으로 파악한다. 그런 후, 갈등해소를 위한 상호보완적 시도로서 발달심리학적 차원인 성숙한 성인에게서 발견되는 탈인습성과 탈인습성의 한계인 개인적 차원을 보완하기 위해 성서에서 발견되는 '샬롬'(שלום)이 함의하는 공동체성을 탐구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탈인습성과 샬롬의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실천적 가치인 평화를 실현해 내는 교육모형을 제안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숙 (2004).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 송민영 (2006). 홀리스틱 교육사상, 서울: 학지사.
  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유네스코 세계보고서: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 Banks, J. A. (2013). 다문화교육: 현안과 전망. 차윤경, 부향숙, 윤용경 역, 서울: 박학사. (원저 2010 출판)
  5. Simmel, G. (2017). 짐멜의 갈등론. 정헌주 역. 서울: 간디서원.
  6. Habermas, J. (1997). 도덕의식과 소통적 행위. 황태연 역. 서울: 나남출판. (원저 1983 출판)
  7. 강문규 (2016). 한국 사회갈등의 요인들에 대한 화해의 기독교 교육적 모색.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2, 9-49.
  8. 김성은 (2005). 세계제국 패권문화와 기독교 평화교육, 신학사상, 129, 255-282.
  9. 김현숙 (2007). 공유적 권위와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정보, 17, 193-214.
  10. 변영인 (2010). 한국의 다문화 가정을 위한 기독교 상담, 복음과 상담, 15, 181-201.
  11. 손문 (2010). 다문화 사회와 기독교 대학의 교양 교육: '탈인습적 신앙 교육'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3, 325-352.
  12. 신승범 (2014). 다문화사회와 기독교교육: 성서이야기를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모색, 기독교교육정보, 43, 185-204.
  13. 오현선 (2009). 다문화 사회에서 차이를 차별화하는 폭력성의 극복을 위한 기독교평화교육의 한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20, 301-328.
  14. 옥장흠 (2019).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신학사상, 185, 279-313.
  15. 이은선 (2011). 한국의 다종교, 다문화 상황 속에서 기독교 복음의 의미: 종교편향논란의 극복을 중심으로, 성경과 신학, 59, 229-264.
  16. 임성빈 (2013). 다문화사회와 교회의 역할 모색: 인권과 문화통합을 위한 토대제공의 관점에서, 기독교사회윤리, 27, 305-333.
  17. 조용훈 (2011).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윤리적 과제, 기독교사회윤리, 22, 303-330.
  18. 한준성, 최진우 (2018). 이주민 환대 지수(Hospitality Index) 지표체계 개발 연구, 문화와 정치, 5(1), 5-41.
  19. 이윤석 (2009). 기독교적 책임을 지향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 Cummins, J. (2000). Language, pover and pedagogy: Bilingual children in the crossfire. Clevedon. UK: Multingual Matters LTD.
  21. Fowler, J. W. (1981).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22.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3. Kegan, R. (1982). In over our heads: The mental demands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24. Kegan, R. (1983). The evolving self: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5. Munsey, B. (eds.). (1980).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s a basis for education." In Moral Development, Moral Education, and Kohlberg(15-89). Birmingham. Alabama: Religious Education Press.
  26. Nessan, C. L. (2010). Shalom church.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27. Page, J. (2008). Peace education.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28. Pfaffenberger, A. H. & Marko, P. W. (eds.). (2011). "Exceptional maturity of personality: An emerging field." In The Postconventional Personality. 1-6.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9. Selman, R. L. (1980). The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Developmental and clinical analyses. New York: Academic Press.
  30. Rest, J., Narvaez, D., Beau, M, J., and Thoma, S. J. (2014). Postconventional moral thinking: A neo-kohlbergian approach. Mahwah, NJ: Press.
  31. Wolterstorff, N. (2004). Educating for shalom.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Co.
  32. Woodley, R. S. (2012). Shalom and the community of creation: An indigenous vision. Grands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33. Yoder, P. B. (1987). Shalom: The Bible's word for salvation, justice, and peace. Nappanee. IN: Evangel Publishing House.
  34. Kim, H. S. (2006). Educating in a postconventional society. Religious Education, 101(3), 453-457. https://doi.org/10.1080/00344080600948597
  35. Yank, C. W. (1987). PEACE: shalom and ho-ping. International Journal on World Peace, 4(4), 81-88.
  36. Botterweck, G. J. (2006).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vol XV.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37.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2019.12.11.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