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yber English Learners on the Usefulness of Online Grammar Checker

온라인 문법 검사기의 유용성에 대한 사이버 영어학습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Moon, Dosik (Dept of Englsih Hanyang Cyber University)
  • 문도식 (한양사이버대학교 영어학과)
  • Received : 2021.10.01
  • Accepted : 2021.12.10
  • Published : 2021.12.10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yber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Grammarly, an online grammar checker, after it was used to provide feedback to cyber university students in a situation where the instructor could not provide sufficient feedback on their written work in English.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learners had positive attitudes to the usefulness of Grammarly. In particular, the feedback immediately available whenever needed was regarded as helpful in improving English sentences, and most learn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mount of the feedback provided by Grammarly. It was also found that Grammarly ha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the affective domains, helping learners to improve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In particular, Grammarl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writing anxiety in English, one of the main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writing performance in English. However, along with these positive results, limitations such as inaccurate feedback and inadequate explanation of errors were also found. Therefore, when Grammarly is used for Englis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multifaceted research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minimiz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these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대학생들의 영작문에 대해 교수자가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 문법 검사기 Grammarly를 활용한 후 그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 대다수가 Grammarly의 유용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할 때면 언제나 즉시 이용 가능한 피드백은 영어 문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으며, 피드백의 양적인 측면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Grammarly는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영작문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원활한 영작문 학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영작문에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와 함께 부정확한 피드백과 오류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등과 같은 한계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Grammarly를 영어 교육에 활용할 경우 이러한 한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Ⅰ. 서론

한국 학습자들이 영작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자신이 쓴 문장이 문법적으로 옳은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정확히 표현되었는지를 스스로 자신 있게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영작문 교수자가 제공하는 교정적 피드백은, 비록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상반된 견해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작성한 영어 문장의 문법적 정확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가장 확실한 해결 방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수업시간 안에 과도하게 많은 수강생을 교육해야 하는 현실에서 교수자가 학습자 개개인의 요구에 부응하는 내실 있는 피드백을 충분히 제공하기란 대단히 부담스러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 방안으로 온라인 문법 검사기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문법적인 오류를 자동으로 포착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문법 검사기들은 교수자의 첨삭지도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 학습자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기 주도적 수정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실의 한계를 넘어 언제 어디서나 독립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피드백을 받기 힘든 EFL 상황에서 유용한 영작문 교육 보조도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아 보인다.

맞춤법과 문법 검사 기능이 내장된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이미 80년대 중반부터 상용화되었다. 그러나 피드백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함으로 인해 영작문 교육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온라인 문법 검사기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응용 프로그램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과거에 비해 월등히 정확성이 향상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인터넷상에서 클릭 한 번이면 누구나 쉽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으로 인해 강의실 안팎에서 영어 학습용으로 문법 검사기를 사용하는 사례가 확대되고 있다.

온라인 문법 검사기의 대중적 인기와 함께 문법 검사기의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결과도 속속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문법 검사기의 교육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확정적이지 않고 연구가 수행된 교육적 맥락과 학습자 변수에 따라 엇갈린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문법 검사기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문법 검사기의 치명적 결함으로 인식되어온 피드백의 부정확성 문제를 상당 수준 해결한 것으로 평가되는 Grammarly를 활용하여 영작문 과제를 수행한 사이버대학 영어 학습자들의 문법 검사기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Ⅱ. 선행 연구

1. 문법 검사기 피드백의 장단점

여기에 문법 검사기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교수 자가피드백을 주는 시간과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작문 학습 효과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들이 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문법 검사기는 교수자와 비교하면 더 넓은 범주의 오류에 대해 많은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는 영작문에 대해 빈번하고 교정적인 피드백을 선호하는 영어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1]. 그리고 문법 검사기는 과제 제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교실 상황에서와는 달리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즉시 제공한다. 이러한 즉각적인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지적된 오류를 검토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여 더욱 효율적인 오류 수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

문법 검사기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문법적 오류에 대한 교정적 피드백과 더불어 메타 언어적 설명도 제공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순히 오류를 식별하여 수정된 대안만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오류의 성격과 이유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학습자는 문장의 오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피드백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정 작업에 반영할 수 있다[3]. 이와 더불어 교수자의 피드백은 과제물 평가를 하면서 느끼는 피로감, 개별 학습자에 대한 태도 등기분이나 심리 상태 등과 같은 개인적인 변수에 따라 양이나 질적인 차이가 생길 수 있는 데 반해, 문법 검사기는 이러한 요인들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일관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문법 검사기에도 한계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등의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문법 검사기들은 피드백의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다양한 개별 학습자들이 생성한 모든 문장을 정확히 분석하여 오류를 식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4]. 따라서 문법 검사기가 잘못된 피드백이나 오류 수정을 제공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실제 학습자 학습 요구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오류를 과도하게 식별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교수자의 첨삭지도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결여라는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5].

2. Grammarly의 교육적 유용성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문법 검사기들 중 최고의 정확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Grammarly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교육적 상황에서 Grammarly의 교육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호주 대학의 학술 작문 교육 상황에서 실시된 연구는 Grammarly가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성을 지녔다는 결과를 보여준다[6]. 연구에 참여한 절대 다수의 영어원어민과 ESL 학습자들은 Grammarly이 제공한 상세한 정확한 피드백이 영문법과 영작문 규칙에 이해력 향상과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EFL 상황에서 진행된 연구들도 역시 Grammarly의 다양한 교육적 장점에 관한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Grammarly와 교수자의 피드백 사이의 효과 차이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Grammarly가 생성한 피드백이 교수자의 피드백보다 장기 기억 측면에서 더 강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학습자의 만족도 측면에서도 Grammarly를 사용한 학습자들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에 비해 언어 사용과 관련하여 받은 피드백의 질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Grammarly는 또한 학습자가 문법적 오류를 식별하고 수정하여 영작문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9].

Grammarly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한 연구들에서는 장점과 더불어 Grammarly의 한계도 보고되고 있다. Grammarly는 유용하고 신속한 피드백을 무료로 제공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때때로 부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글의 맥락과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었다[10]. 그리고 Grammarly는 사용하여 초안을 수정할 때 영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은 언어 능력 높은 학습자들에 비해 문법검사기가 제공하는 교정적 피드백에 과도하게 의존적인 경향을 보이고, 피드백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표면적인 수정 작업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Grammarly의 학습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피드백과 함께 사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1].

Ⅲ. 연구 방법과 절차

1. 연구의 배경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사이버 대학 영어학과에서 중하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전공과목으로 개설한 ‘Introduction to Reading in English’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2학기 15주에 걸쳐서 실행되었다. 이 수업은 영문 독해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쓰기, 말하기, 듣기 능력의 통합적으로 향상을 목표로 한다.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은 매주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의 짧은 문단 하나를 작성하여 토론방에 올려 다른 수강생들과 공유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교수자로부터 자신이 쓴 글에 대한 상세한 교정적 피드백을 받기를 원했지만, 수강생 수가 300명을 넘고 매주 최소 100개 이상의 글이 올라오는 상황에서 학습자 개인의 요구를 충족할 수준의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이런 문제에 대응방안으로 학습자들에게 영어 글쓰기 오류 검사 프로그램인 Grammarly을 활용하여 문법적 오류가 있는 문장을 수정한 후 과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문법 검사 프로그램 중 Grammarly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정확한 영문법 검사기로 알려진 Grammarly는 250 개 이상의 문법, 구두점, 철자법, 문장 구조에 대한 신뢰할 만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둘째, 모바일과 PC에서 모두 무료로 이용 가능한 버전을 제공하므로 학습자들이 경제적인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셋째, 교정적 피드백과 더불어 문법적 오류에 대한 메타언어적인 설명을 함께 제공한다. 넷째, 문법 검사를 받기 위해 사용자는 글을 복사하여 입력 상자에 붙여넣거나 업로드하기만 하면 될 정도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수업에서 사용한 Grammarly의 화면은 그림 1과 같다.

OTNBBE_2021_v21n6_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Grammarly 화면

Fig. 1. Screenshot of Grammar Checker.

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15주에 걸쳐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실행되었다. 먼저 첫 주에는 온라인 워크숍을 통해 Grammarly의 기능 및 사용 방법과 앞으로 수행할 글쓰기 과제 작성 방법을 실제 학생들이 작성한 예들을 제시하며 소개하였다. 2주 차부터 13주 차까지 학습자들은 수업을 마친 다음 50단어에서 100 단어 정도 길이의 문단 하나를 매주 작성하였다.

영어 능력이 높지 않고 영작문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들의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교수자는 매 차시 교재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주제 하나를 선정하여 문단의 주제문과 세부 내용에 대한 질문과 이에 대한 답을 예로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예시를 따라 주어진 질문들에 대한 답을 완전한 영어 문장으로 작성한 후 버튼을 누르면 기본적인 문단 형태가 완성되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학습자들은 이렇게 완성된 초고에 원하는 내용을 추가하고 문법 검사기를 활용하여 오류를 수정한 완성본을 강의실 안에 있는 토론방에 올려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였다.

3. 연구 도구

Grammarly의 유용성에 대한 사이버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행하였다. 사전 설문지는 학습자 본인의 영어 문장 작성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와 관련된 문항 3개와 교정적 피드백에 대한 인식에 대한 문항 4개로 구성하였다. 사후 설문지는 문법 검사기의 유용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문항 2개, 문법 검사기가 제공한 피드백에 대한 인식에 대한 문항 4개, 그리고 문법 검사기가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에 대한 문항 4개,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리커드 5 점 척도(매우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를 사용하였다. 수강생 327명 중 설문에 응한 213명을 참여자의 응답 빈도수와 퍼센트를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후 설문에서는 2개의 개방형 질문을 추가하여 학습자들이 문법 검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장/단점을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영작문과 교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인식

표 1에서는 학습자들의 자신의 영어 문장 작성에 대한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표 1. 영어 문장 작성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OTNBBE_2021_v21n6_9_t0001.png 이미지

Table 1. Self evaluation of English Sentence Writing

먼저 문법적으로 정확한 영어 문장 작성할 자신감이 있다고 답한 학습자는 17명(8%)에 지나지 않았고 170명 (79.8%)이 자신감이 없다고 평가했다. 혼자 힘으로 문장의 문법적 오류를 찾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해서도 24명 (11.3%)만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151명(70.9%) 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리고 167명(78.4%)이 문법 지식을 실제 문장 작성할 때 어려움이 있다고 답한 것에 비해, 단지 11명(5.1%)의 학습자만이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70%가 넘는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자신의 영어 문장 작성과 오류 식별 능력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본인이 가진 영문법 지식을 실제 문장작성에 활용할 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 관한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문장오류에 대한 피드백의 필요성에 대한 문항에 대해서 거의 모든 학습자(98.6%)가 긍정적인 응답을 했고,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학습자는 한 명도 없었다. 피드백의 효과에 대해서는 206명(96.7%) 영어문장 작성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피드백이 영어 문장 작성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피드백에 대한 높은 평가와 더불어 피드백에 171명(80.3%)에 달하는 학습자들이 많은 피드백을 빈번하게 받고 싶다는 기대감을 표명했다.

표 2. 교정적 피드백에 대한 인식

OTNBBE_2021_v21n6_9_t0002.png 이미지

Table 2. Perceptions of Corrective Feedback

교정적 피드백의 필요성과 학습 효과에 대한 이러한 학습자 인식은 영어 문장 능력 작성 능력에 대한 낮은 자기 평가로 미루어 볼 때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결과이다. 혼자 힘으로 정확한 영어 문장을 작성할 수 없는 학습자들을 지원할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교수자를 대신해 오류를 식별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Grammarly를 활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일단은 적절한 교육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

2. Grammarly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학기가 끝난 후 실시한 사후 설문 조사에서는 먼저 Grammarly가 영작문 학습에 유용한 지 여부와 사용의 편의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표 3에서 제시되었듯이 학습자 대부분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표 3. Grammarly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OTNBBE_2021_v21n6_9_t0003.png 이미지

Table 3. Overall Satisfaction with Grammarly

먼저 유용성 측면에서 168명(77.9%)의 학습자들이 Grammarly가 영어 학습에 유용했다고 평가했고 유용하지 않다고 한 학습자는 16명(7.5%)밖에 없었다. 사용 편의성에 대해서도 152명(71.3%)에 달하는 대다수 학습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24명(11.3%)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용 편이성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가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가 나온 이유로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교육 도구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학습자들이 다수 포함된 사이버 대학 학생 구성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Grammarly가 제공한 피드백에 대한 평가는 표 4에서 제시되었듯이 문항에 따라 약간 엇갈린 결과를 나타낸다.

표 4. Grammarly가 제공한 피드백에 대한 인식

OTNBBE_2021_v21n6_9_t0004.png 이미지

Table 4. Perceptions of feedback provided by Grammarly

Grammarly가 제공한 피드백이 영어 문장력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한 학습자는 163명(76.5%)이었고 21명(9.8%)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피드백의 양에 대해서도 80.3%가 충분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피드백의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Grammarly 가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켰음을 암시한다.

이에 비해 피드백의 정확성과 오류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는 정확성에 대해서는 전체의 절반 정도의 학습자 (53.1%)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거의 비슷한 수의 학습자들이 판단을 유보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Grammarly 피드백의 정확성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부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Grammarly가 오류에 대해 제시한 메타 언어적 설명에 대해서도 절반에 못 미치는 38.9%만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28.1%가 부정적인 반응을 34.3%가 판단을 유보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개방형 설문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문법에 대한 설명이 영어로 제시되어 영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한 것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Grammarly는 표 5에 제시된 것처럼 영작문에 흥미, 자신감, 불안감 등과 같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Grammarly 사용이 정의적 영역에 미친 효과

OTNBBE_2021_v21n6_9_t0005.png 이미지

Table 5. Effect of Using Grammarly on the Affective

대다수 학습자가 Grammarly는 영작문에 대한 흥미 (73.2%)와 자신감(60.5%)을 상승시키고 영작문에 대한불안감(83.1%)을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영작문에 대한 흥미도나 자신감 증가 효과에 비해 영작문에 대한 불안감 감소 효과에 대해 동의하는 반응이 현저하게 높은 점은 불안감이 원활한 영작문 학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임을 고려할 때 Grammarly의 높은 교육적 가치를 재차 확인하게 해준다. 이러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반영하듯 많은 학습자가 (75.1%) 앞으로도 영어 학습을 위해 Grammarly를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끝으로 표 6에서는 Grammarly의 장단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중 최다 빈도를 보인 답변 4가지씩을 제시하였다.

표 6. 개방형 설문 결과

OTNBBE_2021_v21n6_9_t0006.png 이미지

Table 6. Results of Open-ended questions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Grammarly 장점이라고 언급한 것은 언제 어디서나 즉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수정할 부분을 정확히 적시하는 기능, 많은 피드백의 양, 버튼 하나로 수정이 가능한 사용 편리성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점으로는 오류에 대한 설명이 영어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지적하는 학습자들이 가장 많았고, 피드백의 부정확성,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의 부재, 문법적 오류에만 한정된 피드백순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대학생들을 영작문에 대해 교수자가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방안으로 온라인 문법 검사기 Grammarly를 활용한 후 그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 학습자는 Grammarly의 유용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할 때면 언제나 즉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영어 문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으며 양적인 측면에서도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영작문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향상에 기여했고, 특히 원활한 영작문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영작문에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Grammarly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드러났듯 피드백의 정확성과 오류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기 어려움 등과 같은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현재 진행 중인 문법 검사기 성능 개선 속도로 보아 이러한 문제점들 중 대부분은 멀지 않아 상당 수준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 교육 측면에서는 향상된 기능을 지닌 문법 검사기를 활용한 보다 더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I. Lee, Classroom writing assessment and feedback in L2 school contexts. Springer, Singapore. 2017.
  2. E. H. Jeon, T. Kaya, "Effects of L2 instruction on interlanguage pragmatic development", In J. Norris & L. Ortega (Eds.), Synthesizing research o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p. 165-211. Amsterdam, The Netherlands: John Benjamins. 2006.
  3. H. Yannakoudakis, O. E. Andersen, A. Geranpayeh, T. Briscoe, D Nicholls, "Developing an automated writing placement system for ESL learner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Vol. 31, No. 3, pp. 251-267, 2018. DOI: https://doi.org/10.1080/08957347.2018.1464447
  4. M. Narita, "Developing a corpus-based online grammar tutorial prototype," Language Teacher, Vol. 36, No. 5, pp. 23-31, 2012.
  5. J. Ranalli, "Automat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How well can students make use of it?,"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 31, No. 7, pp. 653-674, 2018. DOI: https://doi.org/10.1080/09588221.2018.1428994
  6. M. R. Cavaleri, S. Dianati, "You want me to check your grammar again? The usefulness of an online grammar checker as perceived by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anguage and Learning, Vol. 10, No. 1, pp. 223-236, 2016.
  7. A. Qassemzadeh, H. Soleimani, "The impact of feedback provision by Grammarly software and teachers on learning passive structures by Iranian EFL learners,"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Vol. 6, No. 9, pp. 1884-1894, .2016. DOI: https://doi.org/10.17507/TPLS.0609.23
  8. R. O'Neill, A. Russell, "Stop! Grammar tim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automated feedback program Grammarl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5, No. 1, pp. 42-56, 2019. DOI: https://doi.org/10.14742/ajet.3795
  9. L. Karyuatry, M. D. A. Rizqan, N. A. Darayani, "Grammarly as a tool to improve students' writing quality: Free online proofreader across the boundaries," Edulitics Journal, Vol. 3, No. 1, pp. 36-42, 2018. DOI: https://doi.org/10.30595/jssh.v2i1.2297
  10. M. Nova, "Utilizing Grammarly in evaluating academic writing: A narrative research on EFL students' experience," Premise: Journal of English Education, Vol. 7, No. 1, 2018. pp. 80-97. DOI: https://doi.org/10.24127/pj.v7i1.1332
  11. M. Schraudner, "The online teacher's assistant: Using automated correction programs to supplement learning and lesson planning," CELE Journal, Vol. 22, pp. 128-14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