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esthetic appreciation boundary of Honam Yang-ban Hou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cused on the House of Kwon Hee-moon

조선(朝鮮) 후기(後期) 호남지방(湖南地方) 양반가옥(兩班家屋)의 심미경계(審美境界) 고찰 - 전북 장수의 권희문(權熙文) 가옥(家屋)을 중심(中心)으로 -

  • 권윤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
  • 김귀석 (서일대학교)
  • Received : 2021.09.25
  • Accepted : 2021.10.20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Houses contain our own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y. As a Yangban hou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use of Kwon Hee-moon was constructed over 250 years to the present. Therefore, this house can more objectively examine the aesthetic ideals, such as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house owners across the generations. The name of Sarang-Chae is Ui-Wang-Seo(嶷汪棲), it shows thoughts and philosophies symbolically. Ui(嶷)·Wang(汪) mean the elements of nature, and Seo(棲) symbolizes living together, It is aesthetics of Nature, aesthetics of Human boundary. Aesthetics of Nature boundary is aesthetics of Ui(嶷)·Wang (汪), so it is clear and fine. Aesthetics of Human boundary is aesthetics of Seo(棲), so it has meditation and purity. As such, the aesthetic ideal of Kwon Hee-moon's house pursues the ideal of life. Through the aesthetic boundary of the house of Kwon Hee-moon, we can understand the aesthetic boundary of Honam Yang-ban Hou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우리 가옥은 우리만의 특징과 철학을 담고 있다. 조선 후기의 양반가옥으로 권희문 가옥은 250여년의 기간을 두고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가옥은 누대에 걸친 가옥 주인의 사상과 철학등의 심미이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가옥 사랑채의 당호인 의왕서(嶷汪棲)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의(嶷)·왕(汪)'은 자연의 요소이며, '서(棲)'는 더불어 살아감을 상징한다. 이는 자연미학(自然美學)의 경계(境界)·인간미학(人間美學)의 경계(境界)이다. 자연미학(自然美學)의 경계(境界)는 의(嶷)·왕(汪)의 미학(美學)으로 은수(隱秀)하고 청려(淸麗)함이 특징이며, 인간미학(人間美學)의 경계(境界)는 서(棲)의 미학(美學)으로 응신(凝神)과 청기(淸氣)함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권희문 가옥의 심미이상은 삶의 이상을 추구하고 지향함에 있다. 조선(朝鮮) 후기(後期)에 호남지방(湖南地方)에 조성된 다른 양반가옥의 심미경계도 이와 같은 심미 이상을 담고 있음을 유추하여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宗炳, 「畵山水序」
  2. 計成, 「園冶」卷三. 「借景」
  3. 石濤, 「苦瓜和尙畵語錄」
  4. 張函, 張中秋, 「國學擧要」
  5. 안동권씨, 「鑄洞小譜」上卷, 1994, 동호문화사
  6. 이상익, 「儒家 社會哲學硏究」, 심산, 2002,
  7. 황진, 「晩隱遺稿」
  8. 권숙, 「華山遺稿」
  9. 김훤, 「全南地域 兩翼形 傳統家屋의 建築的 特性에 관한 硏究」, 朝鮮大學校, 2006.
  10. 박진기, 「경상북도 북부지역 ㅁ자 가옥의 꺾음형 지붕구조와 건축계획특성」, 경북대학교, 2017.
  11. 김용집, 「韓國 傳統住居建築의 空間構成要素에 關한 硏究 : 井邑金東洙氏 家屋을 中心으로」, 朝鮮大學校, 1983.
  12. 민경철, 「조선시대 반가의 공간사용에 관한 연구 : 괴산 김기응 가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1.
  13. 양문이, 「朝鮮時代 上流住宅 樓마루의 建築的 特性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2003.
  14. 허성은 「陰陽思想적 空間構成에 관한 연구 : 朝鮮 班家 建築을 中心으로」, 建國大學校, 2000.
  15. 황인수,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고찰」, 한양대학교, 2015.
  16. 홍승재, 「전북의 근대한옥」, 한국주거학회 2005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13~24, 2005.
  17. 이현식,「18世紀 朝鮮 上流住宅의 空間的 特徵 : 雲鳥樓.三可軒.金東洙 家屋을 中心으로」, 慶熙大學校, 2005.
  18. 최삼용, 「화산처사(華山處士) 권숙(權璹)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전라문화논총1권 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