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in Video Media -Focused on the drama "The Count of Myeong-dong"(2004)

영상매체의 한국문학 의미화 양상 연구 -드라마 <명동백작>(2004)을 중심으로

  • 손미영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
  • Received : 2021.09.25
  • Accepted : 2021.10.12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We examines the aspect of dramas delivering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to the public in the 1950s through the drama (2004). This drama focuses on Myeong-dong and views society and literature in the 1950s. This drama not only introduces ordinary people to viewers realistically, but also helps viewers understand by inserting interviews with researchers. In addition, through the gaze of poet Lee Bong-gu, they connect their literature with different literary people to obtain narrative completeness while helping viewers understand the inner side of the literary people. At the end of the drama, Lee Bong-gu's voice is a meaningful riverside for future evaluations, and it means the result of overcoming the pain of the 1950s with a romantic atmosphere and literary passion. Therefore, the drama "The Count of Myeongdong" is a meaningful text that delivered the literature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1950s to viewers in a popular and sincere manner through the video.

우리는 드라마 <명동백작>(2004)을 통해서 드라마가 1950년대 한국문화와 문학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이 드라마는 명동에 주목하여 1950년대의 사회와 문학을 조망한다. 이 드라마는 평범한 사람들을 등장시켜서 당시의 사회상을 현실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소개할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의 인터뷰를 삽입하여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시인 이봉구의 시선을 통하여 서로 다른 문학인들과 그들의 문학을 연결시켜서 서사적 완결성을 얻어내는 동시에, 시청자들로 하여금 문학인들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주인공 이봉구는 드라마의 결말에서 다시 등장하는데, 그의 평가는 후대의 평가에 대한 의미 있는 강변이자, 1950년대의 한국문학을 시대적 아픔을 낭만적 정취와 문학적 열정으로 극복하고자 한 결과물로서 의미화한다. 특히 이 드라마는 1950년대 전후(戰後)라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해와 실감,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가와 해설자를 등장시켜 설명한다. 비록 드라마의 직접적인 해설에 의한 제한적인 해석이라는 또다른 함정을 내포하게 하지만, 맥락 속에서 인물들의 선택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문학관을 이해하게 하는 데에 주효하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드라마 <명동백작>은 영상을 통하여 1950년대의 문학과 문화 풍경을 대중적이고도 진정성 있게 시청자에게 전달한 의미 있는 텍스트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광운대학교 2021학년도 연구비로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Son, Mi-young, "A Study on The Use Pattern of Yun Dong-jy in the movi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5 No.2, 2018, pp.59-66. https://doi.org/10.17703/JCCT.2019.5.2.59
  2. Son, Mi-young,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Yun Dong-ju's Poetry in the musical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5 No.3, 2018, pp.85-92. https://doi.org/10.17703/JCCT.2019.5.3.85
  3. Son, Mi-young, "A Study on the Yi Sang Represntation in Media -Focusing on the cinema and the dram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5 No.4, 2019. pp.29-36.
  4. Son, Mi-young, "A Study on the Use of Lee Yuk-sa in the media-Focused on the dram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6 No.4, 2020, pp. 31-38. https://doi.org/10.17703/JCCT.2020.6.4.31
  5. Hong, Seong-il, " and : Expectations and possibilities for EBS brand dramas," Visual Culture Vol10, 2005, pp.72-82.
  6. Kim, Young-sam, "The possibility of process of library truth,"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ol.63, pp161-183.
  7. Kwak, Myoung-Suk, "4.19 Revolution and literary transformation of Kim Soo-young," Studies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No.46 2013, p.76.
  8. Min, Do-jeong, "A Study on the Placeness of Myung-dong in 1950s: Based on Bong-gu Lee's Essay, ," Master's thesis of Dongguk University, 2008.
  9. Im, Jeong-yeon,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 (Youth)' and Politics of Sensibility in Lee Bong-Gu's novels,"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ol.61, 2013, pp.323-345.
  10. Kwon, Kyoung-Mi, "The Cultural Class and the Narrative of the Space Nostalgia Myeongdong," Jounal of Humanities No.60, 2016. pp.275-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