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1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교육부.
- 구영수, 양연숙(2013).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3(2), 177-1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77
- 김성철, 김나정(2019).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이 일터에서의 직무성과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상이한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3(3), 103-130.
- 김솔비, 임효진(2020). 초등학생용 학업적 열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33(3), 171-200.
- 김은숙, 안유민, 정원영, 계영희, 김희백, 노태희, 유준희, 이경우, 최승언, 김찬종(2014). 이공계와 의약계 진로희망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 이유, 과학과목과 수학과목 선호도,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포부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79-78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79
- 김태희(2020).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 긍정경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학준, 여상인(2014).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8(2), 401-414.
- 김혜원, 전영석(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40(3), 283-294.
- 민현숙, 양연숙(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57
- 박기수, 이종혁, 홍훈기(2019). 열정, 갈등, 그리고 역설적 소외 -한 과학영재의 소집단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7(4), 55-94.
- 박문숙, 유미현(2014).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4(5), 829-849.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29
- 박병태, 신동희(2011). 초등 과학 우수아와 일반아의 과학 지식, 탐구 기능, 과학 관련 태도에 있어서의 성별특성. 한국초등교육, 22(2), 1-14.
- 박지윤, 권치순(2013). 초등영재와 일반 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196-206.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196
- 박지호,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 윤리성, 과학 진로 지향도 및 사회 기여 의식과의 상관관계. 생물교육, 45(4), 578-586.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4.578
- 서혜애, 심재호, 강나나(2018). 과학영재교육원 심화과정에서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동기, 과제집착력, 열정, 리더십의 개별 행동특성 탐색: 맞춤형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 과학영재교육, 10(3), 202-219.
-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 (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북스힐.
- 안태훈, 최선영(2017).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초등과학교육, 36(2), 155-162.
- 양희용(2018).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학년별과 성별 변화에 따른 차이 및 관계. 교육문화연구, 24(2), 539-561.
- 여상인, 백은주(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9(1), 43-49.
- 오현미, 유미현(2015).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창의적 성격, 회복탄력성 비교. 과학영재교육, 7(2), 51-66.
- 윤상천,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36(4), 439-446.
- 이경란, 박종호(2013).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4), 243-257.
- 이경은(2018). 유소년영재와 일반유소년의 귀인, 지능신념,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447-466.
-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 이민혜, 신다정, 봉미미(2018).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에 따른 초등학생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31(3), 1-20.
- 이병임(2020). 예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가 교직열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2), 2283-2296.
-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학지사.
- 이자영, 이상민(2012). 한국형 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4(1), 131-147.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1.131
- 이화정,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0-11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10
- 임희준(2017).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과학교육연구지, 41(3), 351-364. https://doi.org/10.21796/jse.2017.41.3.351
- 전경남(2018). 영재와 일반 학생의 완벽주의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8(1), 1-21.
- 조은영, 이신동(2017). 학습유형에 따른 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성숙도 차이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6(1), 47-68.
- 주선아, 여상인(2016).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하는 교우기대감. 영재교육연구, 26(1), 37-51. https://doi.org/10.9722/JGTE.2016.26.1.37
- 홍민성, 정예슬, 손영우(2016). 한국판 열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2), 1-26.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2.001
- Hodgins, H. S., & Knee, C. R. (2002). The integrating se lf and conscious e xpe rie nce . In E. L. De 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87-100).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 Mageau, G. A., & Vallerand, R. J. (2007). The moderating effect of pa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ctivity engagement and positive affect. Motivation and Emotion, 31(4), 312-321. https://doi.org/10.1007/s11031-007-9071-z
- Marsh, H. W., Vallerand, R. J., Lafreniere, M. K., Parker, P., Morin, A. J. S., Carbonneau, N., Jowett, S., Bureau, J. S., Fernet, C., Guay, F., Abduljabbar, A. S., & Paquet, Y. (2013). Passion: Does one scale fit all? Construct validity of two-factor passion scale and psychometric invariance over different activities and languages. Psychological Assessment, 25(3), 796-809. https://doi.org/10.1037/a0032573
-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alez-Roma, V., & Ba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roach. Journal of Hapines Studies, 3(1), 71-9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 Vallerand, R. J. (2015). The psychology of passion: A dualistic model. Oxford University Press.
- Vallerand, R. J., Blanchard, C. M.,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https://doi.org/10.1037/0022-3514.85.4.756
- Vallerand, R. J., Mageau, G. A., Elliot, A. J., Dumais, A., Demers, M. A., & Rousseau, F. (2008). Passion and performance attainment in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9(3), 373-392. https://doi.org/10.1016/j.psychsport.2007.05.003
- Vallerand, R. J., Paquet, Y., Philippe, F. L., & Charest, J. (2010). On the role of passion for work in burnout: A process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78(1), 289-312.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9.00616.x
-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