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mary school teacher recognition for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 Focusing on science classes -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1.10.13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education systems worldwide, including in Korea. Due to COVID-19's social distancing policies, the education system was suddenly switched to distance learning, resulting in many problems in primary schools without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education techniques, responses to issues in science classes, including inquiry activiti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roles after experiencing distance learning. Survey and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d previously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such as online content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e study findings showed three conclusions: 1) Prim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one-way and interactive lectures in online classes. It is vital to improve a teacher's digital literacy to improve other teaching methods such as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n online classes. 2) Prim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the challenges of field feedback, inquiry item preparations, and safety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classes, by providing individual experimental packages and videos and using online discussion and feedback among teacher - student and student - student interactions. 3) Prim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various types of classes using IT device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ere possible as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As for disadvantages, it was acknowledged that inquiry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immediate feedback, and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challenging. Furthermore, learning gaps were wider in distance learning.

COVID-19 팬데믹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 시스템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다. 준비 없는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로 볼 때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교육의 목표와 방법, 과학탐구활동을 포함한 비대면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와 초등교사의 대응, 비대면 수업 경험 후 비대면수업의 장단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과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포함하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시행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53명)와 포커스 인터뷰(9명)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3가지 결론과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에 따라 일방향 강의와 쌍방향 강의를 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조사나 토론 등 강의 외의 수업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탐구활동의 어려움으로 현장 피드백의 어려움, 준비물 확보의 어려움, 안전 확보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개인 실험을 위한 실험 꾸러미와 실험 영상을 제공하고 온라인에서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협동적 논의와 피드백을 통해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의 장점으로 IT 기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가능하고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단점으로는 탐구활동이나 협동학습과 같은 대면 기반 수업이 어렵고, 학생의 이해 정도를 알 수 없어서 피드백이 어려우며,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어렵고, 학습 격차가 벌어진다고 인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대학ICT연구센터지원사업의 연구 결과로 수행되었음(IITP-2021-2020-0-01606).

References

  1. 계보경, 김혜숙, 이용상, 김상운, 손정은, 백송이(2020).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 기초 통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연구자료 GM 2020-11).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교육부(2020). 2020학년도 초등(특수)학교 원격수업 세부 운영 지침.
  4. 김덕종, 황미영, 원효헌(2021).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습부진학생 지도 경험에 대한 인식탐색: 코로나19 상황 비대면 수업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33(2), 376-387.
  5. 김주현, 홍영일, 최인철(2021). 코로나 기간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교사의 행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53-776.
  6.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초등과학교육, 39(4), 522-532.
  7. 김혜진(2020).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613-639.
  8. 박선호, 최희경(2020). 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목소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273-295.
  9. 박성진(2020). [코로나 6개월] 180도 바뀐 학교 풍경 ... 초유의 온라인개학. 연합뉴스, RetrievedJuly, 17, 2020,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200715176400530
  10. 박주만(2021).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미래음악교육연구, 6(1), 91-112. https://doi.org/10.36223/JNAFME.2021.6.1.005
  11.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서울시 초, 중, 고등학교 코로나19 대응 원격교육 현황 조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연구 연구보고서.
  12.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3-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7(3), 310-323. https://doi.org/10.15717/BIOEDU.2019.47.3.310
  13. 송신철, 심규철(2019).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53-464.
  14. 안서헌, 김준, 이정표(2021).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385-1410.
  15. 이윤미, 김순미(2021). 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및 인식 연구. 초등교육연구, 34(1), 1-28.
  16.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7.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37-966.
  18. Babincakova, M., & Bernard, P. (2020). Online Experimentation during COVID-19 Secondary School Closures: Teaching Methods and Student Perception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295-3300.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748
  19. Brandon, D. T. (2020). Unflipping the Flipped Classroom: Balancing for Maximum Effect in Minimum Lead-Time in Online Educa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01-3305.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795
  20.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21.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s Oaks: Sage Publications.
  22. Gares, S. L., Kari uki , J. K., & Rempel, B. P. (2020). Community Matters: Student-Instructor Relationships Foster Student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an Emergency Remote Teaching Environmen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32-3335.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635
  23. Gulseven, O., Al Harmoodi, F., Al Falasi, M., & Alshomali, I. (2020). How the COVID-19 Pandemic Will Affect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SRN Electronic Journal.
  24.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25. Jennifer, A., & Lipin, R. (2020). Students' Reflections on Pandemic Impacted Chemistry Learnin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7(9), 3327-3331. https://doi.org/10.1021/acs.jchemed.0c00613
  26. Nabukeera, M. (2020). The COVID-19 and online education during emergencies in higher education. Archives of Business Research, 8(5), 183-190. https://doi.org/10.14738/abr.85.8130
  27. Tarkar, P. (2020).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educ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29(9, Special Issue), 3812-3814.
  28. UNESCO. (2021). COVID-19: Education from disruption to recovery. Retrieved August 11, 2021, from https://en.unesco.org/covid19/educationresponse
  29. Wickman, P. O. (2004), The practical epistemologies of the classroom: A study of laboratory work. Science Education, 88(3), 325-344. https://doi.org/10.1002/sce.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