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Seoul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 Lee, Nayoung (DMZ HELP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1.12.10
  • Accepted : 2021.12.3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deriving factors that affect residents' life satisfaction by reg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hangsin/Sungin-dong, Haebangchon, and Garibong-dong regions where the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of Seoul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when autonomy among the local governance factors in Changsin/Sungin-dong and autonomy and network in Garibong-dong increased. When examining the factors of regional regeneration capacity for each region, in terms of local identity,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all three reg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the case of local communities,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residents increased when individual competence in Changsin/Sungin-dong and participation capacity and relationship competence in Garibong-dong increased. In terms of local assets, natural and social assets in all three reg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residents' life satisfaction in the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will be a meaningful data in promot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본 연구는 지역별로 주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하는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 지역을 사례로 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창신·숭인동에서는 로컬 거버넌스 요소 중 자율성, 가리봉동에서는 자율성과 네트워크가 증가할 때 주민 삶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지역재생역량의 요인을 살펴보면, 지역정체성은 세 지역 모두 경관적 특성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지역공동체는 창신·숭인동의 경우 개인역량, 가리봉동의 경우 참여역량, 관계역량이 증가할 때 주민 삶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산은 세 지역 모두 자연적 자산과 사회적 자산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계기석, 천현숙, 2001,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19.
  2. 고도인, 2014,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영향요인 분석: 폐광지역 7개 시.군을 중심으로,"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pp.181-206.
  3. 권오규, 2017,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은혜, 2017,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정주, 2015, 도시재생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민준, 2016, 주거지 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석준.곽진영.이선우.문병기, 2000, 뉴 거버넌스 연구, 서울: 대영문화사.
  8. 김영, 이정동, 2009, "지방중소도시의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 구축방안," 한국주거환경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4-54.
  9. 김영.서익진.이필용, 2008a, "마산시 도시재생사업 거버넌스의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4), pp.89-110.
  10. 김영.이필용.김남룡.정규식, 2008b,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1(3), pp.87-108.
  11. 김영.정규식.천성봉, 2013, "도심재생사업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창원시 마산합포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2), pp.43-70.
  12. 김일영.신중진, 2018, "주민공동이용시설이 주민역량강화에 미친 영향: 서울특별시 주거 환경관리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9(1), pp.83-100.
  13. 김재영, 2016, 로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도시재생과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동,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형양, 2006, "로컬 거버넌스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 연구 10(1), pp.181-203.
  16. 노미양, 2016, 공공지원이 공동체조직의 역량 및 조직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 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pp.1-26.
  18. 박현욱, 2015, 도시정체성 형성요인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정책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방정은, 2013, 지역재생사업에서의 지역사회교육 현상과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성기호, 2015, 공동체마을의 사회자본과 환경요인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신동선, 2010, 지방자치단체의 역사인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사례 분석 및 주민의 식조사를 토대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상준, 2012,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예철, 2012,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역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심영선, 2014, 한양도성 인접 노후주거지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통합적 재생방안 연구: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여혜진, 박성남, 김민지, 2015, "사회적 경제조직의 지역공동체 역량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6(4), pp.47-62.
  26. 오헌석, 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학회지 47, pp.191-213.
  27. 이나영, 2019a, 도시재생의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재생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나영, 2019b,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재생역량의 중요성: 서울시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9(4), pp.203-221.
  29. 이나영, 2020,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과 로컬 거버넌스: 서울시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3(2), pp.89-108.
  30. 이병민, 김기덕, 2014, "한국형 지역재생 개념수립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방안 모색," 국토지리학회지 48(2), pp.289-298.
  31. 이병수.김일태, 2001, "지방정부와 NGO간의 로컬 거버넌스 형성 조건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공무원과 NGO활동가들의 의식, 태도, 경험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4(2), pp.27-41.
  32. 이선영, 2016, 도시재생의 실현을 위한 지역자산의 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영균.김동규, 2007, "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pp.223-250.
  34. 이영아, 2009, "영국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3), pp.99-114. https://doi.org/10.35149/JAKPG.2009.19.3.009
  35. 이영아, 2013,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의 참여와 배제: 영주시 삼각지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46, pp.102-130.
  36. 이왕건.강미나.김명수.이현지.이종화, 2010, 지방 대도시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주여건개선방안, 국토해양부.
  37. 이왕건.박태선.박정은.류태희.이유리, 2011,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51.
  38. 이필용, 2009, 도시재생사업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익현, 2015, 로컬 거버넌스 특성이 재생전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천군을 중심으로,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전창진, 2014,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전창진.김종진, 2014, "지역자력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분석: 전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사례," 주거환경 12(1), pp.219-231.
  42. 정규식, 2012, 도시재생사업에서 로컬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시 마산합포구 원도심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초의수, 2008,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4, pp.1-26.
  44. 최병두, 2008, "도시발전 전략에 있어 정체성 형성과 공적공간의 구축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5), pp.604-626.
  45. 최지남, 2015, 도시정비과정에서의 거버넌스 주체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최현선.이현주.이은지, 2012,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도시재생정책: 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2(3), pp.255-275.
  47. 하재구, 1986, 서울시민의 삶의 질의 실태와 시정부의 공공정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한은정, 2007, 경관체험론적 지역정체성 유추모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석동, 2016, 소득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지역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홍종득, 2007, 로컬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광명시 고속철도역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Bryant, F. B. and Veroff, J., 1982, "The Structure of Psycological Well-Bing; A Sociohis tor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pp.653-673. https://doi.org/10.1037/0022-3514.43.4.653
  52. Bull, A. and Jones, B., 2006, "Governanace and Social Capital in Urban Regeneration: A Comparison between Bristol and Naples," Urban Studies 43(4), pp.767-786. https://doi.org/10.1080/00420980600597558
  53. George, D. and Mallery, P., 2003,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1.0 update(4th ed.), Boston: Allyn & Bacon.
  54. Roberts, P., 2017, The evolution, definition and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in Roberts, P., Sykes, H. and Granger, R.(eds.), Urban regeneration(2nd), London: SAGE, pp.9-43.
  55. Sousa, L. and Lyubomisrsky, S., 2001, Life satisfaction, in Worell, J.(eds.),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San Diege CA: Academic Press.
  56. Stoker, G., 1998,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Urban Governance, in Pierre, J.(ed.), Partnerships in Urban Governance: European and American Experiences, London: Macmillan.
  57. Veenhoven, R. and Ehrhardt, J., 1995, "The cross-national pattern of happiness: Test of predictions implied in three theories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4, pp.33-68. https://doi.org/10.1007/BF01078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