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제주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 24(2), 105-124.
- 강호감, 김태훈(2014).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4(6), 1025-1038. https://doi.org/10.9722/JGTE.2014.24.6.1025
- 교육부(2013).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부.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 권선혜, 허소현, 양용칠(2015).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과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지, 11(1), 45-63.
-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 김권숙, 최선영(2012).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 김도연, 전영석(2020). 과학 독서록을 통한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 과학영재교육, 12(1), 49-62.
- 김맹범, 양지혜, 홍승호(2016). 초등과학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내진 설계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6(1), 41-53.
- 김선희, 김언주, 박은희, 심재영(2006). PBL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3), 285-297.
- 김영환, 김지원, 김영진(2008). 초등학교 체험학습 운영개선방안: 부산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2(3), 837-859. https://doi.org/10.24231/RICI.2008.12.3.837
- 김지환, 방미선, 배성철, 홍연숙, 최종경, 이나리, 서승갑, 배진호, 이용섭, 이형철, 소금현(2014). 영화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인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120-132.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5-45.
- 박애리나, 김용권(2014).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3(3), 439-452.
- 서권수(2013). 초등과학영재들의 과학적 창의성 및 태도신장을 위한 과학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나만의 창의적인 간장 만들기.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진나(2011). 과학영재의 과학학습동기,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병행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명렬, 서혜애(2017).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 27(3), 367-386. https://doi.org/10.9722/JGTE.2017.27.3.367
- 신명렬, 이용섭(2011a).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1.020
- 신명렬, 이용섭(2011b).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6. https://doi.org/10.9722/JGTE.2011.21.2.337
- 신명렬, 이용섭(2012). 과학캠프 운영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2(4), 967-983. https://doi.org/10.9722/JGTE.2012.22.4.967
- 신재한(2013).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학습과학연구, 7(2), 29-53.
- 옥승현, 최선영(2014). 영흥도 지역자원을 활용한 학교 밖 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 38(2), 356-375.
- 우용배, 홍승호(2017). 초등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생태계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5(1), 159-168.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159
-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연순, 체제숙, 백은주, 임현화(2004)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 연구. 교육방법연구, 16(2), 1-28.
- 주현재, 강인애(2011).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 11(4), 419-448.
- 최영미, 홍승호(2013). 주변의 생물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1(4), 569-588.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4.569
- 최윤선(2005).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정임(2004).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1), 37-61.
-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206
-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년 STEAM 프로그램 개발시범적용 만족도 조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홍현정, 배진호, 소금현(2015). STEAM 기반 야외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3(4), 344-354.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344
-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 Barton, A. C., Tan, E. & Rivet, A. (2008). Creating hybrid spaces for engaging school science among urban middle school gir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5(1), 68-103. https://doi.org/10.3102/0002831207308641
- Gutierrez, K. D., Baquedano Lopez, P., Alvarez, H. H. & Chiu, M. M. (1999). Building a culture of collaboration through hybrid language practices. Theory into Practice, 38(2), 87-93. https://doi.org/10.1080/00405849909543837
- Moomaw, S. (2013). Teaching STEM in the early years: Activities for integrat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 Paul, MN: Redleaf Press.
- Perelman, L. J. (1992). School's out: hyperlearning, the new technology, and the end of education.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 Watters, J. & Diezmann, C. (2003). The gifted student in science: Fulfilling potential.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9 (3), 46-53.
- Yakman, G. (2006). STEAM pedagogical commons for contextual learning. Unpublished class paper for EDCI 5774, Virginia Tech.
- Yakman, G.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on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