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화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yth Storytelling

  • 박찬익 (청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투고 : 2020.11.23
  • 심사 : 2021.01.08
  • 발행 : 2021.01.31

초록

근래에 개봉된 많은 영화들이 신화를 모티브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영화 속 일관된 세계관의 정립없이 흥미있는 요소만을 맥락없이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이야기는 산만해지고 관객들의 흥미는 반감된다. 이런 추세에도 불구하고 신화를 원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진 않다는 점에서 신화 원형 스토리텔링의 현대화에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토르 시리즈>와 게임 <라그나로크>를 보면 신화의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기본을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대의 문화 콘텐츠에서 신화의 스토리텔링이 수용되는 경우는 다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신화 원전의 스토리텔링을 충실히 따르면서 각색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경우, 원전 신화의 모티브만을 차용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 영화 <토르 시리즈>가 대표적인 경우다. 원전 신화의 내용과 상관없이 신화의 특정 모티브만을 차용한 경우. 토르와 로키가 등장하는 마블의 <어벤져스 시리즈>가 대표적인 경우다. 원전 신화의 스토리텔링을 수용하고 추가적으로 창작된 이야기를 덧붙이는 경우. 게임 <라그나로크>가 대표적인 경우다.

There are many reasons why myths are used in the cultural context. However, the primary reason is that myths tend to be a safe choice as they are guaranteed to be entertaining and connect people over the past thousands of years, and are also free from issues related to plagiarism. In particular, myths from Northern Europe are used in many parts of modern cultural content as they have a clear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and present a universe with various tribes and worlds. This study analyzed the movie series of Thor and the game Ragnarok to investigate how myths are used in the modern cultural context. In the movie series of Thor and the game Ragnarok, it is possible to identify how myths are modified while keeping their basic storyline.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키워드

참고문헌

  1. J. Y. Ko, How the myth melted into the , Sisa In, 2015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95 (accessed May. 15, 2015)
  2. Y. A. Kim, J. S. Lee, H. S. Moon,. Myth, meet with the movie, p.344, Amormundi Publishers, 2015.
  3. M. Y. Lee, (2007). Mythos und' culture contents, Hesse-Forschung 18, 157-180
  4. M. H. Han. (2010). Visualization research based on hero tale stories in a fantasy movi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 11(2), 185-194
  5. H. S. Lim, Y. Y. Choi. & K. W. Kim. (2004). Edda.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6. S. W. Choi. (2012). Nordic Mythology tour. Paju Gyeonggi-do : Seahemunjip Publishing.
  7. H. Y. Song, "Wagners Oper, Nordische Mythologie und das Computerspel", Franz Kafka, No.27, pp.167-186, June. 2012.
  8. D. E. Lee, "A study on Homology between Game Storytelling and Mythology", Humanities Contents, No.27, pp.105-115, Dec. 2012.
  9. M. Y. Lee, "Hypertext, Interactivetext and Germanic Mythology", Korean Germanistik, Vol.61, No.1 pp.137-116, Mar. 2020. DOI: https://doi.org/10.31064/kogerm.2020.61.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