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대학생들은 입학과 동시에 전공을 선택하고 청소년 시절과는 다른 새로운 학문과 더불어 진로 및 취업, 대인관계 등의 상호작용 속에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대학생들은 전공을 선택한 후에는 취업 준비라는 선택과도 마주하게 되는데, 무엇보다 전공선택은 자신이 속한 전공학과로부터 이론적, 실제적인 교육적 요소를 포함하여 전문화된 전공 능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가장 중요한 선택 중의 하나이다. 전공을 선택하는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게 되지만, 개인의 적성이나 흥미, 직업의 가능성, 취업 전망 및 인기학과 등 전공을 통한 자기 개발 가능성, 전공공부 정도[1]는 선택 동기가 되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헤어전공은 일반 전공과는 다른 실용학문 영역이므로 전공의 전망과 함께 미래의 직업에 대해서도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직장은 미용실로 구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취업준비를 위하여 학업성적 향상 및 다양한 스펙을 쌓기 위한 취업준비 활동이 대학생활에서 필요하다. 실제 헤어전공 대학생들은 전공 선택에 있어서 재능이나 흥미를 가지고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공선택이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취업준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2]. [3]전공만족도는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자신의 속해있는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로[4], 진로나 직업 선택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5]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6]개인적 동기로 학과를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높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7]흥미나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소질을 기반으로 하여 전공학과에 대한 적응력, 참여도가 높고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전공만족이 높은 것은 전공과 직결되는 직업 선택의 가능성이 높고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도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5]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만족하게 되면 진로에 대한 뚜렷한 계획을 세우고 취업에 대한 준비를 하지만, 만족하지 못할 경우 면학분위기가 저해되어 학교 부적응으로 이어져 [8]학업을 중도 포기하게 되는 경우와 진로에 대한 혼란을 유발하여 취업 준비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생 시기에 취업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역량을 준비해 나가는 하나의 과정으로[8]. 졸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있어 취업준비행동은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공에 대해 만족한 학생들은 학교수업과 학과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취업에 대한 목표가 뚜렷하게 설정되어 취업준비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전공선택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공만족도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전공선택과 전공만족도가 연결되어 더욱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취업준비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미용전공 학생들은 전공선택이 진로 결정으로 직결되므로 헤어전공 학생들의 취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는 전공만족 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전공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전공선택에 대한 확신과 전문성 있는 전공 교육을 통해 경쟁력 있는 취업 준비행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학과에서는 전공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하여 현장에 대한 기대감과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 전공만족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 살펴보고,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에서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헤어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계획하고 관리하여 실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가?
II. Research design
1. Subject and Design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있는 전문대학교에서 미용을 전공하는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6월 5일부터 2019년 6월 2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B지역의 3개 전문대학의 헤어전공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였다. 응답소요시간은 약 15분 내외였다. 질문지는 총 20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170부를 회수하였으나 설문지의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답변을 기재한 16부를 제외하고 총 154부가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35명(22.7%), 여학생이 119명(77.3%)으로 여성이 많았고 학년의 분포는 1학년이 78명(50.6%), 2학년은 76명(49.4%) 순으로 나타났다.
2. Research Tool
1) Major selection motive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공선택동기 척도는[6], [9]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10]가 미용전공 대학생에게 맞추어 재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13문항으로 개인적 동기(5문항)와 사회적 동기(8문항)의 두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개인적 동기는 자신의 흥미, 재능,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고, 사회적 동기는 직업의 안정성, 경제적인 문제, 전공의 인기도와 사회적 인식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척도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높음을 의미한다. [10]의 연구에서는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측정한 결과 .842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체 문항 신뢰도 계수는 .835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동기는 .973, 사회적 동기는 .808로 나타났다.
2) Major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공만족도 척도는 [11]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1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10]의 연구에서는 전체 문항 신뢰도계수가 .93로 나타 났으며,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의 전체 문항 신뢰도 계수는 .94로 나타났다.
3)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에서 사용한 취업준비행동 척도는 [11]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1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을 잘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10]의 연구에서는 신뢰도 계수(Cronbach’s α)가 .884,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838로 나타났다.
3. Data analysis method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5 Version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에 의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III. Empirical Analysis
1. descriptive statistics
본 연구의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 석을 실시했다. 측정 변인들과 변인들의 하위영역들에 대한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의 기술 통계값을 산출하여 아래의 에 제시하였다.
헤어전공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의 평균은 3.97, 사회적 동기의 평균은 2.94, 전공만족도의 평균은 4.32이며, 취업준비행동의 평균은 3.48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왜도의 절대값이 2보다 작고 첨도의 절대값이 10보다 작으면 정규분포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12]. 본 연구에서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왜도는 절대값 .01~1.05, 첨도는 절대값 .03~.90이므로 정규분포성 기준에 충족되었다.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2. Correl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에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과 같다.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r=.60, p<.01)와 취업준비행동(r=.51,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헤어전공 대학생이 전공 을 선택할 경우 개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경향이 높 으면 전공만족도가 높고 취업준비행동도 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중 사회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와는 상관이 없었으며, 취업준비행동(r=.17, p<.05)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r=.50, p<.01)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즉 헤어전공 대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취업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2. Correl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3.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s and major satisfaction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과 같다.
Table 3.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s and major satisfaction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회귀분석을 하기 전에,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차한계와 VIF계수를 확인하고, 변인들 간의 오차항간의 독립성 검증을 위하여 Durbin-Watson test를 실시하였다. 공차한계는 일반적으로 값이 0.4이하면 다중공선성을 의심할 수 있고, 0.1 이하인 경우 심각한 다중공선성 상태를 의미한다[13]. VIF는 10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지 않는다[14]. Durbin-Watson test는 통계값이 4에 가까우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0에 가까우면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2에 가까울 때는 인접한 오차항들이 독립성을 만족함을 의미한다[14].
본 연구에서 공차한계값은 .60~.93로 0.1이상이며, VIF는 1.08~1.67로 나타났다. Durbin-Watson test를 실시한 결과, 1.575로 2에 가까운 값이 나와 자기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회귀분석의 가정을 만족시켰다.
에 의하면, 헤어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 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 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β=.30)와 전공만족도(β=.32)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의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할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을 잘 한다고 볼 수 있다.
4.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이를 바탕으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
Fig. 1.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 ) is the beta value prior to controlling major satisfaction,
***p<.001
Table 4.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personal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N=154)
***p<.001
1단계에서 개인적 동기는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β=.59, p<.001), 2단계에서 개인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51, p<.001).
3단계에서는 개인적 동기와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인으로 하고 취업분비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β=.31, p<.01), 개인적 동기가 취업준 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2단계(β=.51, p<.001)보다 3단계(β=.32, p<.0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헤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전공 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히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 검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Z=3.00, p<.01)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동기는 1단계에서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β=.49, p<.001)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association between major (social selection motives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N=154)
***p<.001
Fig. 2.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 ) is the beta value prior to controlling major satisfaction,
***p<.001
IV. Discussion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헤어전공 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 척도, 전공만족도 척도, 취업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므며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전공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사회적 동기와는 상관이 없었다. 이는 개인의 자질, 흥미, 가치관 등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취업준비행동을 잘 하는 반면, 사회적 인지도, 경제적 문제, 취업전망, 사회 기여도, 주변의 권유 등의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는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개인적 동기에서 조리전공을 선택한 학생은 실기 교육 중심의 수업에 대한 참여도도 높고 목표의식도 뚜렷하여 적극성을 보이는 부분에서 헤어전공 대학생의 실습 위주의 수업과 비교할 떄 유사한 맥락이라 여겨진다[10].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가 증가하면 전공만족도도 높아지는 정적 관계를 보였고 개인적 동기가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인 [8]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취업준비행동에서는 개인적 동기와 정적 관계로 나타났고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취업준비행동도 높아진다고 [10]나타난 결과로 볼 때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 모두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학생 개개인에 대한 동기부여 및 전공 능력 향상을 위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수업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즉 개인적 동기가 높고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을 잘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개인적 동기가 사회적 전공선택 동기보다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학업태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며[15], 학업태도에서 좋은 결과가 나타나며[16], 학업적응도가 높다[17] 한 연구들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개인적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인이 자신의 재능, 흥미, 적성, 그리고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자기탐색 및 진로진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으로 자기자신에 대한 정보 즉적성, 흥미, 능력, 성격과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 [18]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셋째, 헤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으나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접 효과만 있었다. 이는 헤어전공 대학생들이 개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업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전공만족도 변인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환경 및 심리적 환경 변인과 관련되어 있는데, 전공과 흥미일치와 자신의 적성 및 흥미와 일치도[19]가 전공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며, 교수와의 관계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전공만족 도가 높고 [20], 전공교과과정과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 식, 그리고 진로방향 [21]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헤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 만족, 교과만족, 수업만족, 인식만족 등을 높여주고[22], 실습실, 기자재 등 수업과 관련된 학교시설 등을 미래의 직업 기준과 맞추어주는 것이 필요 하다[4]. 학습동기 역시 목표지향적이고 학교생활 적응도가 높을 때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23] 진로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결정에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24], 전공만족도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25]는 취업준비행동을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중간활동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은 취업준비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예비적 취업준비행동(학점관리, 직업교육훈련, 자격증 취득, 인턴체험 등)과 본격적 취업행동(이력서 제출, 시험 응시, 인터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장기적으로 자신의 취업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헤어전공 대학생들에게는 미래의 취업을 위하여 취업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자격취득, 현장학습 및 실습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고, 실제 헤어전공 교과과정에서 중 요영역으로 운영되고 있어 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전공만족도가 높을 때 취업준비행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공학과에서는 전공만족을 위한 다방면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고 학생들이 잘할 수 있는 학습활동에 동기부여를 함으로써 효과적인 취업준비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 비행동에 전공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B지역의 일부 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의 범위와 대상자 수를 확대 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전공선택 동기나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생들의 진로와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변인들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학교생활이나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내용들을 질적 연구를 통해 병행된다면 훨씬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헤어전공 대학생들의 취업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References
- Lee Myung-ae, A Study o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Deciding College Majors in the Division System as Academic Organization 20(3), pp81-101, 2007.
- Lee, Doog-Ja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Dept, of Nurs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Fducation, 2004.
- Lim, dae-kyu, Kwon Hai-sook, Oh Won-Jung , The Influence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Major Satisfac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Employability, Employment Strategies, Major Hope for Employment - In case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ax and Accounting -Korean Employment and Career Association 2016,
- Ha, Hye-Suk,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 Kim Su-young, A Research on Selective Motives for Specialization and Career Decision of Graduators Majored Social Welfare in University -Case of Three Universities in Chonbuk Reg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Wonkwang University, 2007.
- Choi, Young-Jae, The Effects of Senese of Values-Major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deacision-makig styles, Dept, of Beauty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rts Tne Graduate School of Seokyoung Universtity, 2015.
- Ki Hyun-J, A Study of Model Students' Motivational Factors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nd Career Choices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and Different AcademicLevel -Dongduk Women's Unifersity, paper of masters degree, 2013.
- Han Ye-Jung,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and their Work Valuerso funiversity students -Target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whospecializedin cooking/dining related, Department of Hospitality&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 2014.
- Song, Yun-Jeong, The Effea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 - 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Dept of Education Graduat School, Dong - A University, 2014.
- Choi Ji-A,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otives for Choosing Beauty Art Major and Career Values on Their Cla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ung University, 2015.
- Lee Kyung-Lae, Influence Which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 Makes on a Choice of Career with High School Students Relevant to Cooking, Department of Culinary Art Graduate School of Industry, Chodang University, paper of masters degree, 2009.
- Kang Da-yeong, Kim Gab Sook,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Resistance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Art Therapists:The Mediation Effect of the Art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Korean Art Therapy Assooiaion. 25,(5), 589-608, 2008. https://doi.org/10.35594/kata.2018.25.5.001
- Oh, Joo-Han, Chung, Seok- Won, Multivariate Analysis for Clinicians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16(1), 63-72, 2013. https://doi.org/10.5397/CiSE.2013.16.1.63
- Seong, Tae-Jae, The effect of 'don't know' option and differential scoring for 'dont't know' option in multiple-choice test on DTF and person fi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3), 53-74, 2007.
- Oh Min-Jae,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16.
- Ko Beom-Seok, Kim Deok-Hui,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Practical Class Attitude of Major for Culinary and Bak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FoodService Association, 9(1), 59-66, 2013.
- Ku, Yoon-He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Type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r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7.
- Kim, Bong -Wha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 Yang Myong-Hee, Park ․Myoung-Ji, Kim Hee-Joung, The Effects of Congruence, Score Elevation & Types of Interest o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2), 137-156, 2010.
- Shin Chung-Sick, Kim Chae-He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on Student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17(4), 957-965, 2008.
- Han Ye-Jung,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of HighSchool Students Special izing in Cooking on Course Maturity, Dong-A University, 14-71, 2008.
- Jeong, Hee-Young, A S셔요 on major Satis 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dents majoring in beauty, DepartmenrofHospitality&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 2010.
- Hwan, g Yeo- Jung, Kim Kyung-keun, Determinan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general high school,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16(2), 181-203, 2003.
- Jong, Sun-Chul, A Typology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Analysis of Related Personal and Cognitive Variable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2003.
- Lee so Seung-Gu, Lee Je-Kyung,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of Korean University Student, Depending on Employment Goal,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1(3), 11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