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ealing Community Space Applied Prospect and Refuge Theory - Architectural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Heal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Era -

전망과 은신처 이론을 적용한 치유적 커뮤니티 공간 연구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심리치유를 위한 건축적 방안 -

  • 김순웅 (국립목포대학교 건축학과) ;
  • 조선희 (국립목포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21.01.08
  • Accepted : 2021.02.22
  • Published : 2021.02.25

Abstract

We have lived in a highly dense environment since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industrial age.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the need for individual spaces for telecommuting or non-face-to-face classes in residential spaces. I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housing types for one-person,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is increasing more than ever due to COVID-19. This study explored problems in residential spaces and the solutions to relieve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in this pandemic era.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urtyard housing in France was examined as an example. Based on the case study, the meaning of threshold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reinterpre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ing community space in this pandemic era were proposed by applying prospect and refuge theory.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선, 문정민, 심리적 안전감을 주는 주거지 보행공간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6), 2017.
  2. 김봉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0(4), 2003.
  3. 김용호, 묻지마 칼부림...임계치 넘어선 코로나 블루, '코로나 레드'로, 시사저널, 2020.11.7.
  4. 김주미, 공간디자인에 적용된 프랙탈 특성의 인지생태론적 효과,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2), 2011.
  5. 김준래, 코로나-19 사태는 공간 변화의 신호탄, 사이언스타임즈, 2020.6.5.
  6. 김진모, 시선과 응시의 관계로 본 현대건축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5), 2008.
  7. 목정호, 정재용,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집합주택 설계-블록형 집합주택의 중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6(2), 2016.
  8. 박정은, 이현수, 자연의 자기유사적 패턴 건축의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3), 2018.
  9. 손세관, 중정형 도시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문화적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1), 1994.
  10. 이선정, 도시공동주거 공간과 인문학적 요소의 관계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사회.문화적 관점으로의 파리 아파트 지속가능성 고찰,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3(4), 2018.
  11. 이세영, 김수환, 소우 후지모토의 '사이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60, 2017.
  12. 이은환, 코로나-19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진단, 5(1), 2020.
  13. 전명화 외 7명, 초고층 주거건물 내 공용공간의 특성 및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2), 2005.
  14. 정나영, 정은영, 에드워드 호퍼와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에 나타난 시선과 응시의 교차에 관한 소고, 한국기초조형학회논문집, 17(6), 2016.
  15. 정재헌,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분석한 레 오트폼 집합주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6), 2000.
  16. 조주현, 개방과 폐쇄의 관점에서 본 파리의 블록형 도시주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30, 2010.
  17. 최순섭, 김광현, 현대건축의 타자적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4), 2006.
  18. 최원호, 무의식의 주체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7(9), 2014.
  19. 한지형, 크리스티앙 드 포잠팍의 "제3세대 도시" 이론과 "열린 블록"의 체계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8), 2004.
  20. 허미담, "화가 나 견딜 수 없다" '코로나 블루' 이어 '코로나 레드' 주의보, 아시아경제, 2020.9.15.
  21. 황지현, 이현수, 심리 치유를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 연구-경회루의 전망과 은신처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1), 2016.
  22. Appleton J, Prospects and Refuges Re-Visited. Landscape Journal, 3(2), 1984.
  23. Bueno-Notivol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 meta-analysis of community-based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21(1), 2020.
  24. Buss D., 마음의 기원, 김교헌, 권선중 역, 서울: 나노미디어, 2005.
  25. Ettman, C. K.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symptoms in US adul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AMA Network Open, 3(9), 2020.
  26. Evans G. W., Wells N. M. and Moch A., Housing and mental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a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critique. Journal of Social Issues, 59(3), 2003.
  27. Hall E., 숨겨진 차원: 공간의 인류학, 최효선 역, 서울: 한길사, 2002.
  28. Hillery G.,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955.
  29. Kellert S. et al., Biophilic design: The theory, science and practice of bringing buildings to life. John Wiley & Sons, New Jersey, 2011.
  30. Schraer R., Depression doubles during coronavirus pandemic. BBC News. Published 18 August, 2020.
  31. Wilson E., 바이오필리아, 안소연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