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Priority Level of Recognition by Gender for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성별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의 우선순위 인식 차이 연구

  • 박청호 (사)한국유니버설디자인협회)
  • Received : 2021.01.18
  • Accepted : 2021.03.03
  • Published : 2021.03.1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priority level of recognition for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in public spaces by gender. Method: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iority level of recognition and pattern for the disabled, non-disabled, and experts classified into males and females. Resul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y sector for all males and females. However, in comparing of domains and facilities, women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han men in the building sector and cross domain. When comparing space consumers and producers by dividing them into male and female groups, women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han men in producers, bu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In comparison by sector, domain and facility, women producers also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in the road sector, park and recreation sector, sidewalk domain, four-spaces in the park and recreation sector, and six-spaces in the building sector than men producers. Also, in the building sector, women producers and consumers showed a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men. Comparing the disabled, non-disabled people and experts by dividing them into male and female groups, in the case of non-disabled people and experts, women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han men, while men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han women in the disabled.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patterns in many spaces and facilities by gender.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level of recognition and patterns between men and women to apply universal design for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Keywords

References

  1. 김나연, 이영화, 이재원, 2011, "성별(性別) 차이에 따른 길 찾기에 관한 연구", 정보디자인학연구, 14(1), 1-12쪽
  2. 김민정, 2005, "광고 유형에 따른 남녀 반응의 차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 김수영, 김태호, 2001,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현황 및 방향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 138-139쪽
  4. 김태희, 김보연, 2019,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 서울자전거 '따릉이' 사용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7(1), 287-293쪽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87
  5. 민동권, 박인석, 김석균, 유한나, 이수진, 정원희, 박찬미, 배선미, 이주희, 이희진, 정태인, 2018, "2018 서울디자인서베이.서울유니버설디자인서베이", 서울디자인재단
  6. 박선아, 이명우, 2012, "전주시 건지산 숲길 유니버설디자인사업 이용 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40(6), 60-69쪽 https://doi.org/10.9715/KILA.2012.40.6.060
  7. 박성준, 2014, "가로 휴게시설물의 이용자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6), 142-149쪽
  8. 박청호, 성기창, 2020a, "공공공간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공간소비자와 생산자 간 분석", 디자인융복합연구, 19(4), 113-129쪽
  9. 박청호, 성기창, 2020b,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리고 전문가 세부 유형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공공공간의 우선순위 인식패턴 분석", 디자인융복합연구, 19(6), (in press)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서울시 공중화장실 관리 및 시설향상방안 연구"
  11. 서울특별시, 2000, "도심지 내 주요 가로 및 지역의 적정화장실 소요판단 연구"
  12. 서종환, 김순덕, 2005,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있어 성별에 따른 선호 스타일 연구", 감성과학, 8(3), 221-230쪽
  13. 손해성, 강경연, 이경훈, 2019,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건축계획요소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0(2), 141-169쪽
  14. 송복희, 윤한경, 정광태, 2000, "노인 사용자를 고려한 전자레인지의 유니버설디자인", 대한인간공학회지, 19(1), 37-48쪽
  15. 오석태, 2015, "안전 환경 인식과 사고 경험에 따른 외식산업 주방 종사원의 안전사고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21(2), 85-102쪽
  16. 윤민형, 김신원, 2014,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안양천의 친수공간 평가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591-602쪽 https://doi.org/10.17280/JDD.2014.14.1.059
  17. 이정원, 김보영, 2012, "브랜드 로고타입에 적용된 캘리그래피에 대한 감성이미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5(2), 115-124쪽
  18. 이종길, 2017,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유아 유니버설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인문사회, 8(4), 507-533쪽
  19. 이현주, 강상경, 2009, "장애인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 및 우울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3, 193-217쪽
  20. 장미현, 2013,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성인지적(Gender-Sensitive) 분석 모형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조상원, 이소연, 2020, "교통약자의 복합상업시설 접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1(1), 71-78쪽
  22. 주일엽, 2013, "도시공원 범죄예방을 위한 지방행정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9(4), 119-142쪽 https://doi.org/10.25023/KAPSA.9.4.201302.119
  23. 최성수, 2015, "남녀 성별에 따른 인지 행동적 차이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4), 307-318쪽
  24. 하미경, 제해성, 1997, "유니버설 디자인 보급을 위한 기존 시설물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3(5), 107-115쪽
  25. 홍윤노, 2015, "계단을 내려오는 동작 시 시상면에서의 발목관절과 무릎관절 운동학 및 운동역학 남녀 차이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6. 황동호, 2019,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현황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4(4), 43-51쪽
  27. Edward, Steinfeld. & Jordana, Maisel, 2012, Universal design: creating inclusive environments, 1st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28. Gurin, Michael. & Annis, Barbara, 2008, Leadership and the Sexes: Using Gender Science to Create Success in Business, 1st edition, Jossey-Bass, Hoboken in New Jersey,
  29. Matthew, Carmona. & Tim Heath. & Taner Oc. & Steve Tiesdell, 2003, Public Places 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1st edition, Architectural Press, Oxford, UK.
  30. http: //www.design.ncsu.edu/cud/ (Center for Universal Design. 2020. 0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