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웹 접근성 평가 지표 개발 방향 제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Web Accessibilit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이은숙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비즈니스인포매틱스) ;
  • 차경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대학)
  • 투고 : 2020.09.14
  • 심사 : 2021.01.04
  • 발행 : 2021.03.31

초록

웹 접근성은 국내 공공 웹사이트 부문에서 이용자가 정보와 기능에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법적 의무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설계 및 개발을 보장하는 웹 접근성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토대로 소개한다. 국내 웹 접근성 분야에서 학술 연구자들의 인용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웹 접근성 분야 연구 네트워크 생성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 연구 사이에 관계 및 인용 형태를 네트워크로 나타냄과 동시에 인용관계를 보여주는 시각화 요소로써 향후 학술 연구 네트워크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00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약 17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총 50편을 대상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연구자, 평가 대상, 평가 방법, 평가 결과별로 평가 메트릭스를 조합하고 가중치 적용을 통하여 해당 분야와 관련된 한국의 웹 접근성 분야 및 웹 접근성 평가 연구 방향성과 평가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연구자 동향 네트워크 관련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Web accessibility is presented as a legal obligation to ensure users can access and use information and functions equally in the domestic public website sector. This study introduces the researcher network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order to show the citation relationship by identifying the network among researches in the field of web accessi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nd citation of academic researchers in the domestic web accessibility field, confirm the process of creating a research network. It is a visualization element that shows the citation relationship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nd citation form between the studies as a network.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the network, and it can be confirmed and can be usefully used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network analysis.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analysis for about 17 years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17, a total of 50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registe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candidate journals. By combining the evaluation metrics for each researcher, evaluation target,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result for web accessibility, and applying weights, identify the research direction and evaluation research trends in Korea's web accessibility field related to the relevant field and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research trends, and related to the researcher trend net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웹 접근성 연구소(2019), www.wah.or.kr (accessed Sept., 7, 2020)
  2. 국가법령정보센터(2019), www.law.go.kr (accessed Sept., 7, 2020)
  3. 김미정, 김자미, "한국의 웹 접근성 평가 연구동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제7권, 제1호, 33-42쪽, 2018년 1월 https://doi.org/10.3745/KTSDE.2018.7.1.33
  4. 제갈돈, "공공부문 프로그램평가에서 사회네트워크 분석 (SNA)의 적용 가능성," 연구방법논총, 제4권, 제3호, 1-32쪽, 2019년 11월
  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년 한국인터넷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314쪽, 2019년
  6. W3C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2019), www.w3.org/WAI/fundamentals/accessibility-intro(accessed Sept., 7, 2020).
  7. 김남진, 이학준, 우이구, "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2.0 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비교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8권, 제2호, 155-170쪽, 2017년 4월
  8. 국립전파연구원,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방송통신표준 KCS.OT-10.0003/R2),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 1-48쪽, 2015년
  9. 구중억,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1호, 75-101쪽, 2011년 2월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075
  10. 박성제, 홍순구, 김종원, "반응형 웹 사이트의 접근성 평가 및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47-55쪽, 2016년 6월 https://doi.org/10.9723/jksiis.2016.21.3.047
  11. 류시천, 최진영, 심미희,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UX 디자인 평가 접근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3호, 70-79쪽, 2019년 8월 https://doi.org/10.30693/SMJ.2019.8.3.70
  12. 안동혁, 김은정,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단말에서의 워크스코어 어플리케이션 GUI 개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2호, 86-93쪽, 2019년 4월 https://doi.org/10.30693/smj.2019.8.2.86
  13. 김혜리, 이상준,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4호, 19-25쪽, 2017년 8월
  14. 전지은, 이상훈, "사회 연결망분석을 활용한 법제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원자력산업의 관계 법령정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8호, 47-60쪽, 2019년 8월 https://doi.org/10.14400/jdc.2019.17.8.047
  15. 김홍광, 안종욱,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지적과 국토정보, 제49권, 제1호, 113-121쪽, 2019년 6월 https://doi.org/10.22640/LXSIRI.2019.49.1.113
  16. 천기우, 김해도, 장경수, 장현주, "논문 인용관계 분석을 통한 젊은 유망 연구자 발굴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96-112쪽, 제주, 대한민국, 2018년 11월
  17. 윤병의, 김태석, 박종모, 박유진, 김진호, 한동석,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건축계획 분야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33권, 제2호, 61-68쪽, 2017년 2월
  18. 김동석, 박건우, 이상훈, "SNA 기반 C4I 체계 네트워크 효과 평가 알고리즘," 정보과학회논문지: 데이타베이스, 제40권, 제4호, 243-250쪽, 2013년 8월
  19. 김민성, 임일, "소셜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협업필터링의 Grey Sheep 문제 해결,"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13-323쪽, 2014년 5월
  20. 이수상,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연구: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105-125쪽, 2011년 6월
  21. Wasserman, S., Faust, K., & Faust, K, "Social Network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8), 1994.
  22. Newman, M. 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plex networks," SIAM review, 45(2), pp. 167-256, Mar. 2003. https://doi.org/10.1137/S003614450342480
  23. Kim, H. K., Kim, J. K., & Chen, Q. Y, "A Network Approach to Derive Product Relations and Analyz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5(4), pp. 159-182. 2009.
  24. Freeman, L,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1, pp. 687. 2004.
  25. Freeman, L. C,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on betweenness," Sociometry, pp. 35-41, 1977.
  26. 강동준, 이길남, "SNA (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한국무역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무역학회지, 제40권, 제5호, 1-23쪽, 2015년 11월
  27. Freeman, L. C, "COMPUTER PROGR MS ND SOCI L NETWORK N LYSIS," FROM THE NEW EDITORS, 11(2), 26. 1988.
  28. 허필희, 이충권, 김양석,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이슈 라이프사이클에 관한 연구- 삼성 갤럭시노트7 사례,"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4호, 99-105쪽, 2018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18.7.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