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Place Location Knowledge Items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cusing on Human (Economic) Geography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출제 경향 연구: 인문(경제)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 Lee, Soyoung (Center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소영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수원)
  • Received : 2021.02.28
  • Accepted : 2021.03.22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explores the tendency of the items that require Place Location Knowledge (PLK)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ographical regions of the items are spatially skewed, especially in the Yeongnam regions, which are test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e others. Second, the fact-based items more concern with regionality such as geographic indication system and regional festivals. Third, the concept-based items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and there were four items related to economic geography. Fourth, students tend to find it challenging in the items asking PLK. The difficulty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tems. The students find concept-based items which require high-order thinking more challenging. There is also differences identified between contents. For example, the section of physical geography, especially climatology-related, were considered the most challenging followed by those of economic geography. Finally, the differences in the rate of correct answer are associated with the scale of the regions covered in the items and students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the items asking more precise scale.

위치 지식은 지리학에서의 핵심개념이자 고차적인 지리적 사고를 위한 기초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위치 지식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분석을 통해 출제의 경향성 및 학생들의 위치 지식 수준을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요소로서의 출제 지역이 공간적으로 편중되어 나타났고, 특히 영남권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둘째, 사실 기반 위치정보 문항에서는 지역특산물과 같은 지리적 표시제, 지역축제 등 지역성을 묻는 내용이 많았다. 셋째, 개념 기반 위치정보 문항의 내용은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영역으로 구성되는데, 경제지리와 관련된 문항은 농업 2건, 공업 2건으로 총 4문항이 출제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위치정보 문항을 어렵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유형에 따라 어려움의 정도는 상이했는데, 학생들은 고차적 사고를 요하는 개념 기반 문항을 더 어렵게 느꼈다. 그중 경제지리 관련 문항을 두 번째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출제 지역의 스케일에 따라서도 정답률의 차이가 있었는데, 학생들은 보다 정밀한 스케일에서의 문항을 상대적으로 더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은애.강창숙,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 문항에서 제시되는 그래프의 유형과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pp.119-137.
  2.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
  3. 국토연구원, 2014, 기업참여 확대를 위한 기업도시 제도개선 연구, 국토교통부.
  4. 김다원, 2008, "중학생들의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 분석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3(3), pp. 432-447.
  5. 김다원, 2017,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6(3), pp.319-337.
  6. 김소연.류수열, 2017,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1-15.
  7. 박선미.김혜숙.이의한, 2009,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교급별 도해력 발달수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4(3), pp.410-427.
  8. 박용덕, 2014, 한국지리 전국단위 평가 문항의 지역적 불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배선학, 2015,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0(1), pp.91-103.
  10. 서민철, 201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과 문항에 대한 지역별 반응 특성: 2010, 2011 중학교 사회과 시험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1), pp.79-97.
  11. 서정욱, 2006, "지리적 표시제 도입이 지역 문화산업 진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2), pp.229-244.
  12. 심승희, 2010,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pp.221-236.
  13. 심정보, 2007,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pp.125-140.
  14. 오정준,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문항의 내용 타당도에 관한 소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pp.235-246.
  15. 오정준, 2007, "지리 문항의 난이도 변인에 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pp.141-152.
  16. 오정준, 2008, "점찍기 문항에 관한 소고," 아우라지 45호.
  17. 이건학.김감영.김영호.김영훈.신정엽.이상일, 2014,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 서울: 시그마프레스 (= Slocum, T. A., McMaster, R. B., Kessler, F. C., Howard, H. H., 2009, Thematic Cartography and Geovisualization, Pearson).
  18. 이동민.최재영, 2015,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교육적 의의와 가능성 -초등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에서의 지역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2), pp.1-17.
  19. 이보영, 2011, "혁신도시와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pp.1-18.
  20. 이정협, 2007, "울산 자동차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전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1), pp.1-18.
  21. 이종승.박도순.이종재.남명호.김홍원.김정겸.백순근,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보고.
  22. 장의선, 2004, "지리과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社會科敎育 43(2), pp.227-246.
  23. 전혜인, 2003,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에서 활용되는 자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pp.51-63.
  24. 조대헌, 2014,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9(3), pp.472-487.
  25. 조인혜.장영진, 2019, "한국 제지산업의 입지 변동,"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pp.472-487.
  26. 주성재.김희수, 2015, "지명의 브랜드 가치: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31-449.
  27. 한경찬,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2006-2010년) 한국지리평가문항에 나타난 지리도해력 분석," 교과교육연구 3(2), pp.151-175.
  28. Bednarz, S. W., 1995, "Using mnemonics to learn place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94(1), pp.330-338. https://doi.org/10.1080/00221349508979737
  29. Bednarz, S. W., Heffron, S. and Huynh, N. T., eds. 2013, A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 report from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of the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Project.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30. Catling, S., 2014, "Giving younger children voice in primary geography: Empowering pedagogy - a personal perspective,"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4), pp.350-372. https://doi.org/10.1080/10382046.2014.946321
  31. Dunn, J. M., 2011, "Location knowledge: Assessment, spatial thinking, and new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Journal of Geography 110(2), pp.81-89. https://doi.org/10.1080/00221341.2010.511243
  32. Gershmehl, p., 2008, Teaching Geography,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33. Gould, P. and White, R., 1986, Mental Maps, London: Allen & Unwin.
  34. Hennerdal, P., 2016, "Changes in place location knowledge: a follow-up study in Arvika, Sweden, 1968 and 2013,"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5(4), pp.309-327. https://doi.org/10.1080/10382046.2016.1207991
  35. Oigara, J. 2006. A multi-method study of background experiences influencing levels of geographic literacy. Ph.D. Dissertation,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36. Postigo, Y. and Pozo, J. I., 2004, "On the road to graphicacy: The learning of graphical representation systems," Educational Psychology 24(5), pp.623-644. https://doi.org/10.1080/0144341042000262944
  37. Reynolds, R. and Vinterek, M., 2016, "Geographical locational knowledge as an indicator of children's views of the world: Research from Sweden and Australia,"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5(1), pp.68-83. https://doi.org/10.1080/10382046.2015.1106205
  38. Stimpson, P. G., 1991, "Is it a long way to tipperary?: Suggestions for improving students locational knowledge," Journal of Geography, 90(2), pp.78-82. https://doi.org/10.1080/00221349108979240
  39. Torrens, P. M., 2001, "Where in the world? Exploring the factors driving place location knowledge among secondary level students in Dublin, Ireland," Journal of Geography 100(2), pp.49-60. https://doi.org/10.1080/00221340108978417
  40. Turner, S. and Leydon, J., 2012, "Improving geographic literac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quizzes," Journal of Geography 111(2), pp.54-66. https://doi.org/10.1080/00221341.2011.583263
  41. Zhu, L., Pan, X. and Gao, G., 2016, "Assessing place location knowledge using a virtual globe," Journal of Geography 115(2), pp.72-80. https://doi.org/10.1080/00221341.2015.1043930
  42.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http://www.megastudy.net/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5일)
  43. 혁신도시 홈페이지, http://innocity.molit.go.kr/v2/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10일)
  44. ArcGIS 홈페이지, https://pro.arcgis.com/en/pro-app/latest/tool-reference/spatial-analyst/how-kernel-density-works.htm (최종열람일: 2021년 2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