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 이상명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21.01.21
  • Accepted : 2021.03.27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670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nyang in response to the invasion of the Tang Dynasty. At this tim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constructed, which was about 30% smaller than the reconstruction. Due to the wartime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wooden buildings did not seem to have been achieved.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679 as a symbol of the Hoguk(護國) temple. The size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planned as an important module for the entire temple. The stylobate fasad was designed at intervals of Tangju(撑柱), just like the JuKhan(柱間) plan of wooden archite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ight Devas may have been decorated in Front fasad. When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built, the Geumdang Hall was added by the ChayangKhan(遮陽間) and an Ikrang(翼廊) was installed next to it. These changes affect the material and form of the stylobate. It was changed to a durable stone post-lintel style stylobate and the intervals of Tangju(撑柱) in Front fasad was also adjusted. As the highest-quality stylobate in East Asia at the time, the Geumdang Hall stylobat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Silla's architectural skills to the next level.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의 건축유적 복원정비 연구(과제번호 : NRICH-2105-B01F-1)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황룡사 복원 제6차 및 제7차 심화연구의 일부를 심화·발전시킨 것입니다.

References

  1. 경주시, 「경주 불국사 대웅전 단청 문양 모사 및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2. 국립문화재연구소.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 I - 중문지.동문지 등-」, 2018
  3.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1997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 III 발굴조사보고서」, 2019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I 金堂址 발굴조사보고서」, 2012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II 回廊內廓 발굴조사보고서」, 2013
  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III 回廊外廓 발굴조사보고서」, 2014
  8. 김동하,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探究, 23권, 2016, 209~248쪽
  9. 김동하, 「경주 사천왕사지 발굴조사의 현황과 주요성과: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경주 사천왕사지 보존 정비와 활용,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10. 김숙경, 「황룡사 답도 연구」, 건축역사연구, Vol.25, No.3, 2016
  11. 김숙경, 「황룡사 중건가람배치 연구」, 건축연사연구, Vol.23, No.4, 2014
  12.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佛國寺 復元工事報告書」, 1976
  13.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高仙寺址發掘調査報告書」, 1977
  14.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圖版編) I」, 1983
  15. 문화재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망덕사지 발굴조사보고서(69.70년 발굴조사)」, 2015
  16. 文化財廳, 「鳳停寺 極樂殿 修理.實測報告書」, 2003
  17. 文化財廳, 「浮石寺 無量壽殿 實測調査報告書(本文)」, 2002
  18. 문명대, 「신라 사천왕사(四天王寺) 사천왕.팔부중상(四天王.八部衆像)의 성립문제와 석굴암 사천왕.팔부중상의 도상변화」, 강좌미술사, 39호, 2012
  19. 이상명, 「신라 목조건축물의 가구식기단 연구-수미좌식 기단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Vol.28, No.28, 2019
  20. 이정민.미조구치아키노리, 「新羅四天王寺建築의 建立過程 再考」, 건축역사연구, Vol.28, No.2, 2019
  21. 이정민.미조구치아키노리, 「신라사천왕사의 설계기술 고찰」, 문화재, Vol.53, No.3, 2020
  22. 이정민.미조구치아키노리, 「新羅四天王寺建築의 造營尺度 再論」, 건축역사연구, Vol.28, No.5, 2019
  23. 최태선, 「경주 사천왕사지 발굴조사의 현황과 주요성과에 대한 토론문」, 「경주 사천왕사지 보존 정비와 활용」,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24. 敦煌硏究院, 「敦煌石窟全集21-建築畫卷」, 商務印書館, 2001
  25. 西岡常一.宮上茂隆, 「(新裝版)法隆寺-世界最古の木造建築-」, 草思社,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