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Research on the Protection and Regeneration of the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of Pingjiang Road, Suzhou, China

중국 쑤저우 평강로 도시역사문화거리 보존 및 재생사업 평가연구

  • 경리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윤지영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1.01.05
  • Accepted : 2021.03.29
  • Published : 2021.05.28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t Pinggang Road in the city of Suzhou,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e area, and uses the following ways to investigate its development, re-organization, and current state. This paper comprehensively compares, collates and investigates 4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in Insadong and Samcheong-dong in South Korea, and South Luogu Lane in China. From initial research and analysis, this paper gathers the cultural, economic, and societal perspectives as non-physical measures, and spatial structure, road structure, and building maintenance as physical factor framework.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an evaluation model for the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by presenting the viewpoint of complex development of non-physical and physical elements in Pyeonggang-ro.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optimization and specific research on insufficient areas, such as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programs and signature systems for visitors,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network platforms by combining on-site surveys. Basic data should be provided for reference on the street.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를 분석 대상으로 도시역사거리의 발전과 보호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도시역사거리에서 문화거리의 발전, 재생방법과 현황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역사문화거리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특성을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정리했다. 또한, 한국의 인사동, 삼청동, 중국 베이징의 난뤄구샹, 항저우의 남송어가 등 4개 역사문화거리의 통합디자인교류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했다. 기초 연구와 분석을 거쳐 비물리적 요소에서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에 포함되는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물리적 요소를 공간 구조, 도로 맥락, 건물 보존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정리했다. 평강로에서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의 복합적인 발전 관점을 제시하여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에 평가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 조사를 결합해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명 시스템의 정비와 개발, 역사문화 네트워크 플랫폼의 지속적인 개발 등 방면의 미흡한 부분에 대해 최적화와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같은 유형의 다른 역사문화거리에 참고할 만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역사’는 사전적 의미로서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지난시대에 남긴 기록물이다[1]. ‘역사도시’란 오랜 세월에 걸쳐 생성된 고유의 역사 환경, 유적, 정신을 가지며 한 장소에 살던 사람들이 문화양식을 유지하며 그들만의 고유사항을 토대로 살아가는 도시를 말한다. 중국은 1985년 문화재 고적 중에서 어떤 시대의 전통적 풍모와 민족 지방의 특색을 잘 살릴 수 있는 거리를 ‘역사의 거리’로 명명하였다.

역사거리란 긴 세월 속에서의 문화 발전 과정의 산물로, 그 존재만으로도 뚜렷한 지역 문화의 특징을 가진다. 역사문화 거리는 도시 역사 문화의 상징이며, 문화 과정의 산물로서, 지역 문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역사 도시로선 오랜 세월을 거쳐 지금까지 남아 있는 역사거리가 남긴 전통문화와 내면의 정신은 값을 매길 수 없고 재생 불가능한 자원이다.

도시가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전통 거리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현재의 역사적 거리에 관한 문제가 점점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역사문화 거리의 보호와 혁신적 발전은 인류의 세계적인 과제가 되었다. 역사적인 지역의 기초 시설이 너무 부족하여, 시대의 발전을 잘 따라하지 못해 사람들의 현대 생활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천 백년 간 고성에서 살아오고 있는 원주민은 낡은 지역을 개선하기 때문에 건설적인 파괴를 당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베이징, 시안은 완전한 사합원(四合院)을 찾기가 힘들다[2]. 따라서 역사문화 거리에 대한 분석 정리가 필요하고 다른 지역이나 유사한 거리에 대한 보존과 재생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평강로 역사거리 지역은 1986년에 채택된 <쑤저우시 도시 전체기획>에서 역사문화보호구역으로 분류되었다. 2005년에는 유네스코가 수여하는 아태지역 문화재보호상을 수상하였다. 평강로 역사거리의 보호와 재생은 현지 정부 주도로 이뤄졌고, 중국 역사문화명가, 5A급 국가관광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재생 디자인을 완료한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를 대상으로 평강로 개선 방안과 재생 성과에 대한 재정리와 평가를 진행하였다. 역사, 문화의 변혁과정을 고찰하고, 지역 재생과 관련된 건축 및 시설물 보존과 변화를 포함한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분석 프레임을 선택한 후,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의 특징을 이해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재생 디자인과 관련하여 현지 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재생 디자인의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장점과 미비점 분석 평가를 기초로 같은 유형의 역사문화거리 재생 디자인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지역을 대상으로 역사거리 문헌조사와 해당 블록별 세부분석 설문조사 부문으로 나눠 분석했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파악한다.

둘째, 선행논문연구를 통해 역사문화 지구의 보존과 재생 특성을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분류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선정하였다. 역사문화거리의 물리적 요소를 공간구조, 도로맥락, 건물보존,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에 문화성, 사회성, 경제성 등을 포함한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정리했다.

셋째, 현장조사를 통해 2018년 6월 말과 2019년 8월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에 대한 현지조사를 중점적으로 실시했다. 물리적 요인에서의 공간 구조, 맥락성, 건축물 보존, 그리고 비물리적 요인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차원으로 평강로의 재생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넷째, 평강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2019년 12월 5일에 현장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쑤저우 평강로의 보존 및 재생의 성공요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역사문화거리의 리모델링에 대한 지역민과 방문객의 만족도를 평가와 현지 거주자와 방문객의 평강로 만족도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여 보완과 개선해야 할 점들을 도출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도시역사문화지구의 개념과 특성

1.1 도시역사문화지구의 개념

1987년에 국제역사문화유산이사회는 워싱턴에서 통과한 <역사문화도시 및 성구의 보호에 대한 헌장>에 ‘역사문화지역(Historic urban areas)’의 개념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헌장에서 역사문화지역의 개념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역사문화지역은 크기 상관없이 역사의 증거로서 도시의 전통문화가치를 반영한다고 밝힌다. 주요 내용은 도로 및 가로의 구조와 공간, 역사적인 건축물, 역사문화지역의 환경 등이 있다[3].

한국에서 역사문화지역이란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가치가 있는 역사문화 환경을 포함하는 면적 단위로, 과거의 역사적 문화재만이 아니라 현재의 도시와 유기적인 맥락을 유지하여 미래의 도시적 지표를 제공하는 도시환경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성장 과정에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복합적 분야를 담고, 지역적 특성과 함께 융화되어 그 도시와 장소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지역으로 정의한다[4].

중국에서 1986년에 국무원이 반포한 제 2의 국가역사문화 성명에서 역사문화지역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다(국무원 제2차 국가 역사문화명성의 문서). 역사문화 지역은 성(省), 자치구(自治區), 지할시(直轄市) 인민 정부의 심사를 받고 공포하는 어느 정도의 규모를 구비하고, 문물이 풍부하고 역사적 건축물이 집중되며, 전통적 구조와 풍모를 반영할 수 있는 지역이다[6]. 역사문화 지역은 외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역사의 풍모를 이루는 유물인 고적과 역사적 건축물은 물론 도로, 골목, 담장, 작은 다리, 개울, 거룻배 안, 심지어 고목까지 모든 것을 보존해야 한다.

역사문화거리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아래의 4가지 조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첫째, 비교적 완전한 역사 구조와 풍모를 갖고 있어야 한다. 둘째, 비교적 풍부한 역사건축물과 역사적 환경요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최소 바닥 면적이 2.5㎢보다 넓어야 한다. 넷째, 중점적 보호범위 내의 고대 문물과 고적, 역사 건축물 및 전통 풍모를 유지한 건축물의 바닥 면적이 총 면적의 60% 보다 넓어야 한다. 통계에 의하면 중국은 현재 119개의 역사문화명성과 432개의 역사문화거리를 갖고 있다[7].

1.2 도시역사문화지구의 특성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는 것으로서 관련 연구의 유형 분류 방법을 살펴보았다.

역사 문화 거리의 기능성은 생활, 경제, 문화, 사회 다방면을 통해서 나타난다. 간단하게 말하면, 거리의 모습과 사람 두 측면에 있으며, 사람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거역사 문화거리의 중요한 효과는 기능성에 있다. 거리의 모습과 사람 두 측면에 있으며, 사람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거리의 모습도 지속적으로 변한다. 기초 시설과 공공 서비스 시설은 역사문화 거리의 기능성이며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거리의 모습도 지속적으로 변한다.

지역의 자원은 자연, 역사, 문화, 공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 역사문화자원은 시간을 두고 형성된 인문학적인 자산이자 집단의 기억을 아우르는 중요한 사회적 요소이다. 지역재생 과정에서 역사문화자원 활용은 시간과 공간, 인간을 묶어주는 연결고리로서 재생의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이기도 하다.

역사문화자원은 그자체로 역사문화 환경이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그 속성은 지역성, 대체 불가성 역사성, 공유성, 연속성으로 볼 수 있다[8].

표 1. 역사문화 환경의 속성

CCTHCV_2021_v21n5_561_t0001.png 이미지

역사문화 환경과 경관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역사문화 환경은 자연환경과는 다른 인공적 환경이며 물질적인 환경과 비물리적 환경으로 이루어졌다. 물리적인 요소로서 건축물, 건조물, 유적, 매장문화재, 석조물, 가로, 공공문화시설, 녹지로 구분되며, 소프트적 자원은 자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개념이 비물리적 요소로서 역사문화, 사회제도, 상업경제 등이 포함된다.

역사문화 환경의 물적 대상은 경관의 인공적 요소와 구성요소가 같으며 인공적 요소 안에 도시형태, 건축물, 시설물이 포함된다. 또한 경관의 비물적 요소는 역사문화 환경의 비물적 요소와 구성요소가 같다. 역사문화환경의 비물적 대상이 폭넓은 개념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역사문화경관의 비물리적 요소를 구분한다[9].

1.3 역사문화지구 보존의 정의

‘보존’의 개념은 역사적. 건축적으로 중요한 건축물을 유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건물이 완성되었을 당시의 물리적 상태로 존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건축물에 아무것도 첨가되거나 감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9).

문화자원보존지구 내에서는 문화재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문화재를 직접 관리·보호하기 위한 건축물과 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 및 보존을 저해하지 않는 건축물로서 도시계획조례가 정하는 것만을 건축할 수 있다[10]. 역사환경을 보존하는데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 할 수 있다. 하나는 원형 보존을 충실히 실행하기 위하여 내·외형적 형상(Hard Ware)에 담겨진 생활문화(Soft Ware)까지 재현함으로서 한 시대의 문화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보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하드웨어를 충실히 재현, 보존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자칫 박제된 문화재, 이른바 박물관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어의적 개념으로 보존이 아닌 보호가 근접된 의미일 것이다[11].

본 연구에서는 보존지구와 문화자원보존지구의 정의에 따라 역사적 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 도시역사문화지구 관련 선행 연구

2.1 역사문화지구의 보존과 재생

선행연구 2010년 이후 한국‘Riss’에서 6편을 선정하고 중국‘지망’에서 4편 역사문화 거리의 보존과 재생에 관한 우수한 논문을 선정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역사문화지역의 보호 및 재생기초 논문 10개를 아래의 기준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1) 논문 선정의 기준은 2010년 이후, 역사문화거리로 재생된 경우. 2) 문장은 주로 도시재생, 역사지역, 그리고 역사문화거리 보존과 재생의 세 가지 방향 선택한 경우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역사문화 경관의 구성요소

CCTHCV_2021_v21n5_561_t0002.png 이미지

표 3. 공간계획에 반영된 핵심개념

CCTHCV_2021_v21n5_561_t0003.png 이미지

역사문화 지역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역사문화자원, 역사문화지역 특성 등 키워드에 나타나는 역사문화지역의 보호와 재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별 분석 결과 5회 이상 나타난 물리적인 요소로는 ‘공간적’, ‘맥락적’, ‘건축적’을 도출하고 비물리적인 요소로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표 4.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역사문화지역의 보존과 재생 특성

CCTHCV_2021_v21n5_561_t0004.png 이미지

한국과 중국의 역사문화거리 연구에 대한 논문 10편에서 나타난 특성에 대한 빈도 분석을 통해 물리적 요소인 공간적 특성 8번, 맥락적 특성 5번, 건축적 특성 8번,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 중 문화적 특성 6번, 사회적 특성 6번, 경제적 특성 5번이 나타났다. 물리적 요소 중환 경적 특성 2번, 공공시설 1번,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 중 역사적, 전체적, 연속적, 심미적, 지역적, 상징적, 종교성, 희소성, 비대체성, 정보전달, 풍수지리 중 5번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비물리적 요소에서는 문화적, 경제 적과 사회적 특성 그리고 물리적인 요소에서는 공간적, 맥락적과 건축적 특성을 분석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2 역사문화거리 재생 사례 분석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역사적 자원의 전통적 가치에만 집중하는 것에서 벗어나 현 시대의 사회·경제·문화적 요인을 역사적 가치에 반영한 관점에서의 도시 관리 전략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사례 분석 주요 선정: 한국의 2개 역사문화거리 중국의 2개 역사거리는 모두 유명한 역사 문화거리이다. 그래서 서울 인사동 쌈지길⦁삼청동 거리와 중국의 베이징 난루오꾸골목(南鑼鼓巷)·항저우의 남송어가(南宋御街)를 선정해 역사거리의 대표 분석을 진행한다.

역사문화지역의 보존 및 재생기반 사례 4개를 아래의 기준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1) 사례 선정의 기준은 2000년 이후, 역사문화거리(공간)로 재생된 경우. 2) 단순한 건축물 1개가 아니라 대규모 지역이나 거리로 재생된 경우. 3)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관련 전문서 및 논문에서 3차례 이상 언급된 사례로 한정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를 도출하고, 15편의 논문 연구를 통해 비물리적 요소 중 문화적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특성을 도출하고, 물리적 요소 중 공간적 특성, 매락적 특성, 건축적 특성 등 총 4개의 분석 특성을 요약하여 같은 유형의 여섯 가지 우수한 사례 분석을 통해 분석 프레임워크 내에서 구체적인 분석 요소와 내용을 요약하였다.

2.3 역사문화거리 보존 및 재생의 분석특성

본 연구에서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의 보호와 재생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역사거리 보존과 재생의 특성 대 역사문화거리 재생모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역사문화거리의 정의, 역사문화거리의 개념적 특성을 역사거리로 하는 이론, 한국과 중국의 유명역사문화거리와 관련된 발전과 재생을 위한 설계 방법 등을 이론기반으로 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역사문화거리의 공통성을 정리하였다.

물리적 요소로 공간적, 맥락적, 건축적 특성과 비물리적 요소로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 6가지로 분류하였다.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을 위한 요소로 선정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표 7].

표 5. 역사문화지구의 개요와 재생 사례 분석

CCTHCV_2021_v21n5_561_t0005.png 이미지

표 6. 역사문화지구의 개요와 재생 사례 분석

CCTHCV_2021_v21n5_561_t0006.png 이미지

표 7. 역사문화지역 보존 및 재생의 분석틀

CCTHCV_2021_v21n5_561_t0007.png 이미지

분석틀의 구성요소, 특성, 그리고 구체적인 내용에 근거하여 역사거리의 보존과 재생의 주요 분석틀로 주요 사례를 분석한다.

Ⅲ.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역 보존 및 재생 특성 분석

1. 사례 선택의 기준 및 개요

1) 도심 내 역사문화환경 밀집구역으로 보존의 가치가 있는 곳: 원형보존의 가치는 없지만 집합적으로 역사문화 환경을 이루고 있어 도심 내 문화 및 생활공간으로서 가치가 있는 곳.

2) 개발의 저항을 받고 있는 곳: 보존의 대상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도심에 위치함으로 개발의 저항을 받고 있어 전통의 보존과 신개발의 갈등을 안고 있어 양 자의 조화가 필요한 곳.

3) 잠재력이 큰 곳: 효율적인 종합보전계획을 통해 그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잠재력이 있는 곳.

표 8. 쑤저우 평강로의 개요

CCTHCV_2021_v21n5_561_t0008.png 이미지

앞서 건설부가 1985년 제안(설립) 한 “역사적 전통거리”: 문물 고적이 비교적 집중되어 있거나, 한 역사적시기의 전통과 민족적 지방 특색이 잘 드러나는 거리……등도 보호해 지방 각급의 ‘역사문화 보호구역’으로 지정 고시했다.

현재까지 이미 25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쑤저우의 가장 대표적이고 온전한 고성(古城) 역사문화 보호구역이다. 평강 역사거리는 쑤저우 고성(古城) 동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까지 쑤저우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된 역사거리이자 최대 규모의 역사거리로, 쑤저우 고성의 축소판으로 불리고 있다.

2.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배경 및 발전

2.1 쑤저우 평강로의 역사 및 지리적 위치

쑤저우(苏州)는 중국의 역사문화 명성이자 세계의 동방역사 명성이다. 쑤저우(苏州)는, 줄여서 “쑤”라고 불렀는데, 옛 명칭은 우(吴), 수구(苏姑), 핑장(平江)부이며, 장쑤(江苏)성에 속하는 도시이다. 장쑤성의 남동부, 창장 삼각주 중요 중심도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상하이에 인접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지아싱, 서쪽으로는 타이후, 북쪽으로는 창장성에 접하고 있다. 시 전체 면적은 8488.42㎢, 면적은 461.65㎢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쑤저우 위치도

CCTHCV_2021_v21n5_561_f0019.png 이미지

그림 2. 평강로 위치도

쑤저우 고성은 강남권 문화센터로 면적 14.2㎢있다. 250곳의 건물 군락을 보호하고, 다섯 개의 역사거리, 세 개의 역사적 풍모지역, 30여 개의 옛 거리와 70여 개의 옛 다리, 22곳의 옛 거룻배, 630구의 우물, 22개의 고패방이 있다.

평강로는 성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로 중 하나이다. 수륙평행 아래쪽이 위쪽을 마주하게 하는 두 ‘바둑판’ 구도의 도시 전통 민가가 모여 있는 곳이다. 평강도(平江图)에서 보듯 송나라 평강로는 성동지방에서 남북방향의 주요 간선도로로, 그와 마주하고 있는 평강하도 성동지방의 중요한 물길이다. 송나라(宋代), 쑤저우(苏州) 성내하도(河道)는 총 길이 약 82㎞, 분포밀도는 6㎢이다. 청나라(清代)이후 수로는 점점 줄어들었다. 청 건륭이 10년 동안 그린 ‘고소성도(姑苏城图)’에는 ‘평강길’이라는 글자가 표시돼 있는데, 현존 고지도에 평강로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다. 지금까지 쑤저우 성내하도 총연장은 약 35㎞로 평방킬로미터당 2.5㎞가 있으며, 평강로의 0.4㎢의 핵심 보호구역 내에 약 3㎞의 수로가 있다. 현재 성내하도 분포 밀도가 가장 높은 거리이며, 고성 내 수로 체계간의 지하망구조의 유일한 유존으로 <평강도>에 표시된 하교분포와 수로와 육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송나라부터 명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의 평강로 평면도는 [그림 3]와 같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2.png 이미지

그림 3. 평강로 역대발전 평면도

(출처: 동제대학교 역사문화명성연구센터 데이터 재구성)

CCTHCV_2021_v21n5_561_f0003.png 이미지

그림 4. 쑤저우 평강로 현황 평면도

2.2 쑤저우 평강로의 보호와 개발 과정

2003년 쑤저우시는 평강 역사적의 거리에 대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보호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와 쇄신을 위해 낡은 집은 개조했다. 신중국 성립 이후 평강로는 시기별로 여러 단계의 보호와 개발이 이루어졌다. 보호와 개발 과정은 [표 9]과 같다.

표 9. 쑤저우 평강로 보호와 개발과정

CCTHCV_2021_v21n5_561_t0009.png 이미지

3. 역사문화거리 재생 현황분석

3.1 평강로 재생: 비물리적 요소

3.1.1. 문화적 특성

1) 장소성 및 정체성 강화

⦁ 지역문화의 정체성 학보

쑤저우 지역의 문화자원은 풍부하고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문화산업은 공예미술, 전통 희곡, 그리고 기타로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공예미술이 가장 쑤저우 지역의 특색을 잘 보여주는 문화산업이 되었다.

⦁ 문화홍보 시스템

평강로에는 쑤저우 부채(苏扇), 쿤취(昆曲), 핑탄(评弹) 민속 등 박물관이 세워져 있어, 상대적으로 안정되게 쑤저우 지역의 예술과 민속을 보존하고 있다. 평강로에 설치된 일부 식당에서는 무료로 여행객이 식사를 하는 동한 쿤취나 핑탄 등 예술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4.png 이미지

사진 1. 쿤취 박물관(昆曲)

CCTHCV_2021_v21n5_561_f0020.png 이미지

사진 2. 평강예술문화센터

⦁ 특색 문화 상품 개발

또한 많은 점포들은 전통민속, 예술, 수공예 등 특색있는 문화들과 융합되어 있어, 여행객들의 역사 문화적 체험과 느낌을 더해준다. 아울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가장 큰 보호를 실시하여 거리의 관련 점포를 문화에 따라 분류하여 예술문화, 음식문화, 역사문화, 기타 문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그림 5]와 같이 기획하였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쑤저우 평강로 점포문화성

2) 역사⦁문화 요소의 보존 및 활용

⦁ 문화재의 보존

전통문화 중 비물질문화는 도시의 최초의 기억으로, 뚜렷한 지역적 특징과 독특한 예술적 스타일이 담겨 있다. 또한 진실로 당시의 생활방식과 미풍양속을 반영하고 있다.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은 재생작업이 진행됨과 동시에 현지의 무형문화유산에 문화기술, 이색풍습축제가 지역 내에 오랫동안 보존되어왔다.

⦁ 기술적 계승

역사적, 문화적 요소의 보존, 중국문화의 기술성의 계승을 바탕으로 쑤저우의 비물질 문화자원을 이용해 역사 속의 전통문화를 그대로 간직하고 현대화된 계승을 하면서 사람들의 일상에 결합시켜 평강로 역사문화 지역에는 쿤취(昆曲), 고금(古琴), 핑탄(评弹), 부채만들기 기술, 송대의 면직기술, 쑤저우 비석 조각기술, 오문화 민속음악, 쑤저우 자수 등 20여 부류의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 축제 및 문화 이벤트

쑤저우 지역은 벼농사의 문화가 매우 깊게 자리하고 있고 사계절 내내 이 문화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 매년 음력 12월 12일에는 양잠 농가에서 소조신(扫灶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등.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에는 또한 명절, 경조사, 혼례 및 각종 전통 생활 풍습이 자리하고 있다. 평강로에 자리한 점포도 비정기적으로 일부 활동을 개최하거나 쇄서절(晒书节), 원소절(元宵节), 칠석 제등 전통적인 기념일을 축하하기도 한다. 2006년 처음으로 열독패스티벌(阅读节)을 만든 이후, 쑤저우 지역은 일찍부터 ‘책을 말리는(쇄서)’전통이 있었다.

‘부다관(孵茶馆)’이란 ‘찻집에 와서 차를 마시다’라는 뜻이다. 쑤저우 지역의 찻집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서진(西晉)-동진(東晉)시기부터 이미 그 모습이 나타났는데, 최초의 찻집은 당고조 원년에 등장했는데, 이때는명포(茗铺)라 불렸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6.png 이미지

사진 3. 전통 명절과 쇄서절

사진 4. 찻집

3.1.2. 경제적 특성

⦁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산업을 유지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면서, 평강로는 문화 예술유형, 창의적 활동 유형, 소형 식당 유형의 3개의 상업적 기능을 들여오는 것에 주력했다. 지역에는 각기 상이한 유형의 상업 지역이 존재하는데, 이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평강로의 상업발전은 문화체험(7.29%), 술집/찻집/카페(14.58%), 길거리음식(20.49%), 식당(10.42%)의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7.png 이미지

그림 6. 평강로내 상가 문포

⦁ 복합용도 개발 활성화

지금까지 평강로 역사거리의 사업계획은 거리의 역사문화자원을 합리적으로 활용하고 문화의 의미와 고품질의 제3산업을 발전시켜 독특한 문화경관을 갖춘 도시의 중심지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상업재생은 역사거리와과 창의문화를 접목해 현대적 요소를 대표하는 카페, 서점, 선물가게 등으로 꾸며 고풍스러운 옛 거리와 완벽하게 어우러진다.

⦁ 관광전문 마케팅 지원

평강로 전체 블록에서 평강로 주요 거리를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재정리하여 음식, 숙박, 관광, 쇼핑 및 문화의 5대 방향으로 나누었다. 역사문화지역에 위치한 주거 공간에서 평강로 출신의 가정이 운영하는 점포가 전체의 12.5%를 차지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작은 골목에 위치해 있어 여행객들을 위한 뛰어난 체험을 선사하고, 여행 만족을 위한 조건을 제공해주고 있다.

⦁ 주변경제와 상업 연계

상업적 기능의 밀집도가 높아질수록, 상업적 활동이 더욱 밀집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2006년-2017년 평강로의 양 측면에 세워진 점포들은 기존의 110곳에서 233개로 늘어나 점포가 2배 정도 늘어났다. [표 10] 참고 평강로는 문화의 보호와 전승을 중시하기 때문에, 여행업의 발달을 문화지역의 주요 기능으로 삼지 않고 있으며, 또한 상업 서비스가 과도하게 발달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표 10. 쑤저우 평강로 상가 분류 수량

CCTHCV_2021_v21n5_561_t0010.png 이미지

⦁ 특색 문화 상품 개발

특색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할 때 쑤저우의 비물질 문화자원을 활용해 역사문화지역 내에는 찻집, 핑탄, 쿤취공연이 결합된 방식이 전개되고 있어 비물질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고, 볼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부채, 자수, 고금 등 관련 상품을 파는 점포들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비물질문화와 관련된 업종의 형태는 다소 적다.

3.1.3. 사회적 특성

1)커뮤니티 형성 및 참여

⦁ 인프라 조성 및 이용 활성화

사회적 각도에서 보면 대중의 참여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이웃 관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모든 사람들의 역사문화 지역에 대한 보호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역사문화지역의 지명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사회적 네트워크(Network): on off line network

이 작업의 성공은 역사문화지역 자체의 발전에도 양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인류의 문화유산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회사는 평강로를 개발하기 위해 평강로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온라인으로 평강로의 여행문화를 홍보해 지명도를 높였다.http://www.pj-road.com

CCTHCV_2021_v21n5_561_f0008.png 이미지

그림 7. 평강로 홈페이지

⦁ 사회적 고용창출

동시에 개발 이후 사회생활 맞춤형 서비스 상업이 발달하게 되어 일자리를 늘려주어 거주민들을 위한 취업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특히 편의점, 미니 마트, 식품관 등 규모가 작고 투지비용이 적으며 기술적 요구가 적은 영업주나 이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은 대부분 현지 주민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일부 작은 공간을 활용해 장사를 할 수 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09.png 이미지

사진 5. 가정이 운영하는 점포

2)국가 정책 제도

2003년에는 <쑤저우시 역사문화 유명 도시(마을) 보호 판법>을, 2004년에는 <쑤저우시 역사문화 보호지역 보호적 회복개축 소방 관리판법>, <평강로 역사문화 지역 보호관리 판법>등 규칙을 반포해, 법에 의해 역사문화 지역의 관리를 강화했다. 쑤저우시 정부는 또 ‘인프라 정비, 골목환경 개선, 생활시설 최적화, 서비스 기능 향상, 문화 저력 부각’을 목표로 환경 종합 정비를 실시하여 평강로의 역사적 풍모를 전면 최적화하였다. 관할구역 거리사무소와 커뮤니티에서도 주민 자원봉사자를 적극적으로 조직하여 ‘하천을 사랑과 보호’, ‘문물 보호 자원봉사자 행동 중' 등 주민 활동을 전개하여, 평강로의 우아한 환경을 공동으로 보호하였다.

3.2 평강로 재생: 물리적 요소

3.2.1. 공간 구조적 특성: 거리 구조 보존

1) 구역 구분

⦁ 거리와 건물의 공간관계

쑤저우 평강로는 ‘구역 구분’을 실시하였다. 쑤저우 도시는 ‘한 몸, 두 날개’의 계획을 바탕으로 ‘통일된 계획, 나눔 디자인, 종합적 관리, 점진적 개조’라는 방향성을 확정하여, 고성 지역을 54개의 골목 거주지로 나누었다. 이렇게 나눈 거주지의 크기와 교통 및 기초시설이 도시에 가하는 압력(교통체증)을 고려하여, 기존의 작은 골목과 길에 십자가 형태의 메인도로를 증축하였다. 빠르게 교통체증을 해결하고 기초시설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최소한으로 기존의 도시구조를 파괴하지 않을 수 있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10.png 이미지

그림 8. 54개 골목 거주지로

CCTHCV_2021_v21n5_561_f0022.png 이미지

그림 9. 축선 분포도

⦁ 관련기능 및 공간의 연계

주축의 양측에 위치한 대부분의 건축은 모두 상업적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으로 바뀌었는데, 이 역사문화 지역에 속한 기타 80%의 집들은 여전히 주거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역사문화지역의 다른 부분 역시 여전히 거주 기능을 주로 삼고 있어, 상업적인 역사문화 지역과 기능·사회구조적인 면에서 매우 뚜렷한 차이가 보인다. 부지 조정: 부지 조정은 아래와 [표 11][그림 10][표 12]와 같이 하였다.

표 11. 평강로 지역의 공간 구성 도례

CCTHCV_2021_v21n5_561_t0011.png 이미지

CCTHCV_2021_v21n5_561_f0011.png 이미지

그림 10. 평강로 지역의 공간 구성

표 12. 쑤저우 평강로의 부지 조정

CCTHCV_2021_v21n5_561_t0012.png 이미지

(출처: 쑤저우 고성구 9개 가방계획 공시 재구성)

2) 공공 공간 및 시설

공간 특성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기존 공간이 보존되었다는 것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공간 개발 및 녹지 확장은 이들과 관련된 기능, 공간과 결부되어 있다.

⦁ 거리와 건물의 공간관계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은 공간 조합이 다양하다. 첫째, 길-하천-거주민의 형식이 주를 이루고, 둘째, 평강로길-다리 경관이 조합된 7곳이 공간 경관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매김하여 옛 다리를 주요 공간의 중추로 삼는 경관적 가치를 만든다. 셋째, 길-거주민과 점포-거주민의 경관 조합을 바탕으로, 평강로의 점포와 거주민의 융합된 형태 한다.

⦁ 공간 보전 기존

전체적인 공간 구조에서 살펴보면, 평강로 역사문화 지역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역사문화요소인 ‘골목’, ‘강가’라는 공간 구조를 보존하고 있다. 기존의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의 전체적인 구조는 질서있게 가지런히 보존되고 있으며, 평강로를 주축으로 남북으로 뻗어 나가고 있는데 이 주축을 따라 길이 양측으로 나뉘어져 발전되고 있어 기존의 공간이 유지되고 있다.

⦁ 새로운 공간 개발

길이라는 기존의 공용공간을 합리적으로 보호하고 개선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한 뒤에, 골목 거주지의 녹지를 디자인하고 정돈할 때에는 공용 녹지의 면적을 확대하여 골목 거주지의 환경을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평강로의 두 강변에는 따라 많은 휴게용 의자와 책상, 그리고 파라솔 등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반(半)공용공간의 역할을 한다.

⦁ 공간 보전 기존

골목 공간은 주로 건축 입면과 공간의 지면에서 나타나는데, 상호간에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어 뚜렷한 특징이 보여 진다. 평강로의 골목공간은 건축 폭에 따라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골목 양측의 건축의 경계선 또는 건축의 경계선과 강변도로와의 거리를 측정해 각각 작은 구간의 공간의 지면 너비(width)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서로 접하는 너비를 정리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그림 11][그림 12].

CCTHCV_2021_v21n5_561_f0012.png 이미지

그림 11. 평면과 입면 공간 구조

(출처: 쑤저우 평강로 가로변의 공간조직 규율에 관한 연구 재구성)

그림 12. 바닥 공간에 관한 연구

⦁ 거리와 건물의 공간관계

평강로는 주로 물과 인접해있기 때문에, ‘강 하나, 골목 하나’의 형식[1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공간의 지면의 폭은 4-16m이다. 그림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평강로의 골목의 단면을 설명한 그림이다.

(1)너비는 6m 이내이고, 건축입면의 높이는 주로 3-4m전후이다. 또 0.5-1.2의 비율관계 내에서 0.77의 평균값을 지닌다. (2)6-9m 너비의 범위 내(지면의 너비는 균일)에서 1층 건물, 2층건물이 교차로 나타나면서 뚜렷한 층수의 변화가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인 높이는 6m를 넘지 않고 여전히 대부분 4m 이내이다.

표 13. 집과 골목 공간 구조

CCTHCV_2021_v21n5_561_t0013.png 이미지

(출처: 쑤저우 평강로 가로변의 공간조직 규율에 관한 연구 재구성)

평강로에도 마찬가지로‘두 집 사이에 길 하나’의 형식이 있다. 골목 공간은 뚜렷한 선성과 연속성, 리듬감을 지니고 있다. 공간이 갑자기 변화할 수 있는 횟수는 제한되어 있어, 집중적으로 나타날 수 없다. 골목 공간의 평균 너비는 약 9m로, 범위는 2-16m이다. 골목 공간의 지면의 너비와 크기는 2-5.5m사이가 되어, 골목 공간의 길이 좁아져 양측 건물의 관계가 강화되고 행인이 다니는 골목 공간도 축소된다.

3.2.2. 맥락적 특성: 도로 및 접근성

맥락적 특성의 주요 분석 방향에 따라 도로 체계, 도로 변화, 그리고 주면 환경 연계 개발을 주요 분석 방향으로 한다.

1) 주변 환경 연계 개발

⦁ 주변 상업 공간 개발

쑤저우의 ‘몸 하나, 두 날개’의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거시적인 계획으로써 쑤저우 고성아 서쪽 신규 개발지는 하이테크놀로지 개발지역, 경제개발지역, 쑤저우 도시지역이 ‘삼위일체’의 구상이 실현되고 있다. 정치적·경제적 중심을 바깥으로 이전시켜 고성 내 인구의 밀집도를 줄여 고성 거주민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 박물관과의 연계 및 문화 공간

주변 경제환경에 적응하여 발전하는 주변 상권, 그리고 주변 박물관이 형성하는 공간적 맥락의 형식.

그림 13. 도시 맥락도

CCTHCV_2021_v21n5_561_f0024.png 이미지

그림 14. 주변 상업 맥락도

2)도로 체계

⦁ 도로 등급과 도로 형식(수로⦁육로)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의 골목 형식은 일반적으로 단일적으로, 각 골목의 등급을 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크기 역시 문화지역의 골목 등급에 따라 일정의 변화가 있다. 역사문화지역의 맥락 등급을 나누면 기본적으로 기존의 도로의 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길, 골목, 작은 골목의 3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길과 골목의 너비는 3-6m, 작은 골목은 1-1.5이다). 함께 현재 역사문화지역의 맥락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14.png 이미지

그림 15. 평강로 지역의 도로도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은 21호, 22호 이웃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량을 통해, 일반적으로 그 길이는 70-100m 사이였다. 전체적인 공간 체계는 충분히 허와 실의 교차를 나타내고 있다. 건축, 도로 및 연결 공간이 길 위에서 계속해서 변화를 이루고 있다. 도로의 변화는 대부분 4.5m-2m 사이였다. 한편 연결 공간은 강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강과 인접해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7-4m이었고, 길과 인접해 있을 때는 4.5-2.5m이었다. 이를 통해 연결 공간이 대부분 도로 공간보다 넓음을 알 수 있다. 연결 공간은 매우 유연한 공간으로, 소규모 광장, 복도, 우물, 가림벽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3) 도로 변화

⦁ 원래 도로의 변화

도로 구조는 송나라 때 최초로 건축된 이후에, 교통망은 점점 더 완벽해졌기 때문에 오늘날까지도 추가 잡업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기존에는 수로를 통해 교통이 이어졌다면, 개조된 이후에는 본래 육로를 통한 교통을 위주로 삼게 된 것이다. 즉, 수로 교통을 포기하고, 수로는 물을 저장하고 관람하는 용도로만 남겨둔 것이다. 이렇게 건축 지역을 제거함과 동시에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은 늘린 것이다.

표 14. 쑤저우 평강로의 도로 변화

CCTHCV_2021_v21n5_561_t0014.png 이미지

3.2.3. 건축물의 보존 특성

역사문화지역의 대부분 오래된 주택은 비록 문물 보호 건축에 속하지 않지만, 매우 많은 역사적 문화를 담고 있다. 전통적인 건축의 전반적인 구조는 일단 파괴되면 역사문화지역도 그 고유의 특색을 잃게 된다. 역사문화의 정수 또한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적인 건축 추택은 일정 수준 수리가 필요하다.

1) 건축 기능

⦁ 기념적 건물과 일반 건물로 분류

건축에서 오래된 건축은 개축하여 재사용하고, 기존의 거주기능을 상업적, 문화적, 관광적의 기능으로 바꾼다. 공간 구조를 살펴보면, 건축과 골목은 당시 도시의 역사적 문맥을 보여주고 있다. 건축방면에 있어 평강로 역사문화 지역에는 많은 문물 요소가 분포되어 있는데, 유명인의 생가 25곳, 오래된 다리 16곳, 옛 패방 4곳, 건축보호 관리소 37곳이 그것이다. 또한 새롭게 7곳의 건축 보호 관리소를 활용해 카페, 공예품 점포, 중국 쿤취 박물관, 서점, 식당, 그리고 여관을 세웠다.

건축 기능에 따라 크게 옛 거주지, 회관, 사원 도관, 근현대 건축 등 네 가지로 나누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15.png 이미지

그림 16. 역사문화지역지정 및 보존 건물/시설

표 15. 역사문화지역지정 및 보존 건물/시설 도례

CCTHCV_2021_v21n5_561_t0015.png 이미지

2) 건축 구조

⦁ 노후건축물 및 시설물의 개⦁보수

쑤저우시 건설국은 이미 ‘보호, 개선, 보류, 갱신, 정돈하고 고침’의 5가지 상황을 바탕으로 분류작업을 진행하여(분류 기준은 동제대학의 건축분류방법을 참고) 현황 조사를 실시했다[표 16].

표 16. 건축 분류

CCTHCV_2021_v21n5_561_t0016.png 이미지

쑤저우 평강로의 단독 건축의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은 건축을 보존하고 재생하는 설계는 크게 개축과 개선 두 체계로 나눌 수 있다.

건축의 개축이란 관리와 보존을 강조하고, 최대한으로 건축의 본래성을 보존하는 방법이다. 개축은 주로 구조, 공간 구조, 내부 설계, 실용성 변화의 내용을 포함하다. 수복: 작은 결함이나 파괴된 부분을 수리해 보완하여 초기 상태로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보수: 건축의 현재의 질적 상태를 보존하고 개선을 조금 더해 기존의 구조와 공간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건축의 불편함을 없애다.

표 17. 건축 개축을 위한 지침

CCTHCV_2021_v21n5_561_t0017.png 이미지

⦁ 역사적 건축물 형태 및 주소 보존

평강로가 보호 건축유형을 다루는 경우, 보호 건축유형은 입붙목(입면에 나무를 부착)구조와 벽돌 목제 구조를 주요 구조형식으로 세우도록 하였고, 입붙목 구조를 주로 삼았다. 입붙목 구조는 목재 기중과 목재 대들보를 함께 이용해 무게를 받치는 건축형식이다. 방을 따라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 위에 대들보를 올리고, 그 위에 다시 낮은 기둥을 세워 대들보와 함께 위치하도록 한 뒤, 가장 위에는 낮은 중추 기둥을 세워, 하나의 목재 구조를 구성하도록 한다[그림 17].

CCTHCV_2021_v21n5_561_f0016.png 이미지

그림 17. 입면에 나무를 붙이다

(출처: 쑤저우 고전정원 조성록)

3) 건축 파사드

⦁ 역사적 건축물 형태 및 주소 보존

골목공간의 입면 높이(Height)와 건축 너비(Breadth)의 값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에 맞는 규칙을 얻을 수 있었다[그림 18].

CCTHCV_2021_v21n5_561_f0017.png 이미지

그림 18. 건축 파사드

⦁ 현대 디자인의 직용: 재료, 색채 등

평강로 지역에서 전통 목재 조각을 파사드 양식으로 삼은 점포는 54.42%, 유리 파사드는 28.71%에 해당한다. 또한 일부 점포는 소재로 활용하기도 했다(13.88%). 역사문화지역에서 상품을 경영하는 점포 중대 다수는 전통적인 스타일을 준수하고 있어, 역사문화 지역과 완전히 일치되는 파사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CCTHCV_2021_v21n5_561_f0018.png 이미지

사진 6. 삼은 점포, 유리 파사드, 기타 파사드

3.3 소결

문화적 특성의 각도에서 평강로 지역의 보존과 재생을 살펴보면, 쑤저우 평강로의 역사문화지구에 담긴 문화의 장소성과 전체성이 강화되었다. 비물질문화유산박물관을 세우면서, 비물질 문화가 유형의 방식으로 보존되어 왔고, 동시에 기존의 풍속과 전통 수공예 기술도 보존되었다. 역사적·문화적 요소가 보존되고 활용되면서, 기존의 역사적 풍속과 문화가 보존되었다.

경제적 특성의 지역경제가 활성화되어 재생하면서, 기존의 거주공간이 새롭게 개선되었고 상업활동이 재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지 거주민들도 작은 점포에 상점을 열게 되었다. 평강로는 관전가(观前街) 상업권이자 고성 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경제체계가 개선이 되면서 상업 규모가 구(區)급의 상업중심의 규모로 확장되어 주변 경제도 활성화되었다. 경제발전은 주로 평강로 메인 도로에 집중되었는데, 주요 상업유형으로는 요식업, 판매업, 주거유형, 문화창작유형, 여행업이었다.

사회적 특성의 많은 대중을 기반으로 사회적 네트워크와 기존에 거주하던 사람들 사이의 이웃 관계가 강화되었다. 물질적 환경과 인구가 계속해서 이어 내려오면서 지역사회 서비스센터를 설치하게 되어 사회적 기초설비가 보완되었다. 대중 인터넷 플랫폼이 세워지고,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된 것이다. 일자리를 늘려 사회적으로 취업을 활성화시켰다. 국가는 정책을 발표해 국가법률 기준을 반포함으로써 통일화된 규정 제도를 실시했다.

지역 구획을 나눌 때,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는 각 구역을 다시 나누어 “파편적으로 구역 나누기”란 관리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평강로를 메인도로로 하는 양측에 위치한 2급 도로를 바탕으로, 도시의 1급 도로와 2급 도로에 새로운 구조를 적용했다. 기존 공간의 거주 기능을 연장시키면서 여행업을 개발했다. 공용공간은 강하나 길 두 갈래라는 공간 구조를 유지한채, 새로운 공간을 개발하였고 녹지 공간을 확장시켰다. 공공시설을 설치하여, 강을 따라 양측에 길을 설치하여 여행객들을 위한 경관과 현지 거주민들의 일상생활을 융합시켰다.

쑤저우 평강로와 주변 환경의 관계가 발전되었다. 쑤저우 고성지역의 상업중심과 주변에 위치한 박물관, 쑤저우 대학, 사회 서비스 센터가 연계되어 도시의 맥락체계가 정비되었다. 현재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도로 체계는 고대의 원형을 보행도로와 수로는 평행으로 놓여있어 물과 육지가 바둑판 격자의 모양을 띠고 있고, 주차장을 설치했고, 평강로 역사문화지역의 맥락적 체계는 주변 환경과의 연계를 통해 문화지구 내 도로 체계가 모두 개선되어, 현대화 속 여행경관이 담긴 역사문화지구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오래된 건축을 합리적으로 보존하고 재생해, 기존의 거주 기능을 기념적인 여행관광 기능과 상업 기능으로 전환시켰다. 역사적 고적 건축을 늘렸고, 문화 여행 포인트로 삼았다. 골목 내부는 기존의 거주기능을 유지하여 본래의 생활 상태를 유지시켰다. 건축의 높이를 훌륭하게 관리한 결과로 건축의 기존의 높이 비율을 보존하여, 건축 입면의 구조를 통일시켰다. 이러한 모습은 평강로 지역이 전통적인 건축 입면 경관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길거리의 풍모를 보존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디자인을 흡수해 전통적인 문화지구의 풍모와 현대적 디자인이 결합된 특색 있는 곳이 되었다. 이로써 역사문화지구는 기존의 생활 모습을 상실하지 않게 되었다.

Ⅳ. 평강로 역사문화지역 보존 및 재생 평가 및 만족도 분석

1. 설문조자 개요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인 역사문화거리의 보호와 재생 평가 및 선호도 파악을 위해 설문조사를 쑤저우 평강로 지역민 48부, 방문객 65명, 총 113명에게 진행하였으며 그 가운데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105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자에 의해 선정 및 분석이 이루어진 역사문화지역 우수 사례인 쑤저우 평강로 대상으로, 6개 요소 17개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 및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앞으로 역사문화지역의 보존과 재생방향에 대해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응답자에게 문제점 및 개선사항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open Question 방식으로 서술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6가지 평가 항목과 정체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지역민과 방문객 선호도와 정체성과의 연관 관계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SPSS 24.0 빈도분석(Frequencies Analysis)과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표 18. 설문조사의 개요

CCTHCV_2021_v21n5_561_t0018.png 이미지

2. 설문조사 내요

주민 특성에 따라 지역 주민과 방문객로 구분되며 지역 주민과 방문객의 만족도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설문지는 주로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 두 가지 요소에서 출발하며, 비물리적 요소에서의 설문 내용은 문화적, 경제적과 사회적 특성에 관한 질문 모두 8문항을 포함하며, 물리적 요소에서는 공간적, 맥락 특성과 건축 특성에 관한 모두 9문항을 포함하였으며, 마지막 질문은 쑤저우 평강로 역사거리 재생 전체에 대한 만족도에 평가로 구성되었다.

표 19.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보존 및 재생 평가요소 체크리스트 세부항목

CCTHCV_2021_v21n5_561_t0019.png 이미지

3. 설문조자 결과

현장 설문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르면 설문응답자들은 남성 43명, 여성 70명이었다. 설문 응답자 연령은 20-29세가 75명이었고, 30-39세가 21명으로 젊은이들을 위주로 많이 오가는 거리라는 것을 설명한다. 그 중 현지 주민 48명, 방문자 65명으로, 방문 자중 관광 목적 위주의 방문자가 52명이었고 평강로에 2-5번을 방문한 자가 31명으로 평강로에 관광객 재방문 매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표 20. 설문 응답자의 일반특성

CCTHCV_2021_v21n5_561_t0020.png 이미지

3.1 전체 인식 및 만족도 분서

통계 데이터를 보면,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을 위한 평가 요소에서, 문화적 특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경제적 특성, 건축적 특성, 사회적 특성, 공간적 특성 순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특성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표 21. 평강로에 대한 귀하의 인식 및 만족도 평균

CCTHCV_2021_v21n5_561_t0021.png 이미지

가장 높게 평가된 문화적 특성(4.08)의 경우, A2(4.49)의 점수가 가장 높다는 것은 도시를 통한 문화적 인지도, 지역주민의 지역적 자부심과 소속감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제적 특성(3.98) 점수도 비교적 높은데, 그 중 B1(4.25) 점수가 높았던 것은 지역 경제가 역사 거리의 발전으로 큰 수익을 가져왔다는 것을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3.67) 점수는 가장 낮은데, 그 중 C1(3.39) 점수가 가장 낮아 이는 문화 플랫폼으로서의 홍보와 참여주체로서의 상호작용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물리적 요소 중 건축적 특성(3.93)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F2(4.02) 점수가 가장 높아 건축적 특성 점수에 주로 영향을 미쳤다. 공간적 특성(3.66) 종합 점수는 평균이다. 맥락적 평가 가운데 E1(3.95)점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주변의 상업, 문화, 관광 인프라는 비교적 잘 조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 중 E3(2.73) 점수가 가장 낮아 영향 요소는 기존의 수로와 육로 교통을 새로운 교통 모델로 개발하는 것으로, 점수가 낮은 것은 수로와 육로 교통을 새로운 교통 모델로 설정할 필요가 없음을 설명한다.

3.2 방문객과 지역 주민 대비 분서

유의수준 p < 0.05에서 볼 때, 4개 평가요소에서 지역 주민과 방문객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특성 A3 ‘문화행사와 문화홍보를 통한 도시적 지명도에 대한 기여’, 공간적 특성 D1 ‘주거와 생활환경의 개선 정도, 광장, 녹지, 화장실 휴게 공간 등 공공시설 제공(외부 공간 공공시설)’, E4‘박물관 등 인근 문화공간과 잘 연결되어 있는가’ 등 4개 항목에서 각각 그 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표 22. 교차분석 Crosstabs analysis

CCTHCV_2021_v21n5_561_t0022.png 이미지

p < 0.05

4. 소결

설문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비물리적 요소의 문화적 특성에 있어서는 현지 주민은 쑤저우 평강로가 우수 역사 구역이 된 것에 대해 굉장히 자부심을 느끼고, 동시에 강한 소속감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 특성에 있어서는, 현지의 여행업 발전 및 현지 주민의 경제적 소득을 끌어 올린다는 점이다. 사회적 특성에 거주 생활에 있어 양호한 사회적 보장과 정부의 지원 및 지지가 있었다.

물리적 요소의 공간적 특성에 광장, 녹지 및 휴식 공간 등 공공 설비 만족도 또한 상대적으로 일반적이었으며, 전체적인 가이드가 명확하지 못했다. 맥락적 특성에 대해서는, 주변의 상업 공간, 여행 및 문화의 연관성에 있어서 비교적 만족하였으며, 동시에 쑤저우 박물관, 졸 정원 및 평강로의 주변 문화 공간 간의 연결성도 우수하였다. 건축 보존에 있어 건축물 고유의 건축 스타일 및 현지의 건축 특징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평가 결과를 분석해 보면, 쑤저우 평강로 역사 거리 전체의 보존 및 개조는 성공적이었으며, 특히 비물리적 요소 중 역사문화의 보존, 비물질문화 유산의 계승, 그리고 개발 문화 여행이 일으킨 경제적 발전 및 물리적 요소 중 건축 전체의 보존 및 재건설의 건축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다.

Ⅴ. 결론

이것으로, 본 연구는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를 통해 프로젝트를 평가하며 분석 방향을 정하고, 문헌고찰 및 이전 사례 분석으로 분석틀을 만든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문화거리 사례를 통해, 현재까지 역사문화 거리에 대한 연구 및 랜드마크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과 비교분석을 하였으며, 역사문화거리 계획요소의 기준을 통합하고 설정하여 합리적으로 역사문화거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했다.

본 연구에서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의 우수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 평강로 역사문화거리는 비물질적 문화 특성 방면에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주요 역사 문화를 보존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제 특성 방면에서는 문화 관광을 주요 경제발전 방향으로 삼고 관광 문화를 통해 지역 경제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사회특성에서는 국가가 관련 법률 정책을 제정하는 동시에 관련된 사회보장과 관련 부서의 설립을 보완하였다. 물리적 특성에서는 기존의 역사적 공간적 구도를 보존하여 기존의 역사적 상태를 바꾸지 않았고, 공간의 맥락적 연계를 추가하여 주변 문화 환경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또한 건물의 보존에서 역사문화가 있는 건물을 그대로 보존하여 '수구여 구(옛것을 것을 보수하여 옛것처럼)'의 건축재생의 패러다임을 따랐다. 평강로 재생 사례 정리 분석에 따르면, 평강에서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의 복합적인 발전 관점을 제시하여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에 평가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 조사를 결합해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명 시스템의 정비와 개발, 역사문화 네트워크 플랫폼의 지속적인 개발 등 방면의 미흡한 부분에 대해 최적화와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같은 유형의 다른 역사문화거리에 참고할 만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References

  1. 오해근, 역사문화적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서울 풍납동 토성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 강펑, "도시 전통 민가 보호 이용 중 기능 치환"[J], 의춘학원학보, p.31, 2009.
  3. 하오량, 역사문화지구의 교통개선에 관한 연구 : 중국 칭다오(청도) 중산로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8).
  4. 조예선, 중국 역사문화거리재생을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활용 방안 연구 : 첸먼따스란 거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 중국국무원, <역사문화 명성.명진.명촌.보호조례>, 2008 참조
  6. 장대옥 왕묘, "역사문화거리의 가치를 되살리다-역사문화거리의 현황에 관한 사고," 베이징건축대학건축과 도시계획대학, p.1, 2013(6).
  7. 이기환, 도시역사환경으로서의 종로 피마길 보존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오진숙,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의 가치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8, 2011.
  9. 김종석, 문화자원보존지구 [文化資源保存地區] (부동산용어사전, 2011. 5. 24, 방경식)
  10. 이왕기, "역사적 문화환경의 효율적 보존을 위한 문화재보존 관련법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3권, 제4호, p.202, 1997.
  11. 하종성, 권영상, "삼청동 가로의 활성화에 따른 상업건축물 입면유형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5, No.1, pp.199-200, 2015.
  12. 석여 마군산 공운절, "역사거리의 보호와 갱신-항저우 남송어가를 사례로"[J], 중국도시임업, Vol.11, No.3, pp.59-61, 2013.
  13. 유승방, "깊숙하고 고요하며 깨끗한 골목 거리 수변과 물가에 건조된 분장대와(흰벽 검은 기와)의 주민 건축 단지-쑤저우 고성 풍모연구 5"[J], 쟝쑤 도시기획, pp.14-15, 20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