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훈식(2019). PCK에 근거한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585-597.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585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9(3), 415-426.
-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 김민지, 강훈식(2019).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8(1), 130-148.
-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3), 364-37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3.364
- 김석기, 김학성, 박용필, 위수민(2015). 초등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과학사-CPS 수업 모형 기반 날씨 영역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43-58.
- 김은주, 최선영, 강호감(2004). 인천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192-198.
-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비유만들기 활동의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0(1), 22-37.
- 박일수(2019).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융합학회지, 10(10), 197-205.
- 박재용, 이기영(2011). 중학교 과학 자유탐구 수행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 박종원, 김진국(2013).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10-32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10
-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생물교육, 33(1), 122-131.
-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2020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 손준호, 김종희(2016).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천문 내용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6(2), 257-280. https://doi.org/10.9722/JGTE.2016.26.2.257
- 유지연, 박연옥, 노태희(2011). 비유 실험을 활용한 탐구학습이 과학영재의 실험설계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986-997.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986
- 윤회정, 박은미, 김지영, 이윤하, 방담이(2015). 중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9(4), 1005-1025. https://doi.org/10.24231/RICI.2015.19.4.1005
-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https://doi.org/10.24231/RICI.2020.24.1.45
-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 이지원, 김중복(2013).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 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3(6), 1099-111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1099
- 이희우, 임희준(2019).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625-63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625
-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 정준형, 강남화(2016). 우리나라 2015 과학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미국 차세대 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의 물리 영역 비교 분석. 새물리, 66(6), 705-718. https://doi.org/10.3938/NPSM.66.705
- 조현수, 한기순(2020).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2003-2019)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30(3), 277-303.
- Barbot, B., Besancon, M., & Lubart, T. (2016).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creativity: Exploring the structure of creative potential with EPoC.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 178-187. https://doi.org/10.1016/j.lindif.2016.06.005
- Feist, G. J. (1998).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4), 290-309.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204_5
-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4.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 Liang, J. C. (2002). Exploring scientific creativity of eleventh grade students in Taiwan. Doctoral dissertation, Texas State University.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Qiang, R., Han, Q., Guo, Y., Bai, J., & Karwowski, M. (202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4(1), 90-99. https://doi.org/10.1002/jocb.347
- Sun, M., Wang, M., & Wegerif, R. (2020). Effects of divergent thinking training on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The impact of individual creative potential and domain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7: Online. https://doi.org/10.1016/j.tsc.2020.100682
-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
- Yang, K., Hong, Z., Lee, L., & Lin, H. (2019). Exploring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vergent and divergent scientific creativitie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1, 252-261. https://doi.org/10.1016/j.tsc.2019.01.002
- Zainuddin, S., Dewantara, D., Mahtari, S., Nur, M., Yuanita, L., & Sunarti, T. (2020). The correlation of scientific knowledge-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creative responsibility base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3(3), 307-316. https://doi.org/10.29333/iji.2020.13321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