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지역 재가여성 독거노인과 공동거주시설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안전의식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afety Consciousnes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 석민육 (사천시 보건소) ;
  • 강영실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 하영미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Seok, Min-Yuk (Sacheon Community Health Center) ;
  • Kang, Young-Sil (College of Nursing.Institute of Health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a, Yeongmi (College of Nursing.Institute of Health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3.29
  • 심사 : 2021.05.25
  • 발행 : 2021.06.30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afety consciousness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and then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awareness programs for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0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ged 65 or older and 120 elderly women living in group hom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2020, and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WIN 25.0 program to verif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t=15.77, p<.0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t=21.42, p<.001). Conclusion: Sinc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elderly in group home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local government' acts, continuous support and attention is needed that elderly women in group homes can maintain a healthy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20 고령자 통계[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21 [cited 2021 March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5322
  2. 통계청. 독거노인 현황.[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21 [cited 2020 November 25].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210&tblId=DT_21002_K048
  3. 조미형, 박대식, 최용욱. 농촌노인의 건강관리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1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 R699.
  4. 김예성.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014;34(3):400-429.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400
  5. 노현탁. 전국으로 확대되는 「독거노인 공동거주제」. 도시문제. 2014;49 (544):70-71.
  6. 정인수, 박선희, 윤혜림. 농촌 지역 독거노인 생활공동체거주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012;14(1):9-19.
  7. 이진숙. 가족대안으로서의 농촌 독거노인 생활공동체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010;22(1):95-119.
  8. 이은석. 정체형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체조 참가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8(1):683-697.
  9. 김예성.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014;34(3):400-429.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400
  10. 오지현.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2018;20(3):177-184. https://doi.org/10.17079/jkgn.2018.20.3.177
  11. 천보경. 농촌 지역 재가노인과 공동 생활가정 거주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우울, 삶의 만족도 비교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2016. 56 p.
  12. 이경자, 이미라, 조윤희. 노인의 안전의식과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2008;10 (1):48-57.
  13. 이현심, 신지현. 노인안전사고 실태와 예방.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2014;3(2):27-42.
  14. 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고령자 안전사고 심층분석. 한국소비자원 보고서. 서울: 한국소비자원; 2017 12.
  15. 이상곤, 김효정. 일부농촌 지역 재가 낙상경험 노인의 낙상 두려움 관련요인. 농촌의학. 지역보건. 2011;36(4):251-263.
  16. 강영실, 정선재. 독거노인의 안전의식과 낙상. 근관절건강학회지. 2013;20(3):180-188. https://doi.org/10.5953/JMJH.2013.20.3.180
  17.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on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18. 서현미, 하양숙.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2004;34(7):1288-1297. https://doi.org/10.4040/jkan.2004.34.7.1288
  19. 이상매. 여성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아산]:호서대학교; 2012. 117 p.
  20. 김영주.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2009;46:77-104.
  21. 오지현.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2018;20(3):177-184. https://doi.org/10.17079/jkgn.2018.20.3.177
  22. 유은주, 김미영, 이건정. 농촌 공동생활가정 거주노인의 공동생활체 경험연구. 노인복지연구. 2013;62:151-172.
  23. 박영임, 이강이, 김동옥, 엄동춘, 김지현.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25(3):170-179.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3.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