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C)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뇌병변 장애 아동의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C) 사용 전·후 비교

  • Park, So-W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umi University)
  • 박소원 (구미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1.04.19
  • Accepted : 2021.06.11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Purpose : In this study, we applied a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C)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pper limb function, sensor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 The study period lasted 10 weeks from October 2019 to December 2019. The study subjects were 12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a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C)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3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basic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scores of upper limb function (QUEST), sensory function (SSP-2), and daily life activity (WeeFI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5).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otor area, improvement in fine-motor function and protective extension through touch pad or controller operation was found. It also showed improvem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ing moto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ing social cognition. In the sensory function evaluation, it was not significant in movement sensi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items excluding olfactory/taste sensitivity. Conclusion : The application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C)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upper limb function, sensory func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need to generalize the study by expanding the age or population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or by expanding the diversity of diseases and environments.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뇌병변 장애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신체활동에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는 경직과 함께 나타나는 마비에 의해 선택적인 운동기능 상실하는 것과 불수의 운동으로 인해 원하는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우리나라 장애등급판정 고시 기준을 보면 ‘뇌병변 장애의 판정은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과 기타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한 경우에 한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Kim, 2018). 비정상적인 움직임, 비정상적인 긴장이나 운동패턴, 병적 긴장성 반사로 인하여 정상적인 운동이 어려운 태아나 유아기 시기 뇌성마비는 이 후 먹기, 호흡, 배변 등 일상생활활동의 방해요소가 된다(Hong, 2019). 뇌손상은 비진행적인 문제를 나타내나 운동과 자세 발달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고 영구적으로 남아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의 재활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Hong, 2013; Ko, 2020; Lee 등, 2013; Seo & Min, 2019).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1986년 Glisky 등에 의해 처음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기억력 훈련을 했던 것을 시작으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시각적 반응, 시각적 검색, 주의력, 정보처리속도, 기억력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 등의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이용한 치료 접근법에서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유연성과 함께 객관적인 측정, 환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고, 환자의 필요와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 선택이 가능하며,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Zoltan, 2010).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로 전산화 인지재활에 관심을 가져왔으며, RehaCom, ComCog, CoTras, PSS CogReHab 등의 프로그램이 주로 사용된다(Shin 등, 2002).

기존의 지필적 인지재활방식의 치료연구에 비해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빈약한 주의력 및 동기부여를 가진 환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최근 들어 뇌손상 및 다양한 환자군의 재활을 위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Cho & Yang, 2017; Kim, 2021; Kim & Heo, 2019; Moon & Won, 2016; Song & Park, 2020). 치료과정에서 수행결과에 대하여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피드백이 가능하고 치료 훈련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치료의 경과 관찰이 유용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쉽고 치료사 간의 환자 정보 공유의 효율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전산화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서 치료자의 창의적이고 개별적인 치료가 제한받을 수 있다는 단점과 인지기능의 단편적 측면만 다룰 수 밖에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장단점을 활용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 중 한국형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에는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 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Byeon, 2019), 소뇌 뇌졸중 환자의시지각에 미치는 효과(Ju & Kim, 2018),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효과(Choi 등, 2017),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전두엽,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Han 등, 2015), 전산화 인지치료의 결합 중재를 통한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과 인지기능, 우울감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연구(Kim, 2021) 등이 있다.

뇌병변 장애 아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운동기능과 관련된 연구가 많았는데 재활치료를 받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의 변화(Lee & Kim, 2019)를 살펴보거나 보행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청소년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아효능감이나 부모의 양육 태도의 영향(Lee 등, 2020), 감각통합운동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과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Bang, 2020) 등이 있다. 또한 아동용 전산화 인지 재활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에는 학령기 아동용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기억력 평가과제의 개발 및 타당도에 대한 검증 연구(Shin 등, 2016)의 연구에서 평균 8~10세 아동들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기억력 평가과제를 개발하거나, 인지기능이 저하된 뇌병변 장애아동을 위한 VR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개발(Lee 등, 2020),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코트라스)이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효과(Kim & Rhee, 2015),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C)이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Kim & Lee, 2013) 등이 있어 장애 특성, 장애 타입, 작업수행과제, 연령 등을 충분히 고려한 아동용 인지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이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치료실에서 활발히 적용되는 대표적인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병변 장애아동의 상지기능과 감각기능, 일상생활활동에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본 연구는 2019년 10월에서 2019년 12월까지 총 10주간(주 2회, 매회 30분, 회기당 2~3가지의 세부프로그램 항목 적용)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A 아동발달센터에서 뇌 병변 장애로 진단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대 상자 선별기준에 부합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13명 중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중도 포기한 1명을 제외, 12명을 대상으로 전산화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를 적용하여 전후 비교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대상자의 선별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의사로부터 뇌병변 장애로 진단받은 5~7세 장애아동

2) 뇌병변 장애 중에서도 유사한 증상(팔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을 보이는 아동

3) 단축형 감각프로파일의 평가 항목에서 정상 미만의 점수를 받은(평균 연령대에 비해 낮은 점수를 획득한) 아동

4) 연구자의 간단한 지시사항(2단계 지시 따르기 이하)에 대해 행동으로 실행이 가능한 아동(반복 설명으로 인한 지시 따르기가 가능한 경우)

그리고 이와 같이 선정한 기준에서 상지 기능이 키보드 혹은 터치패드를 조작할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아동, 안과 질환으로 인한 시력에 결함을 가지는 아동, 아동의 운동 및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치료를 병행한 아동의 경우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2. 측정도구

1)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

연구에서 사용한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코트라스(CoTras-C)의 명칭은 ‘cognition’에서 ‘Co’와 ‘Training’ 에서 ‘tra’, ‘system’에서 ‘s’의 조합이고 ‘C’는 ‘child’의 약자로 크게 주의력, 기억력, 시각운동협응력, 관리기능의 20여 가지의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4, 000여개의 콘텐츠로 구성되었다.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라 아이들에게 친근한 캐릭터 디자인 및 음성지원이 가능하며, 터치 모니터를 이용한 손가락 터치 패드를 기본으로 눈-손 협응 훈련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하위 항목에 따라서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입각한 특수 컨트롤러를 이용한 훈련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의 팔 및 인지기능의 초기 검사를 통해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고, 훈련 데이터는 자동 저장되어 치료계획 수립을 위한 정확한 분석 자료로 제공되었다.

2) 팔기능 검사

QUEST(quality upper extremity skill test)는 분리된 움직임, 잡기, 체중지지, 보호-폄의 4가지 영역, 39가지 하위항목으로 구성되며 30~45분 정도 소요된다. 뇌성마비아 동의 팔의 질적 움직임을 측정하는 목적을 가진 평가도구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90,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5이다(DeMatteo 등, 1992). 뇌성마비 아동들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 자세 조절력의 문제를 가지는데 이것은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이나 놀이, 교육 등의 작업영역의 수행에도 문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런 문제로 인해 주변 환경이나 경험이 부족하게 되면 좀 더 고차원적인 참여 및 적응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위팔의 질적 능력 검사인 QUEST를 통해서 분리된 움직임, 잡기, 체중지지, 보호 폄 4가지뿐 아니라 검사자의 주관적인 관찰력이 필요한 손 기능의 등급과 경직 정도, 검사 시 협조 정도를 알아볼 수 있다. 점수는 ‘예(모든 규칙에 따라 항목을 완전히 수행함)’에서 2점, ‘아니오 (항목을 완료할 수 없거나 완료되지 않음)’에서 1점, ‘검사불능(항목을 수행하지 못함)’에서 1점으로 득점한다.

3) 기능적 독립수행평가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평가도구인 WeeFIM은 1987 년 뉴욕 주립 대학에서 만든 기능적 독립성 측정도구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수정한 것으로 건강, 발달과 교육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평가도구는 만 6개월부터 8세까지의 일반 아동 뿐 아니라 발달장애가 있는 모든 아동의 독립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데 특히 인지 수준이 7세 이하인 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한 평가에 용이하다(Suh 등, 2009, Yang 등, 2020). 운동영역을 나타내는 자기관리, 대소변 조절, 이동성-옮겨앉기, 이동하기와 사회적 인지 영역을 알아볼 수 있는 의사소통, 사회적 적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정 시 유의사항으로 환자의 기능 수준을 가장 정확히 기술하는 점수를 기록하고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능력보다 실제 가능한 수준을 점수화해야 한다. 만약 측정환경이나 측정시간에 따라 수행 능력이 달라질 경우에는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며 빈칸 없이 모든 항목을 측정한다(Activities of daily living-Liv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2019). 본 연구에서인지 재활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하여 독립성을 살펴보았다.

4) 단축형 감각프로파일

뇌성마비 아동은 운동이나 인지적 문제뿐 아니라 감각 처리에서도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감각처리장 애는 행동이나 심리, 정서적 문제를 가져오며 환경 적응, 사회적 관계 형성, 의사소통 및 대처기술에서도 어려움을 초래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적절한 적응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ng & Hong, 2016).

단축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2; SSP-2) 은개정된 Sensory Profile-2의 단축형으로 아동의 감각 처리에 대한 반응을 일상생활 속에서 측정할 수 있는 28문항으로(Dunn, 2014) 구성된 단축형 표준화된 도구이다(Bak 등, 2017). 아동의 부모 혹은 주양육자가 아동의 일상생활의 감각 반응과 관련된 문항에 대해 ‘항상’은 1점, ‘전혀’는 5점으로 5점 척도로 평가한다.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의 하위요인은 촉각 민감성, 맛/냄새 민감성,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찾기, 청각여과하기, 활력부족 /허약, 시각/청각 민감성의 7개이고, 총점은 190점이며 문항에 대한 점수가 낮을수록 감각처리에 문제가 있다. 신뢰도 Cronbach α는 .70~.90이다(Kim & Ha, 2020).

3. 중재프로그램

아동용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장소는 연구기관의 사정에 맞추었으며 대상 아동의 일정에 맞추어 기존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전, 후에 이용 가능한 시간으로 실시하였다. 전후 평가는 연구자가 실시하였으며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중재는 인지재활 전문가로서 실시 과정에서 2년 이상의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해 본 전문가에 의해 충분한 언어적 설명 및 시연으로 일정하게 진행되었다. 훈련 콘텐츠는 정보 처리 방식 중순 차적 정보처리 영역으로 대상자의 동기화 및 상황에 맞추어 6가지 영역을 진행하였으며 적합한 이미지로 적용되었다. 총 31가지의 훈련 프로그램이 있는데 훈련은 난이도 및 단계별 자극을 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 중 연구자가 선행연구에서(Park, 2014)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의 개선을 보인 컨텐츠 6가지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5 가지를 임의로 선별하여(작업치료과 교수 1인, 작업치료사 10년 이상 2명의 검증) 진행하였다. 진행 프로그램의 점찍기(공간관계, 위치기억, 주의집중, 눈-손 협응), 퍼즐 맞추기(공간관계, 패턴인식, 대상재인), 어디어디 숨었나 (주의집중, 안구운동), 미로찾기(눈손협응, 안구운동), 빨리 없애기(선택적 주의력, 반응속도, 전경배경, 눈-손 협응)를 실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1회기에서 2~3세트를 진행하였고 실제 인지평가를 통해 아동의 기능을 도모할 내용을 아동과 함께 진행자가 조율하며 실시하였다. 치료실에는 프로그램 전용 책상과 의자를 배치하였고 실험과 무관하게 아동의 주의나 시선을 분산시킬 물건과 대상은 모두 제거하여 진행되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모수, 비모수 통계 방법의 결정을 위해서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하였다. 전·후 비교를 위해 모든 항목에서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후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가한 12명의 대상자에 대한 정규성 검정 (Shapiro-Wilk)을 사용한 결과, 정규성을 포함하는 결과를 나타냈고(p>.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아래 표 1 의 내용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HTHB4_2021_v9n3_9_t0001.png 이미지

2. 팔기능 전·후 비교

대상자 집단의 팔기능(QUEST)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5), 효과크기는 .053 으로 중간 효과 이상을 나타내었다(Table 2). 운동영역을 살펴본 결과에서 터치패드와 컨트롤러의 사용으로 인한 팔 움직임 중 잡기 영역과 보호신전 영역의 개선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able 2. Comparis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DHTHB4_2021_v9n3_9_t0002.png 이미지

3. 일상생활활동 전·후 비교

대상자 집단의 일상생활활동(weeFIM)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Table 3). 자조활동과 이동성을 나타내는 운동성이 포함된 일상생활 활동 영역과 언어이해 및 표현, 문제해결력, 사회적 인지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Table 3. Comparison of activity daily living function the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DHTHB4_2021_v9n3_9_t0003.png 이미지

4. 감각기능 전·후 비교

대상자 집단의 감각 기능(SSP-2)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5), 효과 크기는 .069으로 중간 효과 이상을 나타내었다(Table 4).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으로 전체 감각 프로파일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세부 사항으로 촉각, 후각에 대한 민감성은 변화가 없었다. 움직임 민감성을 제외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Table 4. Comparison of sensory function the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DHTHB4_2021_v9n3_9_t0004.png 이미지

Ⅳ. 고찰

사회화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시기에 현대를 살아가는 아동들은 컴퓨터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이것은 가상현실의 과몰입, 실태파악 부족, 공격성, 중독성 등의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를 이용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에서 컴퓨터를 통한 활동들이 아동의 인지발달과 인지교정에 도움을 나타낸다고 이야기한다(Park, 2014). 이전의 연구에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성인을 위한 연구가 다수였고, 장애 아동에게 적용할 시에 인지나 시지각의 변화를 보는 것에 국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 중 뇌병변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움직임, 감각, 반응하는 능력 등의 제한이나 문제로 인해 나타내는 위팔 기능, 감각 기능,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을 적용하였다.

한국형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는 국내 사용자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활발하게 사용되는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며(Song & Park, 2020), 현재 다양하게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Kim & Rhee, 2015; Shin 등, 2019). 이러한 기존의 전통적 인지치료와 중재 목적이 같은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인지능력 즉 기억력, 집중력, 실행기능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비약물성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인지기능뿐 아니라 우울 및 불안 같은 부정적인 정서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향상 및 개선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An & Kim, 2017; Shin 등, 2015). 선행연구에서 아동용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이 발달장애아동의 시지각, 인지능력에 향상을 가져왔고(Kim & Lee, 2013),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기능 향상(Park, 2014)도 나타내었다. 또한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에서도 효과를 나타내어(Kim & Rhee, 2015) 전산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C)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선정 과정에서 대상자는 자발적 참여에 의한 무작위 선별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특성상 시행이 가능하지 않은 아동 및 배제 기준에 부합하는 아동을 제외하여 모집 인원수가 제한적이었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소규모로 진행하여 표본 수에서 가지는 통계학적 유효결과 예측이 미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비교하여 진행하려 하였으나 의뢰기관의 대상자 수가 제한적이어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전후 비교만을 볼 수 있었다. 실험 기간이 10 주로 길지 않았으며 발달상태의 잠재력을 가진 대상자에게 진행했다는 것과 기본적인 작업치료 혹은 타 기관에서 이용하는 치료, 교육을 받는 신체적 재활치료 및 기타 인지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어려움도 있었다.

그러나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할 도구의 제한적 사용과 프로그램을 진행할 담당 치료사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한 기관, 전문 인지 재활 치료사가 운영하였고 이것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집단의 다양한 대상자에게 다양한 단계에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기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관에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해 적용 가능한 연령이나 대상자의 질환 군의 다양성을 볼 수 없다는 것이 한계이긴 하지만 5~7세의 학령 전 아동의 실험결과를 통해 앞으로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인지, 시지각 영역뿐 아니라 다양한 발달과 기능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용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을 중재한 후 뇌병변 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운동기능은 뇌성마비아 동의 팔 기능 질적 평가도구(QUEST)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후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뇌성마비 아동의 팔 기능에 관련된 항목 중 분리된 움직임과 체중 지지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잡기와 보호 폄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특성상 화면에 터치하거나 컨트롤러를 사용한 조작 능력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전 선행연구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을 실시하여 운동성이 포함된 시지각평가(K-DTVP) 시 과제수행의 향상을 나타내었고(Jung, 2018), 가상현실에 기반한 과제지향적 프로그램 수행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나타낸 것과(Lee & Hwang, 2016) 동일하게 운동기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자세 조절의 항목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는 아동의 기능에 따라 휠체어로 앉기 혹은 특수제작된 의자에 앉아 프로그램이 진행한 결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자세 조절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감각기능 평가(SSP-2)를 통해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 중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미각/후각 민감성과 중력에 저항하는 움직임 민감성의 점수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시각/청각 민감성을 비롯한 전반적인 감각기능에서는 향상을 나타내어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일상생활활동(WeeFIM)의 치료 효과에서는 자조활동 중 식사하기, 욕실활동의 세부항목과 실내외 이동 및 계단이동의 운동이 포함된 일상생활 활동도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언어이해 및 표현, 문제해결력이나 사회적 인지 부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아동의 발달단계 수준에서 좀 더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뇌병변 아동의 대상 연령이나 대상 집단을 확대하여 연구를 일반화하거나 질환의 다양성, 환경의 다양성을 확대하여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 중재 기간이 10주로 주 2회 실시한 본 연구의 효과성을 토대로 중재 지속 효과에 대해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며 전산화 인지 재활프로그램(CoTras-C) 뿐 아니라 다양한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뇌병변 장애아동 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의 대상자를 위한 컨텐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뇌병변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용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CoTras-C)을 적용하여 팔 기능, 감각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에서 2019년 12월까지 10주간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서 13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나 중도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탈락한 1명을 제외, 12명의 뇌병변 대상자가 실험에 참가하였다. A 아동발달센터를 이용하며 기본적 작업치료를 받는 12명의 대상자에게 주 2회 30분씩 2~3 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10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치료 전후의 팔 기능 중 잡기와 보호-폄의 영역이 향상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서는 자조활동과 이동성의 영역에서 운동성이 포함되는 부분의 점수와 사회 인지 영역의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각 기능의 점수 상 촉각, 후각 및 움직임에서의 민감성을 나타내는 세부항목을 제외하고 기능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장애 아동의 인지나 시지각적 향상뿐 아니라 뇌병변 아동들의 운동기능 및 사회적 작업 참여에 효과를 나타내며 이것은 임상에서 뇌병변 장애아동을 위한 다양한 치료 접근법 중 하나로 효과성을 나타내는 바이다. 이에 뇌병변 장애 아동 뿐 아니라 운동기능이나 감각 기능의 개선을 위한 세부 항목의 업데이트를 통해 다양한 장애 아동의 인지, 운동 기능뿐 아니라 사회적 작업 참여에 개선을 줄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ctivities of daily living-Liv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2017). Activities of daily living-Living : environment and leisure activities, 3nd ed, Seoul, Hyeonmunsa. pp.24-25.
  2. An TG, Kim GU(2017).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 J Korea Acad-Industr Coop Soc, 18(5), 211-218. https://doi.org/10.5762/KAIS.2017.18.5.211.
  3. Bak AR, Kim H, Yoo DH, et al(2017). Study t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2. J Korean Soc Occup Ther, 25(2), 131-139.
  4. Bang HS(2020). The effects of a sensory integration exercise program on motor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of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J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 Sci, 13(2), 112-117. https://doi.org/10.37152/kmhs.2020.13.2.112.
  5. Byeon HW(2019). The effect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reliminary study. J Korea Converg Soc, 10(9), 167-172. https://doi.org/10.15207/JKCS.2019.10.9.167.
  6. Cho SH, Yang YA(2017).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multimodal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orean J Occup Ther, 25(30), 71-86. https://doi.org/10.14519/jksot.2017.25.3.06.
  7. Choi NR, Kim JH, Kim JW, et al(2017).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cognition, basic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community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Cognitive Rehabil, 6(2), 65-82.
  8. DeMatteo C, Law M, Russell D, et al(1992). QUEST: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Hamilton, ON; McMaster University Neurodevelopmental Clinical Research Unit.
  9. Dunn W(2014). Sensory Profile 2: user's manual-strength based approach to assessment and planning. Psych Corporation.
  10. Glisky EL, Schacter DL, Tulving E(1986). Computer learning by memory-impaired patient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omplex knowledge. Neuropsychologia, 24(3), 313-328. https://doi.org/10.1016/0028-3932(86)90017-5.
  11. Han SH, Jo EJ, Noh DH, et al(2015). Effect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 Korea Acad-Industr Coop Soc, 16(5), 3344-3352. https://doi.org/10.5762/KAIS.2015.16.5.3344.
  12. Hong EK(2013). Systematic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 Contents Assoc, 13(6), 318-330.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18.
  13. Hong EK(2019).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systematic review. J Korean Acad Sensory Integr, 17(3), 46-60. https://doi.org/10.18064.JKASI.2019.19.3.046. https://doi.org/10.18064/JKASI.2019.17.3.046
  14. Hong EK, Hong SY(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emotional regulation : a literature review. J Korea Acad Sensory Integr, 14(1), 50-59. https://doi.org/10.18064.JKASI.2016.14.1.050.
  15. Ju SH, Kim H(2018). The effect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cerebellar stroke patients. J Spe Edu & Rehabil Sci, 57(3), 457-472.
  16. Jung HS(2018).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COMCOG) o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J Korean Soc Neurocog Rehabil, 10(1), 43-50, https://doi.org/10.29144/KSCTE.2018.10.1.43.
  17. Kim GD, Heo M(2019). The effect of white noise on memory and attention of local community elderly during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J Korea Enter Industr Assoc, 13(8), 627-633. https://doi.org/10.21184/jkeia.2019.12.13.8.627.
  18. Kim MS, Ha EH(2020). The effects of sensory processing on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preshoolers. J Converg Soc, 11(9), 181-191. https://doi.org/10.15207/JKCS.2020.11.9.181.
  19. Kim JG(2018).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st ed, Seoul, Panmuneducation, pp.141-144.
  20. Kim SY, Rhee KM(2015). The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 Rehabil Welfare Eng Ass Technol, 9(2), 105-113.
  21. Kim SH(2021). The effect of combination interven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for wellness, J Korea Enter Industr Assoc, 15(1), 229-236. https://doi.org/10.21184/jkeia.2021.15.1.229.
  22. Kim SH, Shin HJ, Hahm SC, et al(2020). The effect of a program combining resistance exercise and group exercise on balance, grip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Soc Phys Med, 15(4), 75-85. https://doi.org/10.13066/kspm.2020.15.4.75.
  23. Kim YG, Lee MJ(2013). The effect o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ildren (CoTras-C) for the cognitive ability and visual percep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J Rehabil Res, 17(3), 391-414.
  24. Ko MS(2020).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sensory and motor functio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n Journal of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10(2), 11-19. https://doi.org/10.37851/kjnr.2020.10.2.2.
  25. Lee CY, Kim EJ, Noh DH, et al(2013). A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of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J Korean Soc Community-Based Occup Ther, 3(1), 21-31.
  26. Lee KH, Hwang KC(2016).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using computer-human interface for recovery of upper extremity use in stroke patients. J Dig Converg, 14(1), 285-290.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85.
  27. Lee YS, Seo DK, Kim KH, et al(2020). Effect of gait exercise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of adolescent spastic cerebral palsy - case study. J Korean Soc Integr Med, 8(4), 183-190. https://doi.org/10.15268/ksim.2020.8.4.183.
  28. Moon JH, Won YS(2016). Effects of cognitive treatment programs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on attention, working memory, and treatment preference in patients with stroke. J Cog Enhan & Inter, 7(3), 1-16.
  29. Park SW(2014). The effect of the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30. Seo SM, Min KC(2019). Systematic review of method for application of oral sensorimotor intervention for feed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 Sci Rehabil, 8(3), 31-41. https://doi.org/10.22683/tsnr.2019.8.3.031.
  31. Shin SH, Ko MH, Kim YH(2002).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J Korean Acad Rehabil Med, 26(1), 1-8.
  32. Shin GS, Shin SH, Yang YA(2015). The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early dementi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9(2), 13-16.
  33. Shin JW, Han HG, Shin SH, et al(2019). Effect of a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PNF and Movement, 17(1), 69-79. https://doi.org/10.21598/JKPNFA.2019.17.1.69.
  34. Song SI, Park SW(2020). Clinical benefit of computerized cognitive therapy in patients with brain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Soc Integr Med, 8(4), 277-289. https://doi.org/10.15268/ksim.2020.8.4.277.
  35. Suh YT, Han HC, Kim HM(2009),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GMFM and WeeFIM i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7(2), 99-119.
  36. Yang YA, Ko YJ, Kim DJ, et al(2020).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1st ed, Seoul, Edufactory, pp.326-342.
  37. Zoltan B(2007).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adult with acquired brain injury. 4th ed, New Jersey, Slack Incorporated, pp.365-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