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mall World and Centrality on the Paper Achievement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논문 성과에 좁은 세상 구조와 중심성이 미치는 영향

  • 이혜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소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김정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경영정책전공)
  • Received : 2020.12.24
  • Accepted : 2021.02.16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cooperative network structure influence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research institute. In particular, South Kore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RI) need to establish an efficient cooperative system as a leading national R&D implementer. This study applied the Small World structure, which has been discussed as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and the centrality of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nodes to the cooperative network of GRI in Korea. Based on the SCIE published data from 2010 to 2019, we analyze how the Small World characteristics and centrality of GRI contribute to academic performance using a network analysis and Feasible GLS regression. The GRI cooperative network has shown that the Small World network structure facilitates the academic performance. In addition, centrality indicating the degree of direct connection showed positive significance, but centrality indicating the degree of intermediary was not significant or neg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ain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institutions that exchange and cooperate, the higher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s that serve as the center of cooperation. In addition, it was established that the stronger the cooperative network of GRI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World, the more effective it is to creat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pplies centrality and Small World previously discussed as an efficient network structure to the GRI cooperation network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trategies related to R&D cooperation among GRIs.

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 및 특징은 기관의 학문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한국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선도적인 국가 연구개발 수행 주체로서 효율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로 논의되어 온 좁은 세상 구조와 노드 간 특징을 나타내는 중심성을 한국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협력 네트워크에 적용하였다. 2010년~2019년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좁은 세상 구조적 특징 및 중심성과 논문 성과 간 관계를 네트워크 분석과 Feasible GLS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부출연연구기관 협력 네트워크는 좁은 세상 구조를 취할수록 학문적 성과에 유의미한 양의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적인 연결 정도를 나타내는 중심성은 양의 유의성을 보였으나, 중개자 정도를 나타내는 중심성은 유의하지 않거나 음으로 유의했다. 교류 협력하는 기관의 수가 많을수록 논문 성과가 높았으며, 협력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기관과 협력 관계인 기관의 성과가 높다. 또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협력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의 특성을 강하게 가질수록 연구 성과 창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로서 논의되던 좁은 세상 구조와 중심성을 정부출연연구기관 협력 네트워크에 적용하고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할 뿐 아니라 정부출연연구기관 간 연구개발 협력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준.이길남 (2015), "SNA (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한국무역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무역학회지」, 제40권 제5호, pp. 1-23.
  2. 고성주.이춘수 (2018), "과학기술계 출연 연구기관의 사업 유형별 연구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4호, pp. 715-741.
  3. 곽기영 (2014),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 청람.
  4.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8), 「출연(연)의 선도형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 서울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5. 권오진.노경란.이방래.고병열.문영호 (2007), "매개중심성 분석을 통한 기술군간 융합 정도측정",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 1-5.
  6. 김계수.김재영.이민형 (1995),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종합예산시스템", 「연구보고」, pp.1-441.
  7. 김미진 (2020), "생명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 분석 연구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51권 제2호, pp. 273-294.
  8. 김소민.이혜경.김정흠 (2020),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이 정부출연연구기관 협력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6호, pp. 1222-1239.
  9.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 제41권 제4호, pp. 68-103.
  10. 김용학 (2014),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 박영사.
  11. 김행미.이윤빈 (2020),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음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2. 김홍영.정선양 (2015), "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693-718.
  13. 민철구.송완흡.현병환 (2004), "지역대학과 출연(연)의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정책연구」, pp. 1-163.
  14. 박연수.박주영.김종주.원유형 (2020), "기후변화 학술연구 협력 경향 분석 : 공동저자 네트워크구조 및 중개자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162-180.
  15. 박웅.박호영.염명배 (2017), "ICT분야 중소기업의 산.연 R&D 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Vol. 12, No. 6, pp. 139-150. https://doi.org/10.16972/APJBVE.12.6.201712.139
  16. 박주형.이희상 (2014),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지식창출 협력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563-583.
  17. 박희제 (2018), "연구규범과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성격: 공공부문 연구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6권 제1호, pp. 81-106.
  18. 백영기 (2015), "공동저술 논문을 이용한 연구협력에 대한 공간적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6호, pp. 641-657.
  19. 서일정 (2019), "팀 프로세스의 작은 세상 구조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 539-54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539
  20. 송민경.박범수 (2017),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장기적 협력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출연(연)의 인력파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 654-665.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654
  21. 송위진.이은경.송성수.김병윤 (2003), 「한국 과학자사회의 특성분성- 탈 추경체제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2. 안세정.이준영 (2020),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데이터를 활용한 거시적 연구 지형 및 수준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3호, pp. 478-504.
  23. 엄익천.류영수 (201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R&D 효율성 분석 : 정부수탁과제와 출연금과제의 비교",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9권 제3호, pp. 85-113. https://doi.org/10.23036/KAPAE.2019.29.3.004
  24. 연구윤리정보센터 (2013), "공동연구란,", https://www.cre.or.kr, (2013.06.17.).
  25. 예성호 (2013), "'좁은 세상(Small World)'에서의 한중 간 정보확산 구조에 관한 연구", 「중국과 중국학」, 제20호, pp. 33-65.
  26. 오진환.구훈영 (2018),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T R&D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23-36. https://doi.org/10.7838/jsebs.2018.23.1.023
  27. 유화선.김윤명.양치승 (2017),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pp. 1225-1246.
  28. 육형갑.강재열.배기봉.강대석 (2020),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의 연구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 DEA를 활용한 융합연구 및 일반수탁사업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제11권 제3호, pp. 211-218. https://doi.org/10.15207/JKCS.2020.11.3.211
  29. 이강원.엄희관.최혜진 (2017), "Small-world와 Scale-free 네트워크를 위한 조정 가능한 네트워크 생성 모델",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42권 제7호, pp. 1392-1401. https://doi.org/10.7840/kics.2017.42.7.1392
  30. 이동현.이상근 (2020), "구조적 공백 이론을 이용한 산업간 융합 측정 연구 : ICT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 11-19. https://doi.org/10.9723/JKSIIS.2020.25.3.011
  31. 이민형 (2014), "정부연구개발사업 성과 제고를 위한 예산 배분제도 및 구조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 제24권 제5/6호, pp. 20-32.
  32. 이민형.김태양 (2020), "공공연구기관 R&D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주요 혁신방안", 「STEPI Insight」, 제252호, pp. 1-28.
  33. 이방래.임종연.이우주.원동규 (2019), "개별 논문의 질적 수준에서 측정한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 사업의 SCI 성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 11-25.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011
  34. 이성희.이학연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산학연 공동연구 성과 평가",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3권 제3호, pp. 154-163. https://doi.org/10.7232/JKIIE.2017.43.3.154
  35. 이수상 (2011),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 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4권 제3호, pp. 405-428.
  36.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 논형학술.
  37. 이수환 (2016), "지리학계의 공동저술 논문에서 공동저자간의 네트워크분석 :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pp. 13-14.
  38. 이옥선.김지대.김성용.이재욱 (2011), "학.연 연구개발 협력시스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 2489-2499. https://doi.org/10.5762/KAIS.2011.12.6.2489
  39. 이윤빈.이성용.정고은 (2019), "정량분석에 기반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영역 유사도와 연구협력 관계 고찰", 「기술혁신학회지」, 제22권 제4호, pp. 526-547.
  40. 이창연.김병근 (2019), "중소기업의 산.연 기술협력 성과 영향 요인", 「기술혁신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416-445.
  41. 이형진 (2016), "국방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국방과 기술」, 제448호, pp. 70-83.
  42. 이희연.김홍주 (2006),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수도권의 공간구조 변화 : 1980-2000년", 「국토계획」, 제41권 제1호, pp. 133-151.
  43. 장덕희.강예린 (2020), "정성적 관점에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논문 성과 변화 분석 : SCIE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32권 제2호, pp. 147-169.
  44. 장임숙 (2013),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협력네트워크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한국행정논집」, 제25권 제3호, pp. 693-718.
  45. 정태원.정동섭.김정흠 (2014),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워크 구조와 논문 성과와의 관계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242-263.
  46. 조성용.변기식 (2020), "중심성 분석을 이용한 식품 미세플라스틱의 최근 연구동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 508-515. https://doi.org/10.5762/KAIS.2020.21.5.508
  47. 조종선.이만표.신상훈.전용웅 (2019),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통한 정부 바이오헬스 연구개발사업의 협력 네크워크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pp. 1207-1228.
  48. 조지혁.강병삼.최호철.김영준 (2018), "정부출연연구원의 융합연구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연구회 융합연구사업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2호, pp. 1-24.
  49. 주성환 (2016), "특허 출원인 간 상호협력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0호, pp. 83-93.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83
  50. 주성환.서환주 (2017), "공동 특허 출원인간 협력 요인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5권 제4호, pp. 211-238. https://doi.org/10.14383/SIME.2017.25.4.211
  51. 최종화.이광호.조용래.우청원.이충현.김은아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협력적 융합연구 촉진방안」,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2. 황경연.성을현 (2018), "기업-정부출연(연) 간 협력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과 정보연구」, 제37권 제3호, pp. 147-171.
  53. 황경연 (2019), "기업과 출연(연)간 관계특성 및 협력성과 결정요인 분석", 「경영과 정보연구」, 제38권 제2호, pp. 119-137.
  54. 허정은.양창훈 (2013),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융함연구 구조 분석: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4호, pp. 883-912.
  55. BK21기획단 (2006), 「2단계 BK21 사업 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56. Albert, R., Jeong, H. and Barabasi, A. L. (1999), "The Diameter of the World Wide Web", Nature, Vol. 401, pp. 130-131. https://doi.org/10.1038/43601
  57. Ahuja, G. (2000),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 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5, No. 3, pp. 425-455. https://doi.org/10.2307/2667105
  58. Audretsch, D. and Vivarelli, M. (1996), "Firm Size and R&D Spillovers: Evidence from Italy", Small Business Economics, Vol. 8, pp. 249-258. https://doi.org/10.1007/BF00388651
  59. Barabasi, A. L., Jeong, H., Ravasz, N. E., Schubert, A. and Vicsek, T. (2002), "Ev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of Scientific Collaboration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Vol. 311, No. 3-4, pp. 590-614. https://doi.org/10.1016/S0378-4371(02)00736-7
  60. Bjork, J. and Magnusson, M. (2009), "Where Do Good Innovation Ideas Come From? Exploring the Influence of Network Connectivity on Innovation Idea Quality",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 26, No. 6, pp. 662-670. https://doi.org/10.1111/j.1540-5885.2009.00691.x
  61.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No. 92, pp. 1170-1182.
  62. Bound, J., Cummins, C., Griliches, Z., Hall, B. H. and Jaffe, A. (1982), "Who Does R&D and Who Patents", NBER Working Paper, No. 908, June 1982.
  63. Burt, R. S. (1992),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MA.: Havrard University Press.
  64. Burt, R. S. (2004), "Structural Holes and Good Idea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110, No. 2, pp. 349-399. https://doi.org/10.1086/421787
  65. Cohen, W. M. and Levin, R. C. (1989a), "Empirical Studies of Innovation and Market Structure", In R. Schmalensee and R. D. Willig (eds.), Handbook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 2, NY: North-Holland, pp. 1059-1107.
  66. Cohen, W. M. and Levin, R. C. (1989b), "Innovation and Learning: The Two Faces of R&D", Economic Journal, Vol. 99, No. 397, pp. 569-596. https://doi.org/10.2307/2233763
  67. Cowan, R. and Jonard, N. (2004), "Network Structure and the Diffusion of Knowledge",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 28, No. 8, pp. 1557-1575. https://doi.org/10.1016/j.jedc.2003.04.002
  68. Davis, G. F., Yoo, M. and Baker, W. E. (2003), "The Small World of the American Corporate Elite, 1982-2001", Strategic Organization, Vol 1. No. 3, pp. 301-326. https://doi.org/10.1177/14761270030013002
  69. Etzkowitz, H. and Leydesdorff, L. (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 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Vol. 29, No. 2, pp. 109-123.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70. Fleming, L., King, III, C. and Juda, A. I. (2007), "Small Worlds and Regional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 18, No. 6, pp. 938-954. https://doi.org/10.1287/orsc.1070.0289
  71. Freeman, L.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No. 1, pp. 215-239.
  72. Hidalgo, A. and Albors, J. (2008), "Innovation Management Techniques and Tools: A Review from Theory and Practice", R&D Management, Vol. 38, No. 2, pp. 113-127.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8.00503.x
  73. Kastelle, T. and Steen, J. (2010), "Are Small World Networks Always Best for Innovation?", Organization & Management, Vol. 12, No. 1, pp. 75-87.
  74. Kogut, B. and Walker, G. (2001), "The Small World of Germany and the Durability of National Network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6, No. 3, pp. 317-335. https://doi.org/10.2307/3088882
  75. Landau, R. and Rosenberg, N. (1986), The Positive Sum Strategy: Harnessing Technology for Economic Grow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76. Landry, R., Amara (2002), "Does Social Capital Determine Innovation? To What Ext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69, No. 7, pp. 681-701. https://doi.org/10.1016/S0040-1625(01)00170-6
  77. Lemmens, C. E. A. V. (2004), Innovation in Technology Alliance Networks, Amsterdam: Edward Elgar.
  78. Marshall, A. (1919), Industry and Trade. A Study of Industrial Technique and Business Organization; and of their Influences on the Conditions of Various Classes and Nations, London: Macmillan.
  79. Milgram, S. (1967), "The Small-World Problem", Psychology Today, Vol. 1, No. 1, pp. 61-67.
  80. Neal, Z. (2015), "Making Big Communities Small: Using Network Science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and Behavioral Requirements for Community Social Capita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55, No. 3-4, pp. 369-380. https://doi.org/10.1007/s10464-015-9720-4
  81. Nelson, R. R. (1993),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2. Newman, M. E. J. (2004), "Coauthorship Networks and Patterns of Scientific Collaboration", PNAS, Vol. 101, No. 1, pp. 5200-5205. https://doi.org/10.1073/pnas.0307545100
  83. OECD (2002), Frascati Manual Paris, OECD.
  84.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Competition: New Agendas for Companies,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Paper, No. 98-080, March 1998.
  85. Powell, W. W. (Eds) (1999), "Network Position and Firm Performance: Organizational Returns to Collabor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Vol. 16, No. 1, pp. 129-159.
  86. Pyka, A. (2002), "Innovation Networks in Economics: From the Incentive-Based to the Knowledge-Based Approaches",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 5, No. 3, pp. 152-163. https://doi.org/10.1108/14601060210436727
  87. Stuart, T. E. (1998), "Network Positions and Propensities to Collaborate: An Investigation of Strategic Alliance Formation in a High-Technology Indust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3, No. 3, pp. 668-698. https://doi.org/10.2307/2393679
  88. Telesford, Q. K., Joyce, K. E., Hayasaka, S., Burdette, J. H. and Laurienti, P. J. (2011), "The Ubiquity of Small-World Networks", Brain Connectivity, Vol. 1, No. 5, pp. 367-375. https://doi.org/10.1089/brain.2011.0038
  89. Uzzi, B. and Spiro, J. (2010),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The Small World Problem",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111, No. 2, pp. 447-504. https://doi.org/10.1086/432782
  90. Wang, J. (2018), "Innovation and Government Intervention: A Comparison of Singapore and Hong Kong", Research Policy, Vol. 47, No. 2, pp. 399-412. https://doi.org/10.1016/j.respol.2017.12.008
  91. Watts, D. J. and Strogatz S. H. (1998), "Collective Dynamics of 'Small-World' Networks", Nature, Vol. 393, pp. 440-442. https://doi.org/10.1038/30918
  92. Watts, D. J. (1999), Small Worlds: The Dynamics of Networks between Order and Randomnes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93. Wooldridge, J. M. (2016), Introductory Econometrics, Sixth Edition,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94. Zheng, X. (2017), "Network Embeddedness and Firm Innovation: An Empirical Research on Strategic Emerging Industrie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 12, No. 5, pp. 209-216. https://doi.org/10.5539/ijbm.v12n5p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