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and Empirical Analysis -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자살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실태 분석 -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 이승지 (대학원 헬스케어환경디자인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
  • 이은진 (대학원 헬스케어환경디자인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
  • 노태린 (노태린앤어소시에이츠, 대학원 헬스케어환경디자인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 Received : 2021.07.16
  • Accepted : 2021.08.31
  • Published : 2021.09.1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정, 2013, "지역의 자살률 차이와 관련된 구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 41-52
  2. 관계부처합동, 2019,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 추진상황 및 향후 계획, https://www.opm.go.kr/flexer/view.do?ftype=hwp&attachNo=94247
  3. 김기원, 김한곤, 2011,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 34(4), 31-54
  4. 김영욱, 김주영, 2015, "자살자의 거주지 유형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A구에 대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6(1), 85-99
  5. 김영욱, 김주영, 2016, "영구임대아파트와 판자촌의 공간구조와 자살률 비교 연구", 도시설계, 17(1), 135-146
  6. 김영욱, 지봉근, 김주영, 2019, "고층아파트의 저층과 고층의 자살률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5(8), 57-64
  7. 김주영, 앙하, 장선희, 김영욱, 2017,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17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52-258
  8. 문영희, 임미영, 2013, "거주지역별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도시와 농촌의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3), 551-563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551
  9. 서인균, 이연실, 2015, "지역사회환경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69, 383-415
  10. 오영란, 2013, "일본의 노인자살예방정책 고찰: 사회적 배제와 포섭의 관점", 한국사회정책, 20(1), 9-47 https://doi.org/10.17000/KSPR.20.1.201303.9
  11. 윤명숙, 최명민, 2012,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및 정신보건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213-238
  12. 윤우석, 2014, "지역사회의 생태적 특성과 자살태도 및 자살생각의 관계 검증", 한국범죄학, 8(1), 163-193
  13. 이지은, 김갑성, 2016,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지역별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016 한국주택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21-31
  14. 전해정, 2017, "도시 주거환경이 지역주민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GIS와 공간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학보, 70, 56-66
  15. 정은희, 송나경, 2017, "지역사회 환경적 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2009-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4(5), 638-647
  16. 조수미, 신형덕, 2014, "문화시설과 도시공원이 지역별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8), 4874-4880
  17. 최명민, 성정숙, 이현주, 2019, "어떤 지역사회가 자살에 취약한가 - 일지방대도시 자살다발지역에 관한 지역사회 프로파일링", 71(2), 37-64
  18. 황종남, 오종묵, 2020, "대도시 거주지역 환경에 대한 만족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1(4), 143-155
  19.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데이터포털 https://spckorea-stat.or.kr
  20. 허지정, 최막중, 2013,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1(4), 49-63
  21. Youngdon, Kim; Woojae, Myung; Hong-Hee, Won; Sanghong, Shim; Hong Jin, Jeon; Junbae, Choi; Bernard, J. Carroll; Doh Kwan, Kim, 2015,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Suicide in South Korea: A Nationwide Study", PLoS One. 2015 Feb 18;10(2):e011792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7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