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temming Condition in Mine Ventilation Shaft Blasting

광산 통기수갱발파에서 전색조건이 발파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김준하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김정규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정승원 (특수법인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화약안전처) ;
  • 고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
  • ;
  • 김종관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Received : 2021.09.13
  • Accepted : 2021.09.24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Ventilation shafts are pathways in mines and tunnels for the removal of dust or smoke during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mines, blasting with long blast holes is preferred for the excavation of a ventilation shaft in the 10~20m long crown pillar section. In this case, the bottom part of the blast hole is completely drill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rilling error, and this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explosive charge and blast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xplosive loading and to increase the blast efficiency by covering the curb of the blasthole by using stemming material. In this study, simulations for the blasting of a ventilation shaft were performed with various stemming lengths and the blasthole diameters(45, 76mm) using AUTODYN 2D SPH(Smooth particle hydrodynamics) analysis technique. Also the optimal bottom stemming column was derived by checking the size of the boulder and burden line according to blasting. Analysis result, blasting efficiency is lessened in case of stemming length less than 30cm and the optimal length of the stemming material should be 30cm or high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of blasting.

통기 수갱은 지하공간 개발시 분진 또는 매연 등을 제거하기 위해 광산과 터널에서 사용되는 통로이다. 광산에서는 통기 수갱 개발을 위해 10~20m 구간의 크라운필라 영역을 1회의 장공발파로 굴착하는 공법이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천공오차를 파악하기 위해 장약공을 완전히 천공하였을 때 장약공 하부가 구속되지 않으며, 또한 이는 폭약 장약과 발파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는 장약공 하부에 전색을 사용함으로 장약공 하부를 전색하여 폭약 장약의 문제를 해결하고 발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SYS AUTODYN 2D SPH(Smooth particle hydrodynamics)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장약공 직경(45, 76mm)과 다양한 전색장을 달리한 통기 수갱 발파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파에 따른 하부의 대괴 사이즈, 저항선을 확인하여 최적의 하부전색장을 도출하였다. 해석 결과 하부전색장 30cm 이하의 경우 발파효율이 저하되며, 발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30cm 이상의 전색장을 적용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해외자원개발협회의 지원(스마트 마이닝 전문인력 양성사업)과 2021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H1D8A1109673).

References

  1. 고영훈, 김승준, Khaqan Baluch, 양형식, 2017, 트라우즐 연주시험과 수치해석에 의한 전색 매질별 발파효과 영향에 관한 연구,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35, No. 4, pp. 19-26.
  2. 고영훈, 정승원, 양형식, 2018, 디커플링 조건 및 폴리머 겔 적용에 따른 발파공 발파위력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36, No. 2, pp. 1-9. https://doi.org/10.22704/KSEE.2018.36.2.001
  3. 김태형, 이정인, 2002, 터널 발파패턴 설계의 자동화를 위한 설계변수의 정량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암반공학회춘계학술발표회, pp. 55-64.
  4. 김학성, 이상은, 2011, 화강암 부순모래의 발파전색효과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지), Vol. 21, No. 4, pp. 320-327.
  5. 범진삼, 2017, 국산 상용화약류의 장약집중도 특성을 고려한 벤치발파법 제안, 공학박사 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한민국.
  6. 우진호, 나원배, 유정석, 2014, SPH 기법을 이용한 Rock-berm의 앵커 충돌 수치 시뮬레이션,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Vol. 26, No. 1, pp. 9-15. https://doi.org/10.9765/kscoe.2014.26.1.9
  7. 이인모, 조계춘, 2004, 지하공간 활용을 통한 신공간 창출, 대한토목학회지, Vol. 52, No. 9, pp. 13-21.
  8. 최병희, 2001, 화약발파 용어에 대한 고찰,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19, No. 2, pp. 35-39.
  9. 최용근, 2005,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한 발파패턴 설계식 개발,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23, No. 4, pp. 19-29.
  10. Khaqan Baluch, 고영훈, 양형식, 2017, 발파공 내 전색물의 커플링 효과에 대한 AUTODYN 수치해석,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35, No. 3, pp. 9-14.
  11. Joosef Leppanen, 2006, Concrete subjected to projectile and fragment impacts: Modelling of crack softening and strainrate dependency in ten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2, No. 11, pp. 1828-1841. https://doi.org/10.1016/j.ijimpeng.2005.06.005
  12. Leo Laine, Andreas Sandvik, 2001, Dervation of Mechanical Properites for Sand, 4th Asian-Pacific conference on Shock and impact loads on structures, Singapore, pp. 361-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