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evaluation of the castles and palaces of Goryeo Gangdo (江都) using GIS

고려 강도(江都)의 성곽과 궁궐 재고찰

  • KANG, Dongseok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강동석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21.09.13
  • Accepted : 2021.10.30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Gangdo (江都), a reproduction of Gaegyeong, was the capital of Goryeo for 39 years. However, due to the urgent wartime situation of the Mongol invasion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anghwa Island, the castle system and palace layout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Gaegyeong. Gangdo's castle can be understood as a triple castle system consisting of outer castle, middle castle, and inner castle. First, the outer castle was the first to be completed, and it was built at the forefront to prevent the Mongol army from invading in the first place. It is presumed that the section was between Huamdon and Hwadodon in the outer castl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iddle castle can be seen as the present 'Middle Castle', a castle built of earth on the outskirts of the Ganghwa-mountain Castle. Considering the sophistication and robustness of the construction method confirmed in the archaeological research, this castle is thought to have been built under a meticulous plan. In other words, as the capital city, it was completed 'at last' as recorded in the Koryo History, after a long 18-year construction process to protect palaces,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houses. The inner castle was a castle with the character of a palace. This corresponds to the Old Castle of Ganghwabu (江華府)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 almost coincided with the scale of the composition of Gaegyeong's palace castle. It was a complex functional space, featuring the integration of the palace and the imperial castle, where the main government offices and ancillary facilities, including the palace, were located. Based on the documentary record that these palaces were similar to Gaegyeong's palace, the palace map was overlapped with that of Gaegye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ilding from Seungpyeongmun (昇平門) to Seongyeongjeon (宣慶殿) coincided with Kim Sangyongsunjeol Monument in Ganghwa- Goryeo Palac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alace of Gangdo had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at of Gaegyeong. However, the inner palace and annexed buildings must have been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of Ganghwa, and this is estimated to be the Gunggol area in Gwancheong-ri.

강도는 39년간 고려의 수도였으며, 이는 개경의 재현이었다. 하지만 몽골군의 침입이라는 급박한 전시 상황과 강화도의 지형적인 특징 등으로 인해 개경과는 다소 다른 성곽 체제와 궁궐의 배치를 이루고 있었다. 강도의 성곽은 외성-중성-내성으로 구성된 3중성(重城) 체제로 이해할 수 있다. 외성은 가장 먼저 완성한 성곽이었으며 몽골군의 침입을 최전선에서 최우선으로 방비하기 위해 축조된 것이었다. 그 구간은 조선시대 외성의 휴암돈~화도돈이었다고 추정된다. 중성은 강화산성 외곽의 토축성인 현 '중성'으로 볼 수 있다. 이 성곽은 고고학적 조사에서 확인된 축조 수법의 정교함과 견고성을 통해 볼 때 치밀한 계획 하에 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즉 중성은 강도의 도성으로서 궁궐, 관청, 민가 등을 보호하기 위해 18년이라는 장기간의 축성 과정을 거쳐 『고려사』에 기록된 바와 같이 '비로소' 완성되었던 것이다. 내성은 궁성적 성격을 지닌 성곽이었다. 조선시대 강화부의 '구성(舊成)'이 이에 해당하며 개경 구성의 규모와 거의 일치하였다. 내성은 궁궐을 포함한 주요 관부와 부속 시설이 위치한 궁성과 황성의 통합, 즉 복합적 기능 공간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궁궐은 개경에 준하였다는 문헌 기록에 근거하여 개경 궁궐도와 중첩한 결과, 승평문-선경전에 이르는 건축물의 중심축이 김상용 순절비각-고려궁지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강도의 궁궐은 기본적으로 개경과 동일한 건축물 배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고 본다. 하지만 내전과 부속 건물 등은 강화의 지형 조건을 감안하여 배치되었을 것이며, 이는 관청리 '궁골' 일대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09, 「강화 조선 궁전지 II -사적 제133호 강화 고려궁지 발굴조사-」.
  2.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강화 고려도성 기초학술연구」.
  3. 김상기, 1948, 「동방문화교류사논고」, 을유문화사.
  4. 김상기, 1961, 「고려시대사」, 동국문화사.
  5. 김용선, 2006, 「최항묘지명」,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출판부.
  6. 김창현, 2004, 「고려 개경과 강도의 도성 비교 고찰」, 「한국사연구」 127.
  7. 김창현, 2005, 「고려시대 강화의 궁궐과 관부」, 「국사관논총」 106.
  8. 윤용혁, 2002, 「고려시대 강도의 개발과 도시 정비」, 「역사와 역사교육」 7.
  9. 윤용혁, 2010, 「고려 도성으로서의 강도의 제문제」, 「한국사연구」 40, 한국사연구회.
  10. 신안식, 2009, 「강도 시기 도성 성곽의 축조와 위상」, 「강화 고려궁지 학술조사 학술발표회 자료집」, 강화문화원.
  11. 신안식, 2010, 「고려 강도 시기 도성 성곽의 축조와 그 성격」, 「군사」 7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2. 윤용혁, 2005, 「고려 강화도성의 성곽 연구」, 「국사관논총」106, 국사편찬위원회.
  13. 이병도, 1947, 「고려시대의 연구」, 을유문화사.
  14. 이상준, 2014, 「고려 강도 궁궐의 위치와 범위 검토」, 「문화재」 47-3, 국립문화재연구소.
  15. 이희인, 2012, 「고려 강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희인, 2015, 「고려 강도 성곽의 체제와 위치 고찰」, 「동양학」 60,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7. 이희인, 2018, 「고려시대 강화의 고고 유적과 공간 구조」, 「중세고고학」 4, 중세고고학회.
  18. 이희인, 2019, 「고려 강도의 건설과 공간 구성」, 「한국중세사연구」 59, 한국중세사학회.
  19. 한림대학교 박물관, 2003, 「조선궁전지(외규장각지)」(한림대학교 박물관 연구총서 제25집).
  20. 한성문화재연구원, 2009, 「강화 관청리 유적 -강화 관청리 도시계획도로(소로 2-86, 2-8호선) 발굴조사 보고서-」(학술조사보고 제26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