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tional brand development research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 연구 개발 전략 - 금문(錦紋)을 중심으로 -

  • KIM, Mihye (Dept. of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 김미혜 (한서대학교대학원 문화재학과)
  • Received : 2021.09.25
  • Accepted : 2021.11.03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bout a brand development strategy that utilize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global culturenomics phenomenon confirms the value of the cultural aspects of design when a national brand is established. People succeed with their unique aesthetic sense and reinterpret it in a modern view, and this design acts as today's national brands. In this way, people used traditional patterns and original designs, along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style, in developing their designs. However,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modern people live in an "untact" world, and consumption culture shifted toward online marketing. In this environment, where one is isolated from social activities, there needs to be a strong image that can dramatically change the mood of one's home.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Dan-Chung pattern, whose painting depends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to protect the wooden members of the framework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pattern and color of Dan-Chung, coated in traditional architecture, differs by the type of construction used, which includes a palace, a Buddhist temple, and a Confucianism Dan Chung. The Geummoon pattern contains aesthetic factors to add solemnity to the Main Buddhist Halls, which contain Buddha. This is a new medium that continues the current traditions instead of remaining in the past. Among different Dan Chung patterns, Geummoon has magnificent decoration consisting of the highest grade materials and unique composition; therefore, it is suitable to be reinterpreted in modern terms. The same pattern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with different colors, so there is a great aesthetic impression in the Geummoon pattern. The value of preservation for exploration and theoretical study of the traditional pattern is important, but recreating the pattern into modern formative art can present a new angle of view and national brand, bearing pride in our cultural assets. The study used multidimensional molding methods for realistic present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two-dimensional design process. The significant value of Korean molding beauty which hangs onto the pas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our national brand.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현상이 국가 브랜드 구축에 있어 중요한 핵심적 가치로 작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구촌 사람들은 저마다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여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산업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존재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지구촌의 환경 변화에 따른 언택트(untact) 시대에 현대인들은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쉽고 빠르게 품질 좋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국의 전통미를 간직한 문화적 소산물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려는 이른바 '문화 브랜딩' 전략을 구축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야만 고립된 경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오랜 전통이 담겨 있는 단청 문양 중 금문(錦紋) 패턴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였다. 즉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의 개발 전략을 제시하려는 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전통 건축의 목 부재를 보호할 목적으로, 그리고 건축의 의장적 성격에 따라 달리 도채(塗彩)되었던 단청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전통 건축에 채색되는 단청 문양은 궁궐, 사찰, 유교 단청에 따라 문양과 색상을 달리한다. 그 중 금단청에 채색되는 금문(錦紋)은 부처님이 계시는 주불전(主佛殿) 공간을 장엄하기 위한 의장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금문은 과거의 존속이 아니라 현재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단청의 일부인 금문은 독창적인 구성 방식과 소재, 그리고 장식적인 기법이 뛰어나기 때문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동일한 문양이라 할지라도 색상에 따라 시각적으로 달리 해석되는 금문에 내포되어 있는 심미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전통 문양은 탐구와 이론적 연구로서의 보전 가치도 중요하지만 이를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창조하여 국가 브랜드화하고, 더 나아가 자국민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면 디자인 과정과 입체적인 조형 방법을 거쳐 전통 문양을 실물처럼 재현하고자 하였다.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한국적 조형미가 국가 브랜드 제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 곽동해, 2003, 「고구려 고분 벽화 장식 문양 소고」, 고구려연구회.
  3.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4. 곽동해, 2019, 「한국 전통 문양의 맥 : 단청 금문 디자인」, 홀리데이북스.
  5. 김선화, 「문화 콘텐츠로서의 전통 문양 활용 방안」, 한국과학예술포럼.
  6. 도연주, 2021, 「궁궐 단청 문양의 재해석을 통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문광희, 「한(韓) 패션 사업의 전개와 글로벌화 전략」, 「동양예술」 제20호.
  8. 송하영.이주현, 2009, 「직물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금문 단청 문양의 자카드 직물 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 양찬효, 2019, 「한국 단청의 금문을 활용한 아트 타일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윤고은, 2013, 「금문(錦紋)의 이미지를 주제로 한 도자 접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상환, 2007, 「단청의 금문을 응용한 도자 벽화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영주, 1998, 「한국 전통 문양 3 : 상징적 동물 문양」, 예원.
  13. 임영주.전한효, 1988, 「문양으로 읽는 우리나라 단청 II」, 태학원.
  14. 장기인.한석성, 2004, 「한국건축대계 III : 단청」, 보성각.
  15. 진숙희, 2017,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패턴 디자인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Hamlin, 1916, 'A History of Ornament : Ancient and Medieval', NY: The Century Co, 1916, quoted by Camacho, J. M. & Laughlin, J., 1985, 'Pattern As a Design Aspect : Visual Perception of Its Properties', America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Vol.13 No.3.
  17. H. T. McJimsey,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