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Study of the Nature of Science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용 과학의 본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Park, Jaehyeon (Seoul Kohsan Elementary School) ;
  • Park, Jaey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재현 (서울고산초등학교) ;
  • 박재용 (서울교육대학교)
  • Received : 2022.08.23
  • Accepted : 2022.11.14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Nature of Science (NOS)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m of open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specifically to reve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NOS, and its validity and effectivenes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a NOS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applying the existing NOS instrument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OS instrument was established. In addition, after selecting seven NOS types suitabl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eliminary instrument was produc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items in the existing instruments for each type or by developing new items. Finally, the NOS instrument consisting of eight questions was developed by adding one question asking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cience to seven questions related to each type of NOS after a content validity test of the science education expert group.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 of the developed instrument,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50 students in two classes of sixth grade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existing instrument → development instrument' in one class, and 'development instrument → existing instrument' in the other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compared and evaluated through summary content analysis and analyzed by execut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students' responses to the existing NOS instrument and the developed NOS instrument,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NOS were more diverse when using the developed instrument, and the level of error in the response caused by misinterpreting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 was reduced. In addition, when using the developed instrument, the responses of the majority of student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hanged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OS instrument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 형식의 초등학생용 NOS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고, 그 타당도와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등학생용 NOS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NOS 검사 도구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검사 도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7가지 NOS 유형을 선정한 후, 유형별로 기존의 검사 도구 문항을 수정·보완하거나 새로운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과학교육 전문가 그룹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NOS의 각 유형과 관련된 7개 문항에 '과학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묻는 1개 문항을 추가하여 총 8개 문항으로 구성된 NOS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의 실질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두 초등학교에서 6학년 2개 학급 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급에서는 '기존 검사 도구→개발 검사 도구', 다른 학급에서는 '개발 검사 도구→기존 검사 도구'의 순서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요약적 내용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고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행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NOS 검사 도구와 개발한 NOS 검사 도구에 대해 학생들이 응답한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할 때 NOS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이 더 다양하게 나타났고, 문항의 의도를 잘못 해석하여 발생했던 응답의 오류가 줄어들었다. 또한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과반 정도 학생들의 응답 내용이 더 구체적으로 변화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NOS 검사 도구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강석진(2012). 학생들의 학교 밖 과학 경험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사이의 관계. 대한화학회지, 56(3), 378-385. https://doi.org/10.5012/JKCS.2012.56.3.378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4. 김동욱, Shigeki KADOYA(2008). 한국초등학교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과학⋅수학교육연구, 31, 43-50.
  5. 김희정, 김성원(2013).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66-28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266
  6. 김선영(2008). 과학의 본성 교수를 위한 과학사의 활용. 생물교육, 36(3), 266-274. https://doi.org/10.15717/BIOEDU.2008.36.3.266
  7. 나지연, 송진웅(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1990-2009). 초등과학교육, 29(3), 292-306.
  8.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9. 박재용, 이기영(2021).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초등과학교육, 40(1), 81-99.
  10. 방미정, 김효남(2010). 초등학생의 인지 수준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77-291.
  11. 서윤경, 전영석(2020).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종합적 과학재능 검사 도구의 개발: 수행형 검사 수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347-358.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3.347
  12. 성기석, 신명경, 김은정(2020).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1(2), 147-154. https://doi.org/10.5467/JKESS.2020.41.2.147
  13. 성민웅, 곽대오, 김영수(2000). 과학의 본성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견해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80-692.
  14.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1998).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27-136.
  15. 심규철, 박종석, 이기영, 손정우, 문홍주, 박재용, 배미정, 소영무, 안성수, 이순영, 전병희, 조향숙(2018). 고등학교 과학 탐구 실험. 비상교육.
  16. 심은지, 최승언, 김찬종(2019).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이해를 위한 과학사 롤플레잉게임(SHRPG) 개발 및 적용: 대륙이동설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45-57.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1.45
  17. 이광호(2005). SPSSWIN을 활용한 기초통계분석. 교우사.
  18. 이영희(2014).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77-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77
  19. 이영희, 손연아, 김가람(2014).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4가지 영역의 과학적 소양을 기준으로. 초등과학교육, 33(2), 207-216.
  20. 이영희(2017). 과학의 본성. 교육과학사.
  21. 이은아(2001). Development of a pool for test-items to assess students' progress in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based on AAAS'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항로(2011). 과학 영재의 과학 본성과 탐구 관점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511-530. https://doi.org/10.9722/JGTE.2011.21.2.511
  23. 장명덕(2014).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4. 장병기(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하기. 초등과학교육, 23(2), 159-171.
  25.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 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95
  26.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21-239.
  27.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한국과학창의재단.
  28. 홍훈기, 박은이(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2.249
  29. 홍훈기, 박은이(2011).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91-405. https://doi.org/10.9722/JGTE.2011.21.2.391
  30.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7.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7)82:4<417::AID-SCE1>3.0.CO;2-E
  31.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12)37:10<1057::AID-TEA3>3.0.CO;2-C
  32. Aikenhead, G., Ryan, A. G., & Fleming, R. W. (1987). High-school graduate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Methods and issues in monitoring student views. Science Education, 71(2), 145-161. https://doi.org/10.1002/sce.3730710203
  3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34.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Oxford University Press.
  35. An, Y. L., Shin, H. S., & Kim, H. J. (2012). Development of views on science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experienced scientific knowledge, atom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3), 428-445.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3.428
  36. Chen, S. (2006).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0(5), 803-819. https://doi.org/10.1002/sce.20147
  37. Chen, S., Chang, W. H., Lieu, S. C., Kao, H. L., Huang, M. T. & Lin, S. F. (2013). Development of an empirically base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young students' ideas about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4), 408-430. https://doi.org/10.1002/tea.21079
  38.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04). Quizzing students on the myths of science. Science Teacher, 71(9), 58-61.
  39.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15).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Developing fundamental knowledge and skills. Pearson.
  40. Kang, S. J., Scharmann, L. C., & Noh, T. H. (2004). Examining students' views on the NOS results from Korean 6th, 8th, and 10th graders. Science Education, 89(2), 314-334. https://doi.org/10.1002/sce.20053
  41. Lederman, J. S., & Khishfe, R.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Form D. Unpublished paper.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42. Lederman, J. S., & Ko, E. K. (2004). Views of nature of science, Form E. Unpublished paper.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43. Lederman, N. G., & O'Malley, M. (1990). Students' perceptions of tentativeness in science: Development, use, and sources of change. Science Education, 74(2), 225-239. https://doi.org/10.1002/sce.3730740207
  44.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45.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1998). Assessing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 historical perspective.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331-350). Kluwer Academic.
  46.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47.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In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831-880). Lawrence Erlbaum.
  48. McComas, W. F. (1998).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Dispelling the myths.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53-70). Kluwer Academic.
  49. McComas, W. F., Clough, M. P ., & & Almazroa, H. (1998). A review of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3-39). Kluwer Academic.
  50.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5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52.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20). NSTA position statement: The nature of science. https://www.nsta.org/nstas-official-positions/nature-science
  53. Rezba, R. J., Sprague, C. R., McDonnough, J. T., & Matkins, J. J. (2007).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54. Rosenthal, R., & Fode, K. L. (1963). The effect of experimenter bias on the performance of the albino rat. Behavioral Science, 8(3), 183-189. https://doi.org/10.1002/bs.3830080302
  55. Solomon, J., Scott, L., & Duveen, J. (1996). Large-scale explora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493-508.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9)80:5<493::AID-SCE1>3.0.CO;2-6
  56. Tsai, C., & Liu, S. (2005).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towards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3), 1621-1638. https://doi.org/10.1080/09500690500206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