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의 기능

The Function of the Imaginary Companion in the Picturebooks

  • 박현경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봉진영 (거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1.11.29
  • 심사 : 2022.01.03
  • 발행 : 2022.01.28

초록

본 연구는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에서 주인공에게 상상 친구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총 26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주인공과 상상 친구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상상 친구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상 친구는 그림책 속에서 주인공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놀이동반자(77%), 돌봄 조언자(42%), 동행자(42%), 다른 자아(38%), 소망 실현자(23%), 정서 공유자(23%), 정서 조절자(19%)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그림책에서 대부분 2-3개의 기능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연구결과 나타난 7가지 기능을 주인공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수평적 관계, 수직적 관계, 다른 자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에서 묘사되고 있는 상상 친구는 주인공의 소망을 실현시키고, 돌봐주고 정서조절을 하도록 도움을 주는 존재이기도 하지만, 함께 놀고, 마음을 나누는 동등한 관계와 다른 나를 투영하며 함께 하는 좋은 친구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kinds of function imaginary companions do to the characters in a picture book featuring imaginary companions. To this end, a total of 26 picture books featuring imaginary companion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o assess the function of imaginary compan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imaginary compan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aginary companions were found to play the function of playmates (77%), care givers and/or advisers (42%), companions (42%), other egos (38%), those who get wish realized (23%), those who sharing emotion (23%), and emotion controllers (19%). In the picture book, the imaginary companion was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needs of the characters. Mostly two to three (2~3) kinds of functions were performed in the each analyzed picture book,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rends out of 26 picture books, it showe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trends in relationship, which was horizontal, vertical and other egos. The imginary companions depicted in the picture books were not only being who helps realize whishes, take care of main characters, and control their emotions, but also appeared to share hearts, project other ego and be a good friend with an equal level of relationship that plays together always.

키워드

I. 서론

해리포터의 작가 조앤 롤링은 2008년 하버드대 학교 졸업 연설에서 “상상력은 인류가 생각해보지 않은, 존재하지 않는 사물을 생각해내는 독특한 능력이다. 상상력은 모든 발명과 창작의 근원이 되기도 하고 인류가 현실을 바꾸어 살아내게 하는 능력이자 다른 사람의 아픔을 공감하게 하는 능력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상상력이 가지고 있는 창조와 공감의 능력을 강조한 이야기로 상상력이 인간에게 주는 유산을 말해주고 있다. 상상력의 철학자 Bachelard[1]는 ‘상상력은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인간 실존 그 자체’라고 강조하며 상상력이 단지 이미지를 재생하거나 형성하는 능력만이 아니라 이미지들을 변형시키는 능력이며 애초의 이미지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고, 이미지들을 변화시키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과거의 지각적 경험에서 얻어진 이미지의 제약을 비교적 받지 않고 현재의 심상적 경험을 재구성하며 의식의 자유를 실현하고 내일을 꿈꾸게 해주는 것이 바로 상상력의 힘이다[2].

전 생애에 걸쳐 상상력이 가장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는 유아기이다[3]. 유아들은 상상력에 의해 사물을 새롭게 인식하고 새로운 영역들을 발견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련의 놀이 과정으로 관찰되며 유아들의 생활 경험과 사고 과정이 잘 드러나는 상상 놀이를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4]. 유아의 상상 놀이는 유아들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추상적 사고 과정을 통하여 그들을 둘러싼 세계를 재창조해나간다. 유아들은 이러한 상상 놀이를 통해 사회적 역할의 가능성과 친숙하게 되며 자신과 더 넓은 사회 사이의 맥을 잇는 중요한 통찰력을 가지게 된다[5].

이렇듯 상상력이 급속히 발달하는 유아기에 일부 유아들은 단순한 상상 놀이를 넘어 여러 상황에서 개인만이 볼 수 있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상상 친구를 만들어내어 교류하기도 한다. 어른들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유아와 일상의 시간을 같이하며 상호작용하고 놀이하는 상상 친구는 특정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거나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로 나타난다. 상상 친구를 정의하는 범위에 따라 적게는 28%에서 많게는 65%의 유아들이 상상 친구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6-8].

연구자들은 상상 친구가 유아들에게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졌는데 Hoff[9]는 26명의 상상 친구를 가진 아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상상 친구가 위로 및 친구를 대신하는 대상이 되며 동기 부여 및 자기 조절을 돕고 유아의 자아를 증진, 성격의 확장을 돕고 유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Majors와 Baines[10]는 상상 친구를 가진 유아의 어머니와의 인터뷰를 통해 상상 친구가 문제해결과 감정 관리에 도움을 주고 이상적인 탐험을 가능하게 하며, 환타지 놀이 친구의 역할을 제공하고 외로움을 극복하도록 돕는 친구가 되며 행동과 역할을 탐색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Taylor[11]는 재미와 우정, 외로움, 능력의 표현, 삶의 제한 및 한계 보상, 비난 회피, 두려움 극복, 타인과의 의사소통, 트라우마에 대한 대처, 중요하고 흥미로운 사건을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상상 친구가 기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 Gleason[12]은 상상 친구와 놀 때, 아이들은 종종 이후의 사회적, 관계적, 감정적 기능에 유용할 수 있는 기술을 연습하며 이러한 상상으로 만들어진 사회적인 맥락은 아이들이 실제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을 실험하거나 연습할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상상 친구와의 놀이는 모든 종류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위험 없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상상 친구는 유아들이 그들의 실제 관계를 관리하고 성공적인 사회적 적응을 위해 필요한 협상과 협력과 같은 과정에 관여하도록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상상 친구에 관한 연구가 아쉽게도 국내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아의 상상 친구 특성과 상상 친구 유무에 따른 또래 수용도, 여가활동 및 기질, 문제행동 분석에 대한 연구, 상상 친구와 창의성 간의 관계, 청소년기 상상 친구, 상상 친구 관련 그림책 분석 연구 등 극히 소수만 이루어졌을 뿐이다[13-18].

상상 친구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상상 친구를 소재로 한 그림책은 2000년도 이후로 꾸준히 출간되어 오고 있다[18]. 그림책은 유아들의 일상의 삶이 담겨 있으며 그 안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 및 활동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문학은 영유아의 일상의 삶을 서사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이 있다.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은 유아들이 상상 친구와 맺는 관계들을 더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유아의 일상을 같이 묘사할 수 있어 영유아들이 가지는 상상 친구와의 경험을 짧은 시간에 매우 다채롭게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렇듯 유아의 삶과 밀접히 맞닿아 있는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가 어떻게 묘사되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 분석을 통해 주인공과 상상 친구의 관계 속에서 그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상상 친구를 직접 경험하지 못한 성인들과 교사가 유아의 상상 친구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가지도록 도울 것이다. 또한, 상상 친구를 현재 경험하고 있는 유아들에게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지지를, 해당 유아의 부모들에게는 간접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이해 및 공감을 통해 상상 친구를 가진 유아를 더욱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상상 친구를 가진 등장 인물에게 상상 친구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그림책

본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그림책은 1995년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그림책 중 ‘상상 친구’를 주제로 한 그림책 26권이다.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 친구의 외적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18]의 그림책을 분석대상으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림책의 상상 친구는 등장인물과 지속적인 놀이를 하거나 이야기를 하며 현실감을 주는 상상의 동반자이거나, 단 회 등장한다고 해도 다른 존재(가족, 친구)와의 상호연관성이 있는 캐릭터로 등장하는 책들을 선정하였다. 상상 친구를 주제로 하고 있으나 화자가 상상 친구인 경우(『비클의 모험』 등), 상상 친구와의 놀이를 예상하는 경우(『삐빠는 언제 올까』)는 상상 친구의 기능이 상상 친구를 가진 등장인물의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최종 선정된 분석대상 그림책은 [표 1]과 같다.

표 1. 분석대상 그림책

CCTHCV_2022_v22n1_380_t0001.png 이미지

2. 자료 분석

그림책에서 나타난 상상 친구의 기능은 해석학적 분석에 기초한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석학적 분석이란 책을 전체적으로 읽은 후 세밀한 부분까지 읽고, 다시 책 전체를 읽는 순환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같은 책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 책의 의미를 점점 더 깊이 이해하는 분석이다[19].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비 수량적 내용을 수량적 자료로 변형시키는 내용분석법[20]을 적용하였다. 그림책의 글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에 나타난 비 수량적 내용을 해석학적 분석과정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유목화된 범주는 아동문학을 전공한 전문가 1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량적 자료로 전환한 내용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2.1 분석 유목

상상 친구의 기능에 대한 유목은 선행연구[9-11]를 참고하여 연구자 2인이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그림책에서 나타난 상상 친구의 기능별 요소를 추출하고 글과 그림의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연구자별 도출된 기능별 요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토의를 통해 [표 2]와 같이 통합하여 공통된 유목을 도출하였다.

표 2. 분석범주 및 내용

CCTHCV_2022_v22n1_380_t0002.png 이미지

통합된 유목을 반복 검토하며 연구자 간 협의를 통해 조정하고 범주를 최종확정하였다. 놀이 친구는 상상 친구의 기타 다른 기능도 친구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 친구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놀이동반자로 정정하였으며 돌봄자는 세부 분석 내용이 유목에 드러날 수 있도록 돌봄 조언자로 최종확정하였다. 상상 친구를 위로하거나 위로받으며 정서를 조절하는 항목이 드러나도록 위로자는 정서 조절자로, 자아 이상과 다른 자아는 내면의 또 다른 자아의 중복개념으로 보아 다른 자아로 통합하였다. 최종 결정된 범주와 범주별 내용 정의는 [표 3]과 같다.

표 3. 분석범주 및 내용

CCTHCV_2022_v22n1_380_t0003.png 이미지

2.2 분석절차

분석대상 그림책 26권에 대하여 연구자 2인이 각각 분석하여 범주에 따라 표기하고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분석한 책에 대해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상호일치도는 0.88이었다. 불일치한 내용 요소에 대해 그림책을 함께 보며 항목별 글과 그림에서 상상 친구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 범주별로 상세히 기술한 내용을 확인하고 연구자 간 토의를 통해 범주를 조정하고 분석범주별 의미를 명확히 하여 재정의하였다. 각 연구자가 전체 그림책을 분석할 때.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 친구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고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분석 시 시간 간격을 두고 26권을 2회 추가 반복 분석하여 재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였다. 연구자 간 상호일치도는 0.99였다.

Ⅲ. 연구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 친구의 기능은 총 26권의 분석대상 그림책에서 놀이동반자 20권(77%), 돌봄 조언자 11권(42%), 동행자 11권(42%), 다른 자아 10권(38%), 소망 실현자 6권(23%), 정서 공유자 6권(23%), 정서 조절자 5권(19%)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그림책에서 대부분 2∼3개의 기능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적게는 1개(2 권), 많게는 4개(6권), 5개(1권, 『알도』)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등장하였다. 분석된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의 7 가지 기능은 주인공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수평적, 수직적, 또는 다른 자아의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각 기능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놀이동반자

놀이의 동반자로서 상상 친구가 묘사되고 있는 책은 20권(77%)이다[표 3]. ‘어떤 놀이든 같이해요’, ‘낮에도 같이 놀고요’, ‘함께 놀아줘요’와 같이 명시적으로 놀이 친구임을 드러내는 경우와 구체적인 놀이상황을 보여주는 형태로 묘사되고 있다. 상상 친구는 소꿉놀이, 노래 부르기, 물놀이, 숨바꼭질, 줄넘기, 낚시하기,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축구, 인형 놀이, 기사놀이, 뱃놀이, 스케이트 타기, 그네 타기 등 다양한 놀이에서 함께 놀이의 동반자로 등장하고 있다.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은 생활공간이 16권이고 생활공간과 상상 공간이동 시에 나타나는 책은 4권(『내 친구 라이티』, 『마들렌카의 개』『알도』, 『엘자의 달고양이』)이다. 상상 친구를 놀이동반자로 둔 인물은 남성이 6명, 여성이 15명이었다.

2. 동행자

늘 언제나 함께 하는 동행자로서의 상상친구는 11권 (42%)에서 나타나고 있다[표 4]. ‘언제나 같이 다녔어. 달나라에 갈 때도 놀이터에 갈 때도 주말에 할머니 댁으로 놀러 갈 때도 우리는 같이 갔지. 나랑 같이 밥도 먹고 함께 책도 읽고 사이좋게 탑 쌓기 놀이도 하거든’ 과 같이 일상을 함께 하며 언제나 어디서나 함께 하는 동행자로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표 4. 놀이동반자로서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

CCTHCV_2022_v22n1_380_t0004.png 이미지

동행의 유익을 드러내는 경우는 추운 날에도 춥지 않고, 캄캄한 밤에 화장실에 가는 것도 무섭지 않다는 경우(『내 친구 주머니 해님』), 어려운 일이 있을 때 함께하기에(『알도』), 혼자 할 수 없는 일을 함께하기에 할 수 있어서(『잘 가, 나의 비밀 친구』)와 같이 3권에 불과했다. 구체적인 이유를 드러내지 않는 경우는 그저 동행하기만 해도 좋은 존재로서의 상상 친구를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동행자인 상상 친구의 크기가 큰 경우는 4권, 주인공과 비슷한 크기는 3권, 작은 경우는 3권으로 다양했다. 동행자인 상상 친구를 둔 인물은 남성이 3명, 여성이 7 명이었다. 남성의 경우 1명은 자기와 유사한 상상 친구였지만 두 명은 사자, 코끼리와 같이 큰 동물이었다. 동반자인 상상 친구는 동물이 6권, 사람이 3권이었으며 보 푸리, 해님과 같은 물성 존재가 2권이었다.

표 5. 동행자로서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

CCTHCV_2022_v22n1_380_t0005.png 이미지

3. 정서 공유자

상상 친구와 상상 친구를 가진 인물이 서로의 정서를 공유하는 경우는 6권(23%)이다. ‘어쩌다 화를 낼 때면제시카도 같이 심술을 부리고 내가 울고 싶을 때면 제시카도 함께 슬퍼했어. 기분 좋을 때 함께 기뻐했지.’와같이 주인공의 정서를 상상 친구가 함께 공유하며 함께 표출하는 형태(『난 학교 가기 싫어』, 『내 비밀 친구 토미』, 『내 친구 제시카』, 『진짜야 내가 안 그랬어』), 말하지 않아도 마음을 알아서 대변해주는 경우(『잘 가 나의 비밀 친구』), 비밀이야기를 하고 내 이야기를 하나도 놓치지 않고 들어주며 정서를 공유하는 경우(『나의 프리다』)이다. 정서가 공유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책은 한 권이며 대부분 상상 친구는 주인공의 정서 상태를 알고, 동일하게 느끼고 있는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정서 공유자의 상상 친구는 사람이거나 동물이어도 주인공과의 차별점을 두기 위한 차이일 뿐 거의 비슷하게 묘사되고 있으며, 주인공의 ‘다른 자아’의 모습을 가진 상상 친구로 나타났다.

4. 돌봄 조언자

주인공을 돌봐주는 행동을 하거나 지침이 되는 조언을 해주는 존재로서의 상상 친구는 11권(42%)에서 나타나고 있다. 글 텍스트로 ‘언제나 나를 돌봐줘요’, ‘보살펴줘요’, ‘늘 돌보아줘’라며 돌보는 대상인을 직접 서술하는 경우와 밤에 책을 읽어주기(『알도』), 오줌을 싼 이불을 말려주기(『내 친구 주머니 해님』), 약을 먹여 주기(『한밤중 개미 요정』)와 같은 일상적인 돌봄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일상적이지는 않지만 꿈에서 괴물을 쫓아주기(『내 친구 라이티』), 늘 함께 머물겠다고 약속하기 (『눈구름 사자』)와 같이 보호자의 모습을 하기도 한다. 안내 및 조언자의 모습으로는 물속이 무서운 주인공에게 노래로 수영을 할 수 있도록 돕기(『내 친구 월터』), 오빠의 장난감을 망가트린 주인공에게 ‘미안하다고 사과하면 괜찮을 거야’라는 조언을 하기(『진짜야 내가 안 그랬어』) 친구들과의 놀이가 ‘재미있을 거야’라고 말해 주기(『눈구름 사자』)와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돌봄과 조언을 받는 주인공의 성비를 보면 남성 4명, 여성 7명이다. 돌봄의 모습 중 수면 중 괴물을 쫓아주는 행동으로 보살핌을 받는 인물은 모두 남성이었다. 상상 친구를 가진 여성의 경우 상상 친구와 대화하며 마음을 이야기하며 돌봄과 조언을 받고 있었다.

돌봄 조언자인 상상 친구의 크기를 보면 주인공보다 몸집이 큰 경우는 6권, 비슷한 크기 3권, 작은 경우는 2권이다. 몸집이 큰 경우는 북극곰, 사자, 바다코끼리, 코끼리, 유니콘과 같은 동물 상상 친구였고, 비슷한 크기는 사람이거나 주인공과 비슷한 크기의 토끼였다. 몸집이 오히려 작은 경우는 주머니 해님과 개미 요정이다. 크기가 작게 묘사되고 있어도 모두를 비추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해이거나 다수의 개미 요정들이 등장하여 아픈 주인공에게 약을 먹이고 간호하며 돌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상 친구가 주인공을 돌보기도 하지만 주인공이 상상 친구를 돌보는 상호돌봄의 모습도 나타난다. 『나를 찾아온 북극곰』에서 북극곰에게 속삭이며 안심시키거나 따뜻하게 해주기, 『황금공주』에서 ‘떠돌이 마법사한테서 널 구해줄게’라고 말하는 모습이다.

5. 소망 실현자

주인공이 소망하고 바라는 일들을 이루어주는 소 망실 현자로서의 상상 친구는 6권(23%)에서 나타난다. 개를 키우고 싶은 주인공에서 개로 나타나는 상상 친구 (『강아지 친구가 생겼어요』, 『니노의 강아지』, 『마들렌카의 개』, 친구가 없는 나에게 친구로 와준 상상 친구(『나의 프리다』), 파티에 가고 싶지만 아파서 못 가는 주인공에게 동물들의 파티에 데려다주는 상상 친구(『내 방의 비밀 친구』), 괴롭힘을 당할 때 괴롭히는 아이들을 달아나게 하고 근사한 곳에 주인공을 데려다주고 힘든 일이 생기면 찾아오는 상상 친구(『알도』)이다.

소망의 내용은 일회성(『내 방의 비밀 친구』)이거나 일상적인 바람(『강아지 친구가 생겼어요』, 『마들렌카의개』)인 경우와 특별한 필요를 가진 주인공의 소망(『니노의 강아지』, 『나의 프리다』, 『알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강아지를 갖고 싶다는 소망의 내용은 같아도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은 마음으로 원하는 경우와 관계적 결핍 안에서 관계와 소통의 매개체로서 강아지를 갖고 싶은 경우가 각각 나타나고 있다. 소망 실현 자로 서의 상상 친구는 6권 중 5권이 동물 상상 친구이고 유일한 사람은 실제 인물의 이야기를 담은 『나의 프리다』 1권이었다. 소망을 이루어주는 상상 친구라고 해서 상상 친구가 신적인 존재로 등장하지는 않았다. 하늘을 날고 동물들의 파티 장소를 아는 커다란 존재인 용으로 나오는 경우(『내 방의 비밀 친구』)와 근사한 곳을 안내하며 괴롭히는 친구를 내쫓아 주는 토끼(『알도』)가 특별한 경우이고 이 외에는 평범한 사람이며 강아지의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6. 정서 조절자

상상 친구와 함께하며 부정적인 정서가 바뀌거나, 속상하거나 힘든 일에 위로받으며 정서가 조절되는 정서 조절자인 모습이 나타나는 책은 5권(19%)이다. 정서 조절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형태는 위로였다. 눈물을 흘리는 주인공의 눈물을 닦아주기(『니노의 강아지), 울고 있는 주인공에게 어깨동무하며 감싸주기(『알도』), 부모님께 혼날 때 안아주기(『엘자의 달고양이』)와 같이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위로를 받았다. 엄마를 기다리며 눈물 흘릴 때 찾아오고, 찰흙이 잘 안 만들어져 속상할 때나 친구들이 놀려 혼자 있을 때 나타나 그저 옆에 있기만 해도 마음이 좋아지는 경우(『해님 유치원의 비밀 친구』)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지만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위로를 받는 경우(『코끼리가 있어요』)가 있었다.

그림 1. 『코끼리가 있어요』에서 존재하는 것만으로 정서조절이 되는 경우

정서 조절자로서의 상상 친구는 모두 동물이며, 주인공보다 크거나 작은 다양한 경우로 등장하고 있다. 정서 조절자로서의 상상 친구를 가진 인물들은 남성 4명, 여성 4명이다.

7. 다른 자아

나의 다른 모습이거나, 자아 이상적 모습, 타자화된 자아를 희생양 삼아 핑계를 대며 자신의 유능감을 드러내는 다른 자아의 모습은 10권(38%)에서 나타나고 있다. 나의 다른 모습의 다른 자아는 공통점이 많고, 똑같은 행동을 하는 상상 친구의 모습이다(『나의 프리다』, 『나의 비밀 친구 토미』, 『장난꾸러기 그림자』). 『나의 비밀 친구 토미』에서 ‘막스와 토미는 공통점이 참 많아. 둘 다 부끄럼을 잘 타, 옷도 똑같이 입고, 키도 똑같아, 하는 행동도 똑같아. 느끼는 것도 똑같아.’라고 표현되고 있다.

자아 이상적 모습은 장애로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프리다 대신 발레리나처럼 춤을 춘다거나(『나의 프리다』), 자신과 달리 말도 잘하고, 투명인간이 될 수도 있고, 어둠 속에서 볼 수 있으며 멀고 먼 나라의 말도 하고, 작은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존재(『잘 가, 나의 비밀 친구』), 만들기도 잘하며 삶의 모델링 되어주는 오빠와 같은 존재(『진짜야 내가 안 그랬어』)로 나타나고 있다. 자신이 되고 싶거나 갖고 싶은 능력이 있는 존재로 형상화되고 있다.

핑계의 전이 대상인 다른 자아는 타자화된 자아를 희생양 삼아 상상 친구가 잘못한 일이지 자신은 하지 않았다는 경우(『내 친구 제시카』, 『니노의 강아지』, 『엘 자의 달고양이』, 『오스카만 야단맞아』, 『장난꾸러기 그림자』, 『진짜야 내가 안 그랬어』)와 드러난 어려움은 상상 친구이지 자신은 그렇지 않았다며 자신의 유능감을 드러내는 경우(『난 학교 가기 싫어』, 『내 친구 제시카』)였다.

다른 자아의 상상 친구는 2권(『니노의 강아지』, 『엘 자의 달고양이』)을 제외하면 주인공과 거의 흡사한 외모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비슷한 옷과 체격의 토끼(『내 비밀 친구 토미』), 두건과 망토를 두른 존재(『잘 가, 나의 비밀 친구』), 복장이 다른 경우(『나의 프리다』, 『오스카만 야단맞아』), 그림자인 경우(『장난꾸러기 그림자』)로 주인공과 구별되는 존재이지만 유사한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다른 자아의 상상 친구를 가진 인물은 남성 4명, 여성 6명으로 다른 자아나, 자아 이상적 존재나, 핑계를 대는 모든 부분에서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상상 친구가 나타난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가 주인공에게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상 친구가 나타난 총 26권의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와 주인공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상상 친구는 주인공에게 놀이동반자 (77%), 돌봄 조언자(42%), 동행자(42%), 다른 자아 (38%), 소망 실현자(23%), 정서 공유자(23%), 정서 조절자(19%)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 친구와의 관계는 상상 친구를 만들어내는 유아들에게 특정한 중요성 및 목적을 가질 수 있으며 자신의 심리적 목적을 위해 상상 친구를 조정하면서 관계의 형태와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12][21]. 분석된 그림책에서도 상상 친구가 주인공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중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낸 것이 놀이동반자로, 놀이는 유아의 삶이며 모든 영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놀이는 종종 사회적이어서 관계 파트너가 필요한데 상상 친구는 실제 친구와의 유사성을 포함하여 실제 친구의 자리를 대신하기도 하고 유아의 무한한 상상 속에서 타인의 욕구나 상황에 맞추지 않고도 ‘어떤 놀이든지’ ‘신나게’‘맘껏’‘날마다 새로운 모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존재가 되어 유아에게 매우 매력적인 관계 파트너가 되고 있었다.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와의 놀이 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는데 공상적이기보다 매우 일상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놀이를 통한 즐거움으로 인해 상상 친구를 만든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11].

놀이동반자로서의 상상 친구 다음으로 많이 등장하는 역할은 돌봄 조언자(42%)와 동행자(42%)였다. 유아기는 발달적 특성상 성인이나 능력이 있는 사람의 돌봄과 조언이 필요하고 그러한 대상으로 상상 친구가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행자로서의 상상 친구는 유아들과 항상 함께 하는 존재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 파트너에 대한 욕구가 유아들이 상상 친구를 만드는 동기가 된다고 한 견해[6][22][23]와 맞닿아 있다.

상상 친구가 정서와 관련된 요소는 정서 공유자(6권) 와 정서 조절자(5권)로 전체 26권 중 11권(42%)에 나타나고 있다. 정서 공유가 수평적 관계를 보여주고, 정서 조절자가 도움을 받는 수직적 관계를 보여주지만, 주인공에게 정서적 지지자로서 정서적 이해, 마음과 공감의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자아는 자신을 타자화한 형태로 10권(38%)에서 나타나고 있다. 다른 자아의 상상 친구는 가상의 관계라는 특수성 안에서 발생하는 기능이다. 그렇기에 이상적인 모습이나 지킬박사와 하이드와 같이 내 안의 다양한 모습을 투영시키기도 하고, 잘못에 대한 핑계를 대는 대상으로 삼거나, 상상 친구에게 불안한 감정을 전이하고 그런 상상 친구를 달래며 자신의 마음을 다독이는 형태 등 다양한 모습으로 그림책에서 표현되고 있었다.

상상 친구는 유아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과 무한한 유연성을 포함하며 언제든 유아의 필요에 맞춰질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유아에게 실제 친구보다 더 좋을 수 있다. 상상 친구의 이러한 역할은 상상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유아들이 안전한 방식으로 행동 양식을 탐색하고 적용해보도록 하여 유아들이 대인관계 기술의 습득과 감정조절 등 사회적 역량의 계발을 촉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12]. 실제 영유아들에게서 적게는 28% 많게는 65%의 상상 친구가 보고되는 바 [6-8] 교육현장의 교사들과 부모들은 상상 친구의 여러 긍정적 기능을 인식하고 유아들이 경험하는 일상의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유아들이 실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림책을 매개로 유아들과 긍정적으로 소통함으로써 유아들의 경험하는 상상 친구와 실제 기능을 파악하여 유아의 발달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조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상상 친구의 7가지 기능은 주인공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수평적, 수직적, 다른 자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분석 그림책에서 우정 관계와 유사한 평등한 수평적 관계 [12][24]는 놀이동반자, 동행자, 정서 공유자로서, 분석대상 그림책 26권의 책 중 25권(96%)에서 묘사되고 있었다. 거의 모든 그림책에서 주인공과 동등한 관계의 상상 친구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내 친구 제시카』 가 수평적 관계의 상상 친구의 복합적인 모든 모습을 담아내고 있었다. 함께 놀이하고 주인공의 모든 일상을 공유하며 함께 하는 동행자는 실제로 상상 친구가 유아의 일상의 한 부분이 되며[13][25] 주인공의 정서를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상상 친구의 역할은 우정을 대신하는 관계 파트너로서 외로움을 채워주고 관계에서의 관심, 사랑, 우정에 대한 충족감을 준다. 이는 유아들에게 가장 친한 친구로부터 얻는 유사한 사회적 지원과 관계 혜택을 제공한다[24][26].

수직적 관계에서 상상 친구는 주인공보다 유능하고 능력 있는 모습으로 주인공을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일상적인 바람이나 긴급한 필요에 의한 소망을 성취해주는 소망 실현자로, 괴물을 쫓거나 책을 읽어주고 어려울 때 조언을 주는 돌봄 조언자로, 속상하고 힘들 때 위로해주는 정서 조절자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26권 중 18권(67%)에서 나타나고 있다. 『알도』에서 세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상상 친구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상상 친구가 어느 정도 성인 적 특성(힘, 지식, 권위)을 가지고 부모나 더 유능한 파트너의 역할을 하는 계층적 관계를 제공한다는 연구결과[12][27] 와 맥락을 같이한다. 주인공을 돌봐주고 지켜주며 일상의 사건들에 대해 조언해주는 상상 친구의 기능은 때로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하고 멘토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상 친구는 언제 어디서나 주인공을 지켜주는 든든한 존재로서, 힘들 때 주인공을 보살펴주고 문제 상황에서 조언과 위로를 해주어 보다 안정감 있게 주어진 상황을 마주하도록 돕고 있었다. 이는 아동이 두려움을 다루는 능동적인 방법으로 상상 친구를 발현하며 갈등과 불안을 다스리고 불안정한 충동과 두려움을 더 잘 통제할 수 있게 한다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27][28]. 또한, 이러한 기능들은 상상 친구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정서를 조절하며 위기상황과 사건에 대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29].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것은 유아들이 보다 활발한 상상을 하도록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활발한 상상을 통해 유아들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내는 대상과의 경험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며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고 조절하고 위로받는 기회를 가져다줌으로써 유아들의 내적 성장을 이루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관계는 상상 친구는 대상적 관계가 아닌 상상의 관계로 나타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형태로 다른 자아는 동경이 되는 또는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인 모습을 투영하거나, 내 안의 다양한 자기를 타자화하거나, 자신의 잘못을 핑계 대는 희생양의 존재로 삼거나 타 자화한 자신의 열등한 모습을 달래며 유능감을 드러내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아 이상적 자아는 유아의 부족한 속성들을 상상 친구에게 부여함으로써 상상 친구와의 관계 안에서 대리참여 할 수 있게 하였다[27]. 또한, 주인공 내면의 감정을 투사하고 핑계 댈 수 있는 핑계의 전이 대상은 유아의 내면의 양면성을 안전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수용되지 못하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가 되어주고 있었다. 특히 자신의 잘못이나 자신의 감정을 상상 친구에게 투사하여 이야기하는 모습은 종종 어른들에게 거짓말로 오인될 수 있는데 아직 발달이 채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들이 자신의 충동을 억제하며 규칙을 배워가는 과정에서 규칙과 충동 사이에서의 내면의 갈등을 느끼며 상상 친구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수용되지 않는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영유아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부모와 교사들은 이러한 현상이 유아 내면의 성장을 통해 양심이 발달하며 서서히 규칙이 내면화되는 과정 속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하여 보다 균형 있는 시각을 통해 유아들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상상 친구가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서 기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의식적 방어기제 및 의식적인 대처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7][27][30][31]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상상 친구가 나타난 그림책에서 상상 친구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주인공과 상상 친구의 관계 안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상 친구 연구가 극히 일부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상상 친구의 이해를 돕는 자료들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유아들이 경험하는 상상 친구를 유아의 관점으로 담아낸 그림책 분석을 통해 상상 친구가 영유아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알아보고자 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제 상상 친구를 가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유아들이 접하는 그림책에서 나타난 상상 친구의 기능을 제한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실제 상상 친구들을 가진 유아들의 상상 친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상상 친구를 가진 영유아를 대상으로 상상 친구의 기능을 알아보는 국내 연구가 후속 연구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앞으로도 상상 친구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 및 관련 그림책 출판을 통해 부모, 교사, 그리고 유아를 지도하는 많은 이들이 상상 친구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많아지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1. G. Bachelard, 공기와 꿈 [L'air et les songesm essai sur l'imagination du mouvement], (정영란역), 이학사, 2000.
  2. 허승희, 박동섭, 강승희, 아동의 상상력 발달, 서울: 학지사, 1999.
  3. F. Smolucha, "A reconstruction of Vygotsky's theor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5, No.1, pp.49-67, 1992. https://doi.org/10.1080/10400419209534422
  4. K. H. Rubin, G. G. Fein, and B. Vandenberg, "Play," In E. M. Hetherington(Ed.),& P. H. Mussen(Series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4th ed., 639-774), New York, NY: Wiley, 1983.
  5. 조화연,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 M. Manosevitz, N. M. Prentice, and F. Wilson, "Individual and family correlates of imaginary companion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8, pp.72-79, 1973.
  7. D. G. Singer and J. L. Singer, The house of make-believe: Children's play and the developing imagin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8. M. Taylor, L. Gerow, and C. Charlie, "A longitudinal follow-up of children with imaginary companions," Unpublished data, 1998.
  9. E. V. Hoff, "Imaginary companions, creativity and self-image in middle childhood,"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17, No.23, pp.167-180, 2005.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702&3_4
  10. K. Majors and E. Baines, "Children's play with their imaginary companions: Par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ary companions and purposes served," Education & Child Psychology, Vol.34, No.3, pp.37-56, 2017. https://doi.org/10.53841/bpsecp.2017.34.3.37
  11. M. Taylor, Imaginary companion and the children who create them,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2. T. R. Gleason, "The 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play with imaginary companions in early childhood," Learning & Behavior, Vol.45, No.4, pp.432-440, 2017. https://doi.org/10.3758/s13420-017-0284-z
  13. 이은경, 유아의 상상친구 특성과 상상친구 유무에 따른 또래수용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이형경, 유아의 상상성향(상상친구, 상상놀이)와 상상친구 유무에 따른 여가활동, 기질 및 문제행동 분석,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엄지홍, "유아의 상상친구와 창의성 간의 관계,"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한혜연, 청소년기 상상의 친구 : 특징 및 기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원서연, 최연철,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 연구 : 그림책 「알도」와 「내 친구 제시카」를 중심으로," 예술 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10호, pp.207-216, 2016.
  18. 박현경, 봉진영,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의 외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265-276,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265
  19. M. Nikolajeva and C. Scott, How Picturebooks Work, Psychology Press, 2001.
  20. 이은해, 아동연구방법, 교문사, 1990.
  21. T. Gleason and R. White, "Talking to a tiger: children's day to day interactions with their imaginary companions,"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Atlanta, GA, 2005.
  22. L. B. Ames and J. Learned, "Imaginary companions and related phenomena,"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69, pp.147-167, 1946.
  23. T. R. Gleason, A. N. Sebanc, and W. W. Hartup, "Imaginary companions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6, No.4, pp.419-428, 2000. https://doi.org/10.1037//0012-1649.36.4.419
  24. T. R. Gleason, "Social provision of real and imaginary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8, No.6, pp.979-992, 2002. https://doi.org/10.1037//0012-1649.38.6.979
  25. J. A. Mauro, The friend that only i can see: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children's imaginary companion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en, 1991.
  26. T. R. Gleason and L. M. Hohmann, "Concepts of real and imaginary friendships in early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Vol.15, No.1, pp.128-144, 2006.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6.00333.x
  27. H. Nagera, "The imaginary companion : Its significance for ego development and conflict resolution,"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Vol.24, pp.165-196, 1969. https://doi.org/10.1080/00797308.1969.11822691
  28. S. Fraiber, The maginc years: understanding and handling the problems of early childhoo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9.
  29. D. Lydon, "Imaginary companion: are they good for children?," Student Psychology Journal, Vol.2, pp.69-78, 2011.
  30. W. A. Myers, "Imaginary companions in childhood and adult creativity," Psychoanalytic Quarterly, Vol.48, pp.292-307, 1979. https://doi.org/10.1080/21674086.1979.11926878
  31. L. Bender and B. F. Vogel, "Imaginary companions of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11, No.1, pp.56-65, 1941. https://doi.org/10.1111/j.1939-0025.1941.tb0577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