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Study on the Operation and Current Status of Non-public Records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Archives : Focused on the Seoul Archives and Gyeongnam Archives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민간기록관리 운영과 현황에 관한 연구 서울기록원과 경남기록원을 중심으로

  • 김지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21.12.30
  • Accepted : 2022.01.22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e discussion on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started in the early 2000s and has been steady. In the law,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first appeared in 1999, and in 2007, the establishment of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by local governments became compulsory.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 however, were actually founded in the Gyeongnam Province, 2018, and in the Seoul City, 2019, over 10 years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And as of 2021, various local governments, including Gyeonggi-do, are conducting research to establish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This is the time when domestic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re introduced in earnest.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regional archives will operate in practice, particularly how they will accommodate the management of private archives, which has long been regarded as the mission of regional archives. In this thesis, the past discussions on the local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will be reviewed focusing on private record management. In this regard,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records management of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in operation, and to seek directions for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based on this.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논의는 2000년대 초기부터 시작되었다. 법률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1999년에 처음 등장하였고, 2007년 지자체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실질적인 설치는 법 개정으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후인 2018년 경남기록원, 2019년 서울기록원의 설립으로 실현되었다. 그리고 2021년 현재는 경기도를 비롯해 여러 지자체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이지만, 실질적인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운영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고 있지 않다. 특히 오랫동안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사명이라고 여겨지던 민간기록관리는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모호하다. 이에 본 논문은 민간기록관리를 중심으로 이제껏 이루어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논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운영 중인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 등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현황을 통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민간기록관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전북대학교 연구교수 연구비 및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NRF-2019S1A5B8099507).

References

  1. 권순명 (2008).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과.
  2. 김형국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와 관련된 제도적 검토. 영남학, 6, 135-157.
  3.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47.
  4.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5. 손동유 (2011).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155-180. https://doi.org/10.20923/kjas.2011.28.155
  6. 오항녕 (2004). 지방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조직. 대전.충남 기록문화 발전을 위한 포럼, 53-62.
  7. 윤은하 (2021). 민간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9, 35-62.
  8. 윤혜경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조직구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9. 이상민 (2015). 서울기록원의 기록 평가.선별과 서울현대사 기록의 수집. 향토서울, 89, 182-218.
  10. 지수걸 (200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 기록학연구, 3, 3-32. https://doi.org/10.20923/kjas.2001.3.003
  11. 지수걸 (2002). 지방자치와 지방기록관리. 기록학연구, 6, 293-307. https://doi.org/10.20923/kjas.2002.6.293
  12.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https://doi.org/10.20923/kjas.2009.21.247
  13. 홍성덕 (2004). 지방기록보존소와 지방사연구. 영남학, 6, 191-218.
  14. 경상남도기록원 (2019). 2019 「경상남도기록원 건립백서」. 창원: 경상남도기록원.
  15. 경상남도기록원 (2021). 2021 경상남도기록원 기록물관리 시행계획. 창원: 경상남도기록원.
  16. 경상북도 (2019). 경상북도 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구경북연구원.
  17. 경상북도 (2020). 경상북도 기록원 건립 추진을 위한 연구용역. 아카이브웍스.
  18. 광주광역시 (2019). 광주기록원 설립을 위한 연구. 광주전남연구원.
  19. 국가기록원 (2006). 지방기록관리혁신 연구. 대전: 국가기록원.
  20. 국가기록원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원 제1권(GOVP1200825297). 트라이튼테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1. 국가기록원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원 제2권(GOVP1200825296). 트라이튼테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2. 국가기록원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원 제3권(GOVP1200825298). 트라이튼테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3. 대구광역시 (2018). 대구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구경북연구원.
  24. 대구광역시 (2019). 대구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지방행정발전연구원.
  25. 대전광역시 (2017).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방안. 대전세종연구원.
  26. 부산광역시 (2018). 부산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 설정 연구. 부산연구원.
  27. 서울기록원 (2020). 2020년 「서울기록화 사업 완료 보고서」. 서울: 서울기록원.
  28. 서울기록원 (2021). 생활 속 공공아카이브 안착을 위한 2021년 서울기록원 주요 업무 계획. 서울: 서울기록원.
  29. 서울특별시 (2013). 서울기록원 건립 추진을 위한 학술연구용역(51-6110000-000703-01).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30. 울산광역시 (201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및 운영계획 연구. 울산연구원.
  31. 이영남 (2000).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과 운영. 기록보존, 13, 정부기록보존소.
  32. 전라북도 (2020). 전라북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기본계획수립 용역. 한국지식산업연구원.
  33. 전라남도 (2020). 전라남도기록원 설립 방안 연구. 광주전남연구원.
  34. 제주특별자치도 (2020). (가칭) 제주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설정 연구. 제주연구원.
  35. 충청북도 (2019). 충북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 충북연구원.
  36.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21). 2021년 제13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서울: 전국기록인대회 조직위원회.
  37. 국가기록원 (2021). 기록관리이슈페이퍼 vol.30. 대전: 국가기록원.
  38.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시행 2020.06.04.](법률 제16661호, 2019.12.03., 일부개정)
  4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시행 2019. 12. 3.](법률 제16661호, 2019. 12. 3., 일부개정)
  41. 「경상남도 기록원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시행 2017. 7. 20.](경상남도조례 제4327호, 2017. 7. 20., 제정)
  42. 「경상남도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리에 관한 조례」[시행 2020. 2. 6.](경상남도조례 제4725호, 2020. 2. 6., 제정)
  43. 「서울특별시 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시행 2020. 12. 31.](서울특별시조례 제7804호, 2020. 12. 31., 일부개정)
  44. 창원시, 기초자치단체 최초 '기록원' 만든다. (2020. 8. 11). 경남일보, 출처: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2370
  45. '청주기록원 사업소' 신설 등 조직 개편 단행. (2021. 10. 27). 충청투데이, 출처: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1927
  46. 서울기록원 홈페이지, https://archives.seoul.go.kr
  47. 경남기록원 홈페이지, https://archives.gyeongnam.go.kr/main.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