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ocation of Heungbok-jeon formerly known as the Hamil-jae of Changui-gung Palace in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 중건 시 창의궁 함일재의 흥복전 이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2.10.18
  • Accepted : 2022.12.0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explains details on Heungbokjeon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19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in 273 years. Hence, the construction of a palace with more than 7,000 Kan(間) made possible in a short stretch of time. Given the fact that its existing architecture was recycled. The antecedent of Heungbokjeon(興福殿) was the Hamiljae(咸一齋) of Changuiggung(彰義宮) which served as the residence of King Yeongjo before he was enthroned. On the other hand, the Changuigung was the outset of Inpyeongwi-gung(寅平尉宮), which was built for the princesses. During the reign of King Hyojong the princess who got married must depart from the Inpyeongwi-gung. This study corroborated the undertaking of modification of its architecture frombeing asymmetrical house to symmetrical most primarily the inner part of the palace through the innovation of Changui-gung and the restoration of Hamijae to Heungbokjeon. H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Heungbokjeon was the only inner part of the palace that was not burned down by the 2 consecutive fire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to be more specific these fire happend on his 10th and 13th year of rule. Consequently, the research process of Gyeongbokgung Heungbokjeon can escalat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not only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city in the 17th century.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 (history.go.kr)
  2. 「승정원일기」,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3. 「동주집(東州集)」,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4. 「계곡선생집(谿谷集)」, 한국고전종합DB (itkc.or.kr)
  5. 「인평대군 방전도(麟坪大君坊全圖)」, 규장각 원문검색 서비스 (snu.ac.kr)
  6. 『북궐도형』,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snu.ac.kr)
  7. 이윤선 저, 「국역 공사기고 1」, 서울역사편찬원, 2017
  8. 서울역사편찬원, 「국역 경복궁 영건일기 1~2」, 서울역사편찬원, 2019
  9. 엄경수 저, 「국역 부재일기 1」, 서울역사편찬원, 2020
  10.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2015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실 건축도면」, 2013
  12. 김버들.조정식, 「고종대 경복궁 중건 시 영건일기에 나타난 목재 조달 고찰」, 건축역사연구, 29권 6호, 2020.12
  13. 김버들.이종서, 「조선전기 당(堂).실(室) 결합 건축의 가구특성 분석」, 건축역사연구 26권 2호, 2017.4
  14.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4
  15. 국역 「공사견문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6. 남호현, 「조선 궁궐의 주거 공간」, 민속원, 2016
  17. 박희용.이현진, 「영조대 懿昭世孫의 禮葬을 통해 본 창경궁 내외의 동선과 宮家의 공간구조」, 규장각 45권, 2014
  18. 송인호.조은주, 「조선 별궁 於義宮(龍興宮)의 都市 位相과 英祖의 親迎」,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5호, 2011
  19. 송명희.김봉렬, 「운현궁 배치 계획의 모듈체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 2012.11
  20. 신영훈, 「궁궐」, 도서출판 한옥문화, 2005
  21. 안장리, 「영조(英祖) 궁궐 인식의 특징」, 한국학, 29권 3호, 2006
  22. 이순자, 「조선의 숨겨진 왕가이야기」, 평단, 2013
  23. 이종서, 「조선시대 남별궁의 평면구조와 변화」, 건축역사, 제29권 1호, 2020.2
  24. 이종서, 「조선시대 '편전(便殿)'의 의미와 구성의 변화」, 건축역사 제30권 6호, 2021.12
  25. 이혜원, 「景福宮 중건 이후 殿閣構成의 변화 : 「경복궁 배치도」와「北闕圖形」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논문 2009
  26. 장영기, 「조선시대 궁궐 운영 연구」, 도서출판 역사문화, 2014
  27. 정정남, 「효종대 仁慶宮內 宮家의 건립과 그 이후宮域의 변화」, 서울학연구 39, 2010.5
  28. 주남철, 「궁집」일지사, 2003
  29. 주남철, 「조선시대 청평위궁(淸平尉宮)의 기초적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7호 2011.7
  30. 홍석주, 「17세기 인경궁 건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 논문집, 2010
  31. 홍순민, 「홍순민의 한양읽기 궁궐 하」, 눌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