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ion of Damage Area due to Explosion of LNG-Hydrogen Mixed Gas

도시가스-수소 혼합가스의 누출사고 영향범위 분석

  • Received : 2022.10.17
  • Accepted : 2022.11.0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carbon neutrality, one of the key tasks is to revitalize the hydrogen economy. As one of these policies the government has formulated a plan to incorporate hydrogen into existing city gas pipes, and aims to commercialize 20% hydrogen mixing by 2026. In preparatio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city gas and hydrogen mixture, this study quantitatively predicts the scale of damage and the range of impact in the event of leakage of these two gas mixtures. The quantitative damage prediction method is to calculate the damage conversion distance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TNT equivalent by setting the leakage amount of the gas mixtur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under a virtual scenario.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핵심과제 중 하나가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이다. 이 정책 중 하나로 정부는 기존 도시가스 배관에 수소를 혼입하는 추진안을 공식화하였고, 다가오는 2026년까지 20% 수소 혼입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스와 수소 혼입 상용화를 대비하여 이 두 가지 혼합가스의 누출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 및 영향범위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고자 한다. 정량적 피해예측 방식은 가상 시나리오에 따른 사고 발생 시 혼합가스의 누출량을 설정하여 TNT 당량 계산을 통해 피해 환산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가스안전공사, 2021년 가스사고 연감 KGS 2022-095.
  2. 오규형, 이광원, 이성은, 김태훈, 2006, 수소의 폭발위험성에 대한 고찰, 2006 한국가스학회 추계 학술발표회지, pp. 159.
  3. 정인구, 유상빈, 이수경, 김래현, 1998, 파이프라인에서의 가스누출 확산과 폭발 영향평가, 1998 한국가스학회 추계 학술발표회지, pp. 61-68.
  4. 윤용균, 2016, 폭발에 따른 최대과압 및 충격량 평가, 화약⋅발파, Vol. 34, No. 4, pp. 30-33.
  5. Isabelle Sochet, 2010, Blast effects of external explosions, PRISME Laboratoire Pluridisciplinaire de Recherche en Ingenierie des Systemes, Mecanique et Energetique, pp. 12-15.
  6. 최승호, 최형권, 2021, 등가누출직경을 적용한 음속 제트 누출의 폭발위험장소 범위 산정을 위한 수치 해석적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Vol. 21, No. 4, pp. 122-123.
  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0, KOSHA GUIDE 최악 및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1, KOSHA GUIDE 사고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