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Historical Aspects of SSangwha-'tang' (Decoction) and SSangwha-'cha' - How did Ssangwha-tang become Tea? -

쌍화탕과 쌍화차의 시대적 변화 과정 고찰 - 쌍화탕은 어떻게 '차'가 되었을까? -

  • Inhyo, Park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n Medicine) ;
  • Sangjae, Lee (Division of Lngeti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 박인효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이상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교실)
  • Received : 2022.11.25
  • Accepted : 2022.12.2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changes of Ssangwha-'tang', traditional restorative medicine, to a type of tea in tea rooms(Da-bang) named Ssangwha-'cha' in the modern era in South Korea. The goal is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Korean medical culture has been related to the food culture of everyday life. Method : We analyzed traditional medical texts, newspape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literary works, and folk song lyrics in which Ssangwha-tang and Ssangwha-cha are mentioned. Results : Ssangwha-tang used to be mentioned as a medicine to tonify 'Yang' energy(Bo-yang) in traditional medical tex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mid-Joseon dynasty.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also been prescribed for cold, as the tonifying method(Bo-beop) gradually prevailed from the royal family to the public. Since then, Ssangwha-tang has been more popular with the public, with the emergence of the patent medicine(Mae-yak) market since the Opening port period and the Colonial period. As the number of Da-bang sharply increased nationwide amid the period of the country's liberation, Ssangwha-tang has been included in the Da-bang menu served as Ssangwha-cha,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the public and government policy that tends to favor traditional beverages over coffee. Conclusion :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Sssangwha-tang, a type of herbal medicine, became also considered as tea, Ssangwha-cha, provides an example of how Korean traditional medical culture emphasizing the tonification of the body is interconnected with the daily lives of the public and food culture.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조광연, 쌍화차의 추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89;18(1):34-39:34.
  2. 남대진, 오민석. 쌍화탕의 국내 연구 및 치험례에 대한 고찰. 2019;28(2):12-19:12.
  3. 박소연, 이상록, 채승범, 이상재. 한방차에 관한 신문기사 내용 분석.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7;21(2):95-103:98.
  4. 김영석, 권윤영, 전소정, 김창희, 이상재. 전통주에 이용되는 한약재의 특성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18(1):93-101.
  5. 전소정, 김민지, 김창희, 권영규, 이상재. 약선 식당에서 사용하는 한약재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18(2):81-88.
  6. 김민지, 이상재. 국내 자생 약용식물의 식용부위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9;23(3):59-70. https://doi.org/10.25153/SPKOM.2019.23.3.006
  7.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2022.12.12. 인용) URL: https://mediclassics.kr/.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22.12.12.인용) URL: https://db.history.go.kr/.
  9.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2.12.12. 인용) URL: https://newslibrary.naver.com/.
  10.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아카이브. (2022.12.12. 인용) URL: https://nl.go.kr/newspaper/.
  11. 太平惠民和劑局方(태평혜민화제국방). 太平惠民和劑局方卷五 > 諸虛不足 > 雙和湯. 한의학고전DB. (2022.12.12. 인용) URL: https://mediclassics.kr/books/196/volume/5#content_105.
  12. 허준(동의문헌연구실 역). 대역 동의보감. 신증보. 법인문화사. 2017:1248.
  13. 이천(진주표 역). 의학입문 신대역편주. 법인문화사. 2009:136,1215,2077.
  14. 황지혜, 김남일. 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20:33(1):99-112:111. https://doi.org/10.15521/JKMH.2020.33.1.099
  15. 여인석, 이현숙, 김성수, 신규환, 박윤형, 박윤재. 한국의학사. 서울:의료정책연구소. 2012:210-213.
  16. 양정필. 한말-일제 초 근대적 약업 환경과 한약업자의 대응 - '매약'제조업자의 등장과 성장을 중심으로. 의사학. 2006;15(2):189-209:196.
  17. 來(내)하엿나이다. 광고. 동아일보 1921.10.23. 1면; 特別大廣告(특별대광고). 광고. 동아일보 1922.09.25. 3면.
  18. 1922년도 대구약령시현황(대구한약업자조합조사).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8輯, 조선의 시장. 1924: 139-142; 대구약령시, 대구약령시부활추진위원회, 1984;139-141.
  19. 雙和湯行商(쌍화탕행상) 龍山署(용산역)에서 團束(구속). 매일신보. 1936.07.07. 7면. (2022.12.12.
  20. 전봉관. 이수탁 살부 공판. 희극과 비극이 뒤엉킨 백만장자 외아들의 패륜 드라마. 신동아. 2005.07.15. (2022.10.28. 인용). URL: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4638/1.
  21. 晋州 南江畔의 빨내하든 女人. 삼천리 4(12). 1932;12.01.
  22. 이주영. 1930년대<봉산탈춤>과 전통의 향방. 어문론집. 2021:86:277-300:279.
  23. 문장사, 문장 2(6), 1940.7, 273-306:304.
  24. 김혜정. 진도아리랑 형성의 음악적 배경. 2004:35:269-284:274.
  25. 김남천. 제퇴선. 서울: 이프리북스. 2013.
  26. 황도연. 方藥合編(방약합편), 남산당. 1987:371.
  27. 宜彙(의휘). 1871. 宜彙 卷之一 > 寒 > 彌留觸風. 한의학고전DB. (2022.12.12. 인용) URL: https://mediclassics.kr/books/60/volume/1#content_160.
  28. 김윤식a. 續陰晴史(속음청사). 卷五. 1891. 續陰晴史卷五 > 高宗 28年 辛卯 正月-8月 > 高宗 28年 辛卯 6月.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 (2022.12.12. 인용) URL: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5&totalCount=15&itemId=sa&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types=&searchSubjectClass=&position=0&levelId=sa_013_0050_0030_006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8C%8D%ED%99%94%ED%83%95&searchKeywordConjunction=AND.
  29. 변만기. 鳳南日記(봉남일기). 1903. 鳳南日記(附 晦山日記) > 鳳南日記 > 癸卯年(1903) > 正月.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 (2022.12.12. 인용) URL: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5&totalCount=15&itemId=sa&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types=&searchSubjectClass=&position=3&levelId=sa_057_0020_0100_001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C%8C%8D%ED%99%94%ED%83%95&searchKeywordConjunction=AND.
  30. 조헌영. 이번 겨을에 유행하는 감기의 치료법. 알른증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동아일보 1938.2.23.
  31. 김정선, 황상익. 조선 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 의사학. 2007;16(2):151-160:151,156.
  32. 오준호. 양감상한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의가들의 상한 인식. 의사학. 2012:40(1):1-23:6,15,18.
  33. 강준만.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5.
  34. 이정학. 가비에서 카페라떼까지: 한국 커피와 다방의 사회문화사. 2012.
  35. 김윤식b. 다방, 도시와 예술의 풍속화. 서울: 한겨레출판. 2012.
  36. 喫茶店評判記(끽다점평판기), 삼천리 6(5): 1934. 05.0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잡지자료. (2022.12.12. 인용) URL: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ma&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ma_016_0390_0700&position=-1.
  37. 茶房(다방)서의 雙和湯等(쌍화탕등) 販賣實態(판매실태) 調査指示(조사지시). 동아일보 1958.11.06. 3면.
  38. 쑥덕공론. 동아일보. 1958.11.06. 2면.
  39. 만국인삼배쌍화차. 광고. 동아일보. 1958.11.30. 2면.
  40. 만국인삼배보신차. 광고. 동아일보. 1959.01.09. 4면.
  41. 茶(다)속에유리가루 顧客(고객)들 腹痛騷動(복통소동). 동아일보. 1959.10.31. 4면.
  42. 商標(상표)위조犯(범) 逮捕(체포). 경향신문. 1960. 12..09.
  43. 휴지통. 동아일보. 1959.01,09. 4면.
  44. 커피病患者(병환자). 1950.05.18. 경향신문.
  45. 휴지통. 1950.02.26 동아일보. 2면.
  46. 오요셉. 부정부패에 맞선 기독 청년들의 '새생활운동'. 2019.3.8. 크리스천 노컷뉴스. (2022.11.01. 인용) URL: https://christian.nocutnews.co.kr/news/5115396.
  47. 한현구. 4.19부터 5.16, 격동의 시기. 그곳에 '새생활운동'이 있었다. 2019.3.7. 기독교연합신문. (2022.11.02. 인용). URL: https://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9363.
  48. 이일선. 새생활운동을 국민운동으로. 1960.08.11. 경향신문. 4면.
  49. 간직하고 싶은 遺産(유산) 1961년을 보내면서 (1) 다방과 거리 1961.12.17. 경향신문.
  50. 커피는 안 팔겠소. 1961.05.29. 동아일보.
  51. 김석수. 한국 다방문화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997:13:37-44:42.
  52. 횡설수설. 동아일보. 1962.06.11. 1면.
  53. 신선미. "겨울철엔 쌍화맛집이지"... 스무디킹, 광동제약과 콜라보. 2019.11.21. 한국경제TV. (2022.11.11. 인용). URL: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911210322.
  54. 이예은. 이디야커피, 쌍화차, 대추차, 생강차 출시. 2020.11.16. 조선일보. (2022.11.02. 인용). URL: https://www.chosun.com/special/future100/fu_general/2020/11/16/SE4CZNBDLVCSZC575GXYBLYEQ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