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우리나라에서 국·공립 중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임용고사) 에 합격해야 한다. 이러한 임용시험의 선발적 특성은 시험 출제 내용이 곧 각 전공 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 자질에 대한 기준으로 작용한다[1]. 임용시험의 내용과 범위 그리고 시험 방식은 대학의 교사교육기관과 예비교사들에게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그리고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2].
다른 교과와는 다르게 체육교과는 신체활동을 통한 전인적 인간 육성이라는 고유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문체육인에 적합한 이론과 실기 능력의 조화로운 습득 과정이 체육교육전공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3]. 그러한 과목 적합형 교육과정을 이수한 예비체육교사에 대한 자질과 전문성에 대한 평가는 교과 특성에 맞는 임용고사를통해 검증된다[4]. 따라서 임용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는 체육교사교육자들의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동안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의 발전을 위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세 가지 주제로 대별할 수 있다. 교과교육학의 출제경향 분석[5-8]과 임용시험제도의 절차에 대한 연구[4, 9] 그리고 예비체육교사들의 삶과 고충 등에 대한 연구[2, 10-13] 등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임용고사의 교과내용학과 관련한 문제 및 발전방안을 제시했다는 점과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체육 교사들의 고단한 삶에 대한 현실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러나 중등체육 임용고사가 전문체육인의 자질 및 전문성의 검증을 위한 제도라는 측면에서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이 이론평가에 대한 연구들이다.
중등체육 임용고사 실기평가에 관한 주제는 G. J. Lee[14]의 연구를 어렵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행정가와 교육전문가, 체육행정가 그리고 체육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실기평가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기평가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준 및 채점 기준의 개발과 교육 현장에 필요한 다양한 종목의 선정 그리고 시험 과정에서 수험생의 불이익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체육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체육인 선발에서 이론과 함께 실기능력의 평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활동을 통한 전인교육은 체육교과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평가에 비해 실기평가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다. 이론과 실기평가를 병행해서 준비해야 하는 예비체육 교사의 입장에서는 실기평가를 준비하고 참여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제기의 방법이 제한되고 문제의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의 실기평가는 각 시·도의 특성에 따라 평가종목과 방법 그리고 평가시기를 탄력성 있게 결정하여 운영하고 있다([14]. 2021학년도 중등체육교사임용고사 시·도별 실기 종목은, 육상과 수영은 17개 시· 도 모두에서 필수 종목이었고, 체조는 14개 지역에서 필수, 3개 지역에서 선택 종목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축구, 농구, 배구, 핸드볼 등의 구기종목과 배드민턴, 탁구 등의 네트형(라켓) 종목 그리고 무용 등이 선택 종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에서 선정된 실기시험 종목의 특징은 신체활동의 전이가(轉 移價)가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목 선정은 학교 교육과정이 시대와 지역별 상황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정되어야 하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체육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 체육 교사 들은 각 시·도교육청에서 제시한 실기 종목을 중심으로 임용고사를 준비하게 된다.
육상운동은 17개 시·도 모든 지역에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실기시험의 필수 종목으로 선정되어왔다. 육상운동이 스포츠의 기본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이가가 가장 높은 종목이기 때문이다. 육상운동은 인간의 원초적인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는 달리고, 뜀뛰고, 던지는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육상운동의 종목구조는 달리기와 같이 신체만을 이용하거나 높이뛰기와 허들 달리기 등의 신체와 물체를 이용한 종목 그리고 던지기 종목처럼 신체와 도구를 이용하는 종목 등으로, 신체, 도구, 물체, 타인, 팀전략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구기나 대인종목 활동에 기초가 된다[15]. 그러므로 대학의 교사 교육과정이나 예비교사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육상운동은 가장 중요한 실기 종목이 된다. 그러나 육상운동이 종목 수만큼이나 복잡한 전문기술과 다양한 시설, 기구 그리고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예비체육 교사들이 육상실기능력을 습득하고 임용고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상 파악을 위한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임용고사 육상평가에 대한 예비 체육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비체육 교사들이 육상운동 관련 전문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습득하는데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의 육상평가에 대한 예비체육 교사들의 인식은 어떻게 유형화되는가? 둘째,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의 육상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인식유형별 특징 및 시사점은 무엇인가?
II. Research Method
이 연구는 중등체육교원임용 육상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 교사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Q방법론은 인간의 신념, 태도, 가치 등의 주관적 영역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대상자가 주관적 판단에 따라 진술문들의 순서를 정 (sorting)하고 이를 모형화함으로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주관성을 스스로 표현해 가는 자결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의 과정을 거친다[16]. Q방법론은 연구자의 가정이 아니라 행위자의 자아참조적 의견을 통해 진술 문을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하여 “있는 그대로” 를 볼 수 있도록 현상과 언어 등에 대한 재구성을 수반하여 본질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연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연구방법론이다[20]. 따라서 육상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태도는 온전히 참여자의 주관성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Q방법론의 활용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1. Research Model
이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인식을 살펴보고자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Fig. 1. Research Model[18]
2. Research Object(P-Sample)
Q방법론에서 연구대상은 Q분류과정에 참가하게 되는 대상으로 P표본(P-Sample)을 말한다. Q방법론은 대상자들의 개인적인 특성이나 차이로부터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대상자가 Q진술문을 어떻게 구조화시키는가를 다루기 때문에 소표본 이론(Small-Sample Doctrine)에 근거한다[17]. 이러한 소표본 이론은 Q 진술 문들이 갖는 주제에 대한 개인 간의 차이가 아니라 개인 내의 의미의 중요성에 따른 차이(intra-individual differences insignificance)를 다룬다[17]. 이 연구는 대전과 충북 그리고 광주에서 중등체육교사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예비체육교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 Research Procedure
3.1 Q-Population and Q-Sample Extraction
Q표본은 육상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식의 총합체인 Q모집단에서 추출된 진술문을 말한다. Q 모집단 추출을 위해 대전에 소재한 C대학에서 2021학년도 2학기 육상지도법을 수강하면서 임용시험을 준비 중인 학생 9명과 졸업생 중 임용을 준비 중인 예비체육교사 5 명을 대상으로 중등체육교원임용 육상 실기 시험에 대한 준비과정과 시험 과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게 하여 65개의 Q모집단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Q 모집단에 대해서 연구자와 Q방법론을 적용하여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가 1인이 진술문의 변별력과 내용타당도 및 중요도 검정을 실시하여 과 같이 25개의 문항을 최종 Q표본으로 선정하였다.
Table 1. Q-Sample
3.2 Q-sorting
Q분류(Q-sorting)는 연구대상자가 Q표본을 일정한 방법에 따라 강제적으로 분류(forced-distribution)하는 과정이다. Q분류는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실시되었다. Q분류는 분류방법에 따라 P표본이 25개의 Q표본을 읽은 후 자신의 주관적인 기준으로 상대적인 의미와 중요도에 따라 Q표본 분포틀
Fig. 2. Q-sample distribution frame & score configuration[19]
4. Data Analysis
이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Q분포도에서 가장 부정하는 것(-4)을 1점으로 시작하여 중립인 것(0)에 5점 그리고 가장 긍정하는 것(+4)에 9점을 부여하여 점수화하였다. 부여된 점수를 진술문 번호순으로 코딩(cording)하여 QUANL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주성분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회전은 배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 요인추출은 각 유형의 고유값(eigen-value)이 1.00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되는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III. Analysis Result and Discussion
1. Formation of Q-Type
중등체육교원임용 육상 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 교사의 인식은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고유값 (Eigen Value)는
와 같이 유형 1은 7.9498, 유형2는 2.7694, 유형3은 2.1345 순으로 나타났다. 누적별량은 0.5356으로 나타나 연구에서 발견된 3개의 유형은 전체 변량의 약 54%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2. Eigen Value and Variances
유형 간의 상관계수는
과 같이 <유형Ⅰ>과 <유형Ⅱ>는 .308, <유형 Ⅰ>과 <유형 Ⅲ>은 -.430 그리고 <유형Ⅱ>와 <유형Ⅲ>은 .358으로 나타났다.
Table 3.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는 각 유형을 설명하고 있는 P표본의 분포와 인자가중치 등을 나타내고 있다. 인자가중치는 각 유형에 속한 연구대상자(P표본)의 유형에 대한 전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인자가중치가 높을수록 그 유형의 특성을 다른 대상자들보다 많이 지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유형별 대상자는 <유형Ⅰ>에 10명, <유형Ⅱ>에 7명 그리고 <유형Ⅲ>에 7명으로 구성되었다.
Table 4. Factor Loadings and the P-Sample
2.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
중등임용 육상 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유형별 특성은 각 유형별 표준점수 +1.00이상인 Q 진술 문과 +1.00이상 유형 간 차이를 보인 진술문을 토대로 각 유형을 분석하였다.
2.1 Type 1 : The Type of Specialized Facility Support Demand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유형에 속한 예비체육 교사들은 중등임용 육상실기 시험에 대하여 임용시험을 연습할 수 있는 적합한 시설 지원이 요구된다는 진술문에 가장 강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 육상임용시험은 개인의 체격 조건과 체력 정도의 영향, 시험 전 충분한 연습 기회의 필요성 등의 순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제1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두드러지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진술문을 보면, 연습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의 지원과 수험생의 실기 수행 순서의 공정성 문제 그리고 개인 체력 정도의 영향 등의 순으로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 유형의 예비체육교사의 진술은 다음과 같다.
Table 5. Descending Array of Z-scores and Factor Ⅰ
“육상은 키가 큰 선수가 유리한 게 기정사실화 되어 있기에 체격은 (육상 동작 수행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고 생각해요. 또한, 충분한 시설과 환경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허들과 높이뛰기 같은 경우 시설이 있어야 준비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육상종목은 충분한 연습 없이는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P6)
따라서 제1유형은 개인의 체격 및 체력에 따른 영향과 적절한 시설 지원 그리고 충분한 연습의 필요성 등의 인식에 두드러진 반응을 보여 ‘전문시설지원요구형’으로 정의하였다.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개인의 체격의 조건과 체력의 정도는 육상실기 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육상종목의 수행은 신체조건이 매우 중요하다는 태도다. 육상운동은 종목 특성상 키가 크고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등의 체력 요소가 우수할수록 수행에 유리하다. 체격은 유전적 영향에 의해 결정된다. 체력의 경우는 개인의 노력에 의해 일정부분 향상은 가능하나, 체력 또한 유전적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유전적 차이에 따른 형평성의 문제를 드러낸다. Y. S. Lee[15]의 한국 육상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에서 육상운동은 체력을 위주로 하는 운동으로 스포츠의 기본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주장은 육상 운동에 대한 특징을 강조한다. 그러나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부족한 체력을 극복하기 위한 연습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해결책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유형의 응답자들은 ‘연습만이 살길이다’라는 태도다.
이들은 육상실기시험을 위해 연습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시설 지원을 간절히 원한다. 이러한 시설 지원 아래충분한 연습 기회를 통해 불리한 신체적 조건을 극복하고자 한다. 임용시험에 선정되는 육상실기 시험의 종목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주로 100m달리기, 110m/100m장애물(허들)달리기, 멀리뛰기, 높이뛰기, 세단뛰기, 포환던지기 등이다. 육상 종목의 수도 많고, 종목 특성 상 다양한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설 등의 환경이 갖춰지지 않으면 세부종목별 연습은 불가능하다. 이 유형의 응답자들이 시설 지원에 대해 두드러진 반응을 보인 것은 소홀한 시설 지원에 대한 하소연의 표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임용준비생들이 충분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시설 및 장비 등의 환경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 Type 2 : The Type of Professional Technical Guidance Demand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유형에 속한 예비체육 교사들은 중등임용 육상실기 시험에 대하여 실제 중등학교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되어야 한다는 진술문에 가장 강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 육상임용시험은 개인의 체격 조건에 의한 영향, 세부종목별 전문적 지도자에 의한 지도의 필요성, 종목별 운동 기술 습득 기회 부족 등의 순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두드러지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진술문을 보면, 종목별 동작 습득 기회의 부족, 시도별 평가 종목의 상이 하여 시험 준비 곤란, 개인의 체력 조건의 영향, 실제 중등학교 현장의 지도 가능한 종목 선정 등의 순으로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 유형의 예비 체육 교사의 진술은 다음과 같다.
Table 6. Descending Array of Z-scores and Factor Ⅱ
“예컨대 높이뛰기, 멀리뛰기의 경우 신장이 150cm의 응시생과 신장이 170cm의 응시생이 경쟁할 경우 170cm 의 응시자가 유리합니다.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티칭 능력과 같은 실기측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육상은 전통스포츠이므로 전문적 지도자의 지도가 중요한 것 같아요. (P6)”, “100m 달리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기술적 요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적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개인이 전문적인 코칭이 이루어지기에는 시간적 여유도 부족하고, 지방에서 학원이나 출신 학교에서 육상종목을 충분히 배울 기회가 부족해요.”(P3)
따라서 제2유형은 티칭능력의 평가와 세부종목별 전문지도자의 지도 필요 그리고 운동 기술 습득 기회 부여 등의 인식에 두드러진 반응을 보여 ‘전문기술지도요구형’으로 정의하였다.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육상실기 시험은 체격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음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는 지도능력 평가로의 전환을 희망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태도는 육상실기 시험에 대한 자신감 부족에 따른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상실기 평가는 모든 지역에서 임용시험의 필수 종목이기 때문에 평가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육상종목의 기술 습득을 위해 전문적 지도자의 지도와 종목별 운동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길 바란다. 육상운동의 경우 올림픽에서 세부종목이 47개 종목으로 가장 많은 종목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육상운동은 단거리·중장거리 달리기와 같은 신체만을 이용하는 종목, 높이뛰기와 허들달리기 등 신체와 물체를 이용하는 종목 그리고 각종 던지기 등 신체와 도구를 이용하는 종목으로 구성되어 매우 다양한 동작 기술과 신체기능을 필요로 한다[15]. 따라서 육상운동은 전문적인 지도자의 도움 없이는 습득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자신들이 부족한 체력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문적 지도자의 도움을 통해 기술적 부분을 보완하겠다는 의지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임용준비생들에게 전문적 지도자의 지원과 학습의 장을 마련하여 충분한 전문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3 Type 3: The Type of Evaluation Method Improvement Demand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3유형에 속한 예비체육 교사들은 중등임용 육상실기 시험에 대하여 시험 시수행 기회의 제한으로 실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진술 문에 가장 강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 평가의 감점 요인과 평가 절차에 대한 구체적 안내의 필요, 중등학교 현장 지도 가능 종목 선정, 종합 체력 및 운동능력 측정 가능 종목 선정 등의 순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이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두드러지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진술문을 보면, 평가의 감점요인과 평가 절차에 대한 안내와 수행 기회 제한으로 실수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 등의 순으로 두드러진 긍정적인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유형의 예비체육교사의 진술은 다음과 같다.
Table 7. Descending Array of Z-scores and Factor Ⅲ
“실기시험은 기회가 1번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실수하면 끝입니다.”(P4), “자세한 평가 절차를 안내해 주면 임용준비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는데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P24), “주관적 개입 요소를 배제하고 조금 더 형평성 있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정형화된 평가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P2).
따라서 제3유형은 수행 기회 제한의 문제와 평가에 대한 구체적 안내 그리고 종합적 체력 및 운동능력 관련 종목 선정 등의 인식에 두드러진 반응을 보여 ‘평가 방법개선요구형’으로 정의하였다.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평가방법의 개선을 요구한다. 임용 실기 시험에서 주어지는 기회가 제한되어 실수는 곧 탈락이라는 인식이다. 임용준비생들은 일 년에 한 번 있는 교원임용시험을 위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낄 수 밖에 없다. 그러한 시험에서 실기 수행의 제한된 기회는 그들에게 정말 잔인하다. 따라서 이들은 소중한 시험에서 실수를 줄이기 위해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의 안내를 간절히 소망한다. 이 유형은 다른 유형과 다르게 시험 준비과정의 어려움보다는 평가 상황에서의 어려움을 토로한다. 이러한 태도는 이종형, J. H. Lee and G. J. Lee[9]의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실기평가에 대한 발전 방향 연구에서 실기평가에서 수험생이 상대적으로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된다는 결론과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응답자들이 임용시험을 준비한 만큼 평가 상황에서 최상의 수행을 보일 수 있도록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충분한 안내와 적절한 수행 기회 등을 제공하여 수험생이 자기 기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3. Common Perception of All Types
이 연구에서 탐색된 3가지 유형에서 공통적인 인식을 보인 진술문은
과 같다. 평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성별에 따른 공정성이나 지역별 출신 대학에 따른 비공식적 차별에 대한 염려 등의 인식은 부정적 반응을 보인다. 또한, 육상종목 평가에서 기록 중심의 평가에 대해 부정적 반응을 보여 자세 중심의 평가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부분의 시도에서 육상종목의 실기평가는 자세와 기록 평가를 병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재 시험평가 방법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8. Consensus Items
IV. Conclusions
이 연구는 중등체육임용 육상 실기 시험에 대한 예비체육 교사의 인식 유형 및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체육임용시험을 준비하는 24명의 예비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Q방법론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총 3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각 유형의 특징을 토대로 명명하였는데, 제1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이고 제2유형은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제3유형은 ‘평가방법개선요구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중등체육 임용시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은 육상실기 시험 준비 과정에서 전문시설의 부족과 같은 환경적인 문제와 기술지도를 받을 수 있는 전문지도자의 부재로 인한 어려움을 토로한다. 평가 과정에서는 평가 방법과 절차의 구체적인 안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교사의 꿈을 이루기 위해 준비하는 임용준비생에게 임용시험은 통과해야 할 관문이다. 그들이 꿈을 이루기 위해 열정을 가지고 도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평가의 공정성을 마련하는 것은 교육기관과 평가 기관의 책무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토대로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예비체육교사들이 자신의 노력과 능력을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의 아낌없는 지원을 기대한다. 아울러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예비체육 교사들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에 충실히 임하여 전문체육인으로서의 자격을 갖추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은 대전, 충북, 광주 등 지역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넓은 지역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이 연구는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중등체육 임용실기시험에서 필수 종목인 체조, 수영, 구기 종목 등에 대한 확장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이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로서 유형별 응답자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양적연구를 활용한 보다 객관적 검증을 통해 유형별 응답자 특성을 파악할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 D. W. Kim and S. M. Lee and K. K. Choi. "Analysis of the questions in history of P. E. and philosophy of P. E. of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25, No. 3, pp. 273-286, March. 2020. DOI:10.15831/JKSSPE.2020.25.3.273
- D. H. Kim and Y. W. Park. "Physical Education Majored Collegiate students' Experience in Prepar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A Grounded Theory Approach".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 24, No. 1, pp.79-94, February. 2011. https://doi.org/10.22173/jksss.2011.24.1.79
- E. H. Choi. "The development of an undergraduate program for the education of reflective sport professional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op kinesiology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15, No. 2, pp. 1-24, April. 2008.
- J. L. Park. "A study on middle school PE(Physical education) teacher appointment exam system."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18, No. 4, pp. 59-80, November. 2011.
- W. K. Kyu and S. K. Soo and J. W. Yi. "Study on the item analysis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ts directivity."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23, No. 3, pp. 1-17. August 2016.
- K. B. Cho and S. Y. Kim. "Trend Analysis of Sport Pedagogy Sub-Domain in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4, pp. 339-347, April 2021. https://doi.org/10.14400/JDC.2021.19.4.339
- U. S. Hub and B. O. Choe. "Analyze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conducted : focusing on the 2014~2020 school year selectin test",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Vol, 29, No. 5, pp. 703-715, October. 2020.
- D. J. Lee. "An analysis of sport pedagogy in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focusing on sport pedagogy since 20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25, No. 2, pp. 17-34, August. 2020. DOI : 10.15831/JKSSPE.2020.25.2.17
- J. H. Lee and G. J. Lee. "Development course of procedures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15, No. 4, pp.1-16, September. 2008.
- S. H. Hwang. "A narrative inquiry on the preparing process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a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was a student athlet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9, No. 6 pp. 743-757, December. 2020. DOI : 10.35159/kjss.2020.12.29.6.743
- J. H. Lee and B. G. Lee and T. H. Oh. "Autoethnography for the acceptance of a P.E. teacher's admission tes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31, No. 4, pp. 775-787, December 2020. DOI : 10.24985/kjss.2020.31.4.775
- T. H. Yu. "Living and Identity as the Repeaters for PE Teacher Qualifying Examination : Noryangjin Repeater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7, No. 1, pp. 111-123, June. 2000.
- J. W. Yi. "The Sub-Culture and Schooling of College Stuednt Athletes to Prepare for the Qualified Teacher Examin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9, No. 3, pp. 71-90, June 2011.
- J. H. Lee and G. J. Lee, "Development Course of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2, No. 1, pp. 247-266, March 2009. https://doi.org/10.29221/jce.2009.12.1.247
- Y. S. Lee. "Policy alternatives for Athletics developm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19, No. 2, pp. 117-124, April 2008. DOI : 10.24985/kjss.2008.19.2.117
- H. G. Kim.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 Books: Seoul. 2008.
- Stephenson, W. "The Play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 D. H. Lee and Y. S. Yu. "Good Government, I want to Live in there : Using the Q-methodology", Vol. 17, No, 12, pp. 545-557, December 2017.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545
- Y. S. Yu. "A Q Methodological Approach to Motive and Preference for Marathon Enthusiasts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2, No. 2, pp. 103-112, March 2021. DOI: https://org/10.15207/JKCS.2021.12.2.103.
- D. H. Lee and C. H. Jung. "What Changes Do You Want in Our Society? : Using subjectivity Study."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Vol. 11, No. 2, pp. 221-235, March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