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전략 연구 - 청양군 간판개선사업 중앙로 일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Strategy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cus on Signboard renovation Business Jungangro, Chung-yang

  • 정용진 (청주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산업디자인전공) ;
  • 김소연 (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투고 : 2022.01.20
  • 심사 : 2022.02.08
  • 발행 : 2022.03.28

초록

서비스 디자인이란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디자인하는 활동 및 이를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디자인 영역을 의미한다. 과거 공급자 위주의 정책 결정에서 벗어나 국민 관점의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최근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국민 참여 사업 모델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정책 과정 전반에서 국민 관점의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2014년에 '국민디자인단'을 구성하였다. 정책 수요자인 국민, 서비스디자이너와 공급자인 공무원이 정책과정 전반에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발, 발전시키는 국민참여형 정책모형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을 목표로, 국민디자인단 간판개선사업으로 진행된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사업대상지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단,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관한 내용으로 향후 사업대상지 적용에 대한 검증 및 사용자 만족도 평가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향후 사업이 종료되면 수요자를 대상으로 사업 만족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Service design refers to an activity to design a user's service experience and a design area for professionally executing it. In order to design services from the people's point of view away from the supplier-oriented policy decisions in the past, the recent public participation business model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rmed the 'National Design Team' in 2014 to design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throughout the policy process. The public participatory policy model is being operated in which the public as policy consumers, service designers and public officials as suppliers participate in the overall policy process to develop and develop public services through service design techniq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actual project site through the case of the National Design Team sign improvement project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 regional revitalization strategy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However, as this study is about the current project, verification of the application of future project sites and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project satisfaction survey targeting consumers.

키워드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서비스 디자인이란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디자인하는 활동 및 이를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디자인 영역을 의미한다. 서비스를 설계하고 전달하는 과정 전반에 디자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경험을 향상시키는 분야로서 사용자 중 심의리서치가 강화된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에 서비스를 접목하거나 신서비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최근 조직문화 혁신, 사회혁신, 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 등 복잡하고 기존 방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1].

공공분야에서는 과거 공급자 위주의 정책 결정에서 벗어나 국민 관점의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최근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국민 참여 사업 모델이 늘어나고 있다. 2000년도 후반부터 우리나라에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행정에서 적용가능한 공공서비스디자인을 행정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2]. 행정안전부는 정책 과정 전반에서 국민 관점의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2014년에 ‘국민디자인단’을 구성하였다. 정책 수요자인 국민, 서비스디자이너와 공급자인 공무원이 정책과정 전반에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발, 발전시키는 국민참여형 정책모형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을 목표로, 국민디자인단 간판개선사업으로 진행된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사업대상지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청양군의 지역활성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점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의 실증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2021년도와 2022년도의 청양군 간판개선사업을 위해 각각 2020년 10월 한달 간 3회, 2021년 6월~7월 두 달간 3회에 설쳐 지역주민, 지역상인, 청년창업자, 청양군 정책 실무담당자가 모여 현장답사 및 회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총 이해하기, 발견하기, 정의하기, 발전하기, 전달하기 5개 단계에 해당하는 각 5개 단계에 해당하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청양군 중앙로 일대의 지역활성화에 관한 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및 서비스 시나리오를 연구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1.국민디자인단 간판개선사업

국민디자인단이란 정책 수요자인 국민, 서비스 디자이너와 공급자인 공무원이 정책과정 전반에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디자인기법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발·발전시키는 국민참여형 정책모형으로, 행정안전부가 정책 과정 전반에서 국민 관점의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실시하였다. 정책제안 및 토론회·공청회 등 기존의 국민참여방식은 적극적인 발언을 하는 일부 국민을 제외한 다수 국민의 요구사항이나 표현되지 않은 숨은 욕구를 반영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정책과정전 반에서 국민 관점의 서비스 설계 및 정책고객의 확대를 위해 제안된 모델이다. 국민디자인단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중앙행정기관 310개 과제, 지방자치단체 1, 177과제 총 1, 491과제를 발굴하였으며, 지난 2016 년에는 국제적으로 세계 3대 디자인어워드로 손꼽히는 ‘iF Design Award 2016’에서 ‘국민디자인단’이 서비스디자인 부문 금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국민디자인단을 통해 국민의 정책과정 참여를 통해 수요자 중심으로 공공서비스 제공방식을 개선하였고, 시민들에게 상향식 참여에 따른 성취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행정에 대한 국민 만족도 및 신뢰도를 제고하였다는 평을 이루었다[3].

간판개선사업은 2012년부터 행정안전부가 시행한 사업으로, 옥외광고물이 그 자체가 도시의 한 특성을 이루고 있으며 도시공간을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고, 시범사업 우수사례 제공을 통해 바람직한 간판 문화 전파 및 사회적 인식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3].

2. 서비스 디자인

2.1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

‘서비스디자인이 무엇인가?’ 10명에게 물어보면 11 개 이상의 정의가 나온다고 할 만큼 서비스디자인은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도 디자인 프로젝트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못했던 주제가 성공적 성과를 내는 사례로 등장하는 등 서비스디자인의 수행 범위, 대상, 방법이 계속 확장되고 있기에 합의된 개념 정의가 나오길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4].

서비스디자인은 서비스 공급자가 수요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높여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다[4]. 서비스란 눈에 보이지 않고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무형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객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잘 인지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서비스는 생산 과 동시에 소비되는 동시성의 특성으로 고객이 마주하게 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요소를 디자인하여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설계도를 기반으로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제품과는 달리,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수준이나 고객과 마주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이질성을 갖는다.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서비스는 또한 제품과 달리 물리적인 속성이 지속되지 않고 소멸되기 때문에 고객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 등을 통해 고객과 소통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정의를 ‘서비스를 설계하고 전달하는 과정 전반에 디자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경험을 향상하게 하는 분야로서 사용자 중심의 리서치가 강화된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에 서비스를 접목하거나 신서비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2.2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는 절대적인 프로세스나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는다. 각각의 서비스디자인 대상에 따라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달리 할 수 있고, 어떠한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사용할지를 초기에 결정하고 디자인하는 것도 서비스디자인의 일부분이다[5].

본 연구는 [그림 1]과 같이 국민디자인단에서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이해하기, 발견하기, 정의하기, 발전하기, 전달하기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의 이해하기 단계는 관련 정책에 대한 현황을 공유하여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조사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견하기 단계는 데스크리서치와 필드리서치를 통해 현장을 관찰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정의하기 단계는 퍼소나나 고객여정맵 등을 통해 진짜 문제인 대표 문제를 찾고 이를 개선할 목표를 수집한다. 발전하기 단계는 현재까지 수렴한 정보를 확장시켜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서비스 콘셉트를 개발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달하기 단계에서는 서비스 스토리보드나 프로토타입과 같은 시각적 결과물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점검하고 실행전략을 작성한다.

CCTHCV_2022_v22n3_38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행정안전부 국민디자인단 추진 프로세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데스크리서치를 통해 지역 환경 전반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한 뒤 지역의 지리적 환경 및 문제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과정을 거친다.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이 현장조사에 모두 참여하여 지역 환경의 문제점에 대해 직접 느껴보고 경험하는 과정을 거쳐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개선을 도모한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업을 통해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정리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워크샵을 진행하며, 시각화된 최종 결과물을 도출하여 핵심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서비스 목표와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Ⅲ. 청양군 간판개선사업

1. 이해하기

본 연구 대상지인 청양군은 충청남도의 중앙에 위치하여 동쪽은 공주시, 서쪽은 보령시, 남쪽은 부여군, 북쪽은 예산군과 인접하고 있으며, 1읍 9면으로 되어 있다. 청양은 남동부에는 계봉산(211m), 앵봉산(300m) 등 칠갑산의 지맥들이 솟아 있다. 북부에는 법산 (459m), 북서부에는 문박산(338m), 서부에는 백월산 (560m) 등이 솟아 있다. 금강이 군의 남동부를 흐르며, 지천천이 중남부를, 잉화천이 동부를 각각 남류해 금강으로 흘러든다. 또한 무한천이 군의 서부 경계를 북류하며, 신양천이 북부 중앙을 북류해 예당저수지로 흘러들고 있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5].

청양군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나, 65세 이상 고령자는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2021년 5월 기준 연령별 인구비는 0세~29세 충청남도 평균이 28.8%, 30~59세 43.8%, 60세 이상이 27.3%를 기록한 반면 청양군은 0~29세가 18.9%, 30~59세가 33.2%, 60세 이상은 47.9%로 충청남도 평균보다 고령자 인구 비중이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1차 진행 시기인 2020년 9월과 비교하였을 때 60세 이상 인구는 46.6%에서 47.9%로 1.3%p가 증가하였다.

청양군의 지속적 인구감소와 최근의 인구과소는 이 지역이 도시화와 공업화에서 소외된 상태에서 농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해왔고, 농업조차도 번성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6].

CCTHCV_2022_v22n3_38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청양군 인구 추이

지난 2021년 5월 발표한 충남 사회지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청양군 산업별 취업자는 2만2천 명이며, 비율로는 농업, 임업, 어업(51.8%)의 구성비가 가장 높았다. 청양군은 도 평균에 비해 저소득 가구 비중이 높으며, 소비지출도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청양군에 부채를 가지고 있는 가구의 비중은 31.5%로 충남 전체(37.2%)에 비해 낮은 편이며, 주된 사유는 ‘사업/영농자금’이 53.6%로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양군은 상용근로자 비중이 충남 시군 중에서 두 번째로 낮은 28.4%를 차지하고 있어 불안정한 편이며, 근로 여건 전반적 만족 비율은 도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청양군 청년종합 실태 조사 자료에 따르면 18세~40세 미만의 351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청년들은 청양 출생후 계속거주 24%, 타지역 이주후 귀향 17%, 타지역 출생후 이주 59%로 나타났으며, 유입지역은 대전 20.2%, 천안 11.7%, 서울 9.6%, 공주 9.0%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관계는 사회참여와 문화생활(소그룹모임)을 통해 형성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관계형성이 어려운 점은 ①지역의 폐쇄성(52.5%), ②사생활 노출(23.8%), ③세대 갈등(10.9%), ④가치관 차이(9.9%)순으로 응답했다. 즉 사회참여, 소그룹모임 등을 통해 지역사회 관계가 형성이 되는데, 청양군 지역사회의 폐쇄성(52.5%)이 관계 형성을 힘들게 하는 요소라고 분석된다.

청양군은 최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 및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농업생산 안정화 정책에 따라 원예, 특작 분야 지원에 154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으며, 청년층 권리 증진과 경제적 자립, 생활 안정을 골자로 하는 청년정책 세부실행계획과 57개 세부과제를 확정하기도 했다.

CCTHCV_2022_v22n3_38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청양읍 농촌 중심지 활성화 사업구간

CCTHCV_2022_v22n3_38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청양읍 농촌 중심지 활성화 사업구간

지역환경개발 측면에서는 새로운 관광 형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천장호 생태관광기반 구축사업과 알프스로 가는 하늘길 조성사업을 조성하였으며, 청양읍 도시재생사업과 농촌중심지 사업을 통해 청춘거리 사업을 추진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대상지 현황

CCTHCV_2022_v22n3_380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세부연구대상지 1

CCTHCV_2022_v22n3_380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세부연구대상지 2

본 연구의 사업대상지는 ① 청양군 청양읍내 사거리 일대에서 청양교 사거리, ② 청양군 청양읍내 사거리 일대에서 군청 앞 회전교차로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청양읍 내리 일원 120개 업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2. 발견하기

이해 관계자맵은 대상서비스를 시스템 관점에서 분석함과 동시에 서비스 정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사람 또는 각 기관의 역할이 충돌하는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으며, 상호 관계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기획 및 모니터링, 서비스개선 및 여러 이해관계자 간의 관계 조정 등에 유용하다[7]. 세부사업대상지 주변의 마을 주민들을 포함한 주요 구성원들을 파악하여 이해 관계자맵을 작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이해관계자맵은 정부, 민간, 시민 간의 파트너십인 민관협력의 PPPP(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의 관계를 이해관계의 핵심대상으로 잡고, 연구대상지 인근의 주요 인프라 및 이해관계자들을 리스트업하여 이해관계자맵을 작성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이해관계자 맵

이해관계자맵을 통해 공공과 기업, 주민의 대표 사용자 군 간의 대표 니즈와 관계를 연계하였다. 해당 이해관계자 맵을 통해 청양읍 대표 시민 그룹 중 이들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들로 판단되는 공무원, 자영업자, 학생, 주부를 본 연구에 참여시켰다. 이후 서비스디자인프로세스에 따라 문제정의부터 발전하기, 전달하기 단계의 문제도출과 해결방안을 함께 도출하였다.

앞서 이해하기 단계가 대상지에 대한 데스크 리서치를 실시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면, 발견하기 단계는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하는 필드리서치가 주가된다. 본 연구는 해당 이해관계자맵을 통해 3개의 핵심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세부연구대상지 두 곳을 각각 현장 답사하였고, 도시경관 측면에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09.png 이미지

그림 9. 현장조사를 통한 문제점 파악

3. 정의하기

퍼소나는 유사한 행동 패턴을 지닌 수요자 그룹을 가상모델로 정의하는 방법론으로 이를 통해 수요자들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유추할 수 있고 새로 만들어질 서비스의 특성과 필요 요소에 대한 판단기준을 찾아낼 수 있다. 퍼소나는 서비스 콘셉트 만들기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을 설득시키고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을 한다[8]. 퍼소나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이해관계자들간의 브레인스토밍이나 유스케이스 분석 등 개발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방법론이다. 퍼소나를 통한 시나리오 방법론은 최근 민간과 공공 부문을 막론하고 증가 추세에 있다[9].

본 연구는 앞서 이해관계자맵을 토대로 공공, 기업, 주민 타입의 대표 퍼소나를 선정하여 작성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세부연구대상지 1 퍼소나 (Persona)

CCTHCV_2022_v22n3_380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세부연구대상지 2 퍼소나 (Persona)

고객여정맵은 고객여정지도로 사용자의 경험을 생생하고 체계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앞서 작성된 대표 사용자인 퍼소나가 시간과 공간 흐름에 따라 경험하는 순서대로 작성하며,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터치 포인트들과 그에 대한 감정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분석한다.

터치포인트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 마주하게 되는 제품이나 환경등 물리적인 인프라 뿐만 아니라실제 대면하게 되는 직원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가 포함된다. 또한 최근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는 SNS 나 웹사이트 등 가상공간의 인터랙션도 포함된다. 다양한 터치포인트를 정의하고 나면, 그에 따른 퍼 소나의 감정을 그래프 높낮이로 기록하여 정책 수요자가 느끼는 감정에 공감할 수 있도록 쉽게 시각화한다. 고객어정맵은 정책 수요자 관점에서 기존 서비스 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도출된 퍼소나들의 여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터치포인트와 감정곡선을 표시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12.png 이미지

그림 12. 세부연구대상지 1 여정 맵

CCTHCV_2022_v22n3_380_f0013.png 이미지

그림 13. 세부연구대상지 2 여정 맵

4. 발전하기

서비스 목표 수립은 정책수요자 경험과 함께 서비스조직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 콘셉트를 도출하기 위한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서비스 목표는 정의하기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도출되어야하는 중요한 결과물이다[8].

CCTHCV_2022_v22n3_380_f0014.png 이미지

그림 14. 세부연구대상지 1 서비스 목표수립

CCTHCV_2022_v22n3_380_f0015.png 이미지

그림 15. 세부연구대상지 2 서비스 목표수립

5. 전달하기

연구 참여자들의 브레인스토밍, 워크샵을 통해 연구대상지를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세부연구대상지 두 곳은 청양읍 중앙로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연구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공감하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노후화로 인한 상권 비활성화와 청양만의 차별화된 공간 부족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대표 문제에 대한 서비스 목표를 수립하고, 해결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CCTHCV_2022_v22n3_380_f0016.png 이미지

그림 16. 이해관계자 워크샵

① 개성 있는 간판 디자인과 ② 지속 가능한 디자인 ③ 스토리가 있는 거리라는 세 가지 방향의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아이디어를 정리하였다. 노후화된 거리를 정비하고 활성화 하는 데 있어서 물리적인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 청양읍만의 고즈넉한 분위기를 살려 옛것을 상기시키는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① 개성 있는 간판 디자인을 위해서 청양읍의 유서 깊은 장소의 건물 입면과 간판을 살려 포토존을 계획하고, 지역의 역사와 스토리를 알리는 공간으로 계획한다. 또한 업종별 특성 마다 차별화를 둔 간판 디자인을 계획한다. 간판의 경우 글자와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유니버셜디자인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건물 입면의 마감재와 어울리는 간판의 재질과 규모를 고려하여 거리의 조화로움을 부여한다.

②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해서는 과도한 돌출 간판, 입간판, 현수막 등의 철거 및 정리를 통해 거리에 정돈된 이미지를 부여한다. LED 간판으로 교체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간판조명으로 거리의 어두운 분위기를 탈피하며, 시간대별로 차등적으로 조절하여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간판외에도 보도 블럭조명이나 LED 조명을 통해 야간 보행의 안전성 지원 및 특색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며, 식물간판 등 가로수, 저단 화단, 식재 등을 활용하여 거리 미관을 개선한다. 건물 입면과 간판 개선은 특히 지역상인들과의 컨설팅을 통해 각 상점에 맞는 개성있는 브랜드를 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거리 전체의 통일성과 각 상점의 특색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개선한다.

지역활성화와 관련된 추가적인 아이디어로 개인 보유 토지 및 공간을 주차장과 같은 공공목적의 용도로 활용 시 운영권을 부여하는 등 경제적 지원제도를 도입하는 정책적인 아이디어도 도출되었으며, 지역 활성화 관련 사업 시 적극적 홍보지원이나 지역 내 관련 기업의 참여율 의무화 등을 통해 지역 내의 직접적인 경제 활성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③ 스토리가 있는 거리에 관한 계획은 청양군의 새로운 콘텐츠를 발굴하거나 관광자원을 연계한다. 외부에서 청양군에 대중교통을 통해 방문할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청양시외버스터미널이나 청양문화원 외벽을 활용한 벽화디자인을 구성한다. 청양곳곳의 빈 공간 등을 활용하여 벽화 등의 디자인을 통해 거리의 포인트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청양의 관광자원인 칠갑산 자연휴양림, 매운고추체험나라, 고추구기자 특구, 칠자화, 폐광지역 관광자원화 사업 연계 통한 관광객 볼거리와 놀 거리의 통합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젊은 층의 경우 SNS 등을 통해 감각적인 지역의 숨은 명소를 공유하는 문화를 즐기고 있다. 정보의 인지가능성이 높은 청양의 대표공간에 벽화를 두어 자연스럽게 청양의 명소를 알리도록 한다. 학생이나 상인 등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벽화디자인을 통해 지역에 대한 정주의식을 높인다.

CCTHCV_2022_v22n3_380_f0017.png 이미지

그림 17. 아이디어 도출 및 공유마을 개선전략수립

Ⅳ. 결론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정책 수요자 관점에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구체적인 연구대상지에 대해 이론적 고찰과 현장조사를 통해 핵심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법을 실질적인 정책 수요자인 시민들과 함께 고민하고 계획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출된 아이디어는 현재 진행 중인 충청남도 청양군 간판개선사업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청양군의 경우 2021년, 2022년의 간판개선사업에 연달아 선정되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아이디어의 실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판개선사업의 경우 구체적인 개발단계에서 지역 상인의 자부담 여부나 건물주와의 협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해결방법 중 하나인 주민이나 사업체의 참여를 통한 경제적 지원제도 나 사업에 관한 적극적 홍보지원, 지역 내 관련 기업의 참여율 의무화 등을 통해 지역 내의 직접적인 경제활성 효과를 유도하여 지속적인 지역활성화 개발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은 서비스 운영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체감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함께 도출하여 사용자중심 디자인으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연구대상지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이야기하는 문제들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단 본 연구는 사업 초기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이니 만큼 사업이 실제 진행되었을 때의 적용 정도나 주민 만족도 등은 향후 연구로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최근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표되었는데, 향후 해당 연구에서 도출된 아이디어의 적용 여부 및 서비스 운영과 관리 등에 대한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한 공공정책수립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지만 도출된 연구 결과의 효율성이나 성과의 평가 기준등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만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서비스디자인이란?,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혁신실, 2019.2.18.
  2. 이수연, 김호영, 이형복, "대전광역시 공공서비스디자인 정책을 위한 기초적연구," 도시디자인저널, Vol.3, No.1, pp.28-37, 2021.
  3. 행정안전부 국민디자인단, https://www.mois.go.kr/frt/sub/a06/b02/govServiceDesign/screen.do
  4. https://servicedesign.tistory.com/40
  5. 청양군청, http://www.cheongyang.go.kr/
  6. 최원회, "청양군의 지역정체성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5-253, 2017.
  7.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서비스디자인 운영툴킷, p.16, 2015.
  8. 정용진, "서비스디자인방법을 활용한 청년공유마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pp.314-32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314
  9. 안세윤, 김소연, "페르소나 유형을 적용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사용자 시나리오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pp.59-70, 2015. https://doi.org/10.17280/JDD.2015.15.3.007
  10. 윤성원,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 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3, 2014.
  11. 마르크 스틱도른, 서비스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12. 김소연, "스마트시티 사용자 체험 시나리오 도출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pp.333-34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333
  13. 박진희, 이철상, "서비스디자인방법론 기반 교육센터 미래 사용자 시나리오연구,"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5, No1, pp.45-54,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