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 Received : 2022.02.14
  • Accepted : 2022.03.02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To this end, mathematical thinking types that can be evaluated and nurtured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ere organized, a framework for analyzing mathematical thinking was devised, and mathematical thinking appearing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challenge mathematic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consists of various problems that can guide various mathematical thinking at the stage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feared that only the intended mathematical thinking will be expressed due to detailed auxiliary questions, and it is unclear whether it can cause mathematical thinking on its own. Second, it is difficult to induce various mathematical thinking at that stage because the questionnaire of the teacher's guidebooks understanding stage and the questionnaire of the reflection stage are presented very typically. Third, the teacher's guidebooks lacks an explicit explana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xplicit explana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future teacher's guidebooks.

본 연구는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및 육성이 가능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정리하고,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상한 뒤,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은 계획 수립, 실행의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지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만 자세한 보조문항으로 인하여 의도된 수학적 사고만이 발현될 것이 우려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 이해 단계와 반성 단계의 발문이 매우 전형적으로 제시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하기 어렵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부족하며 추후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보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교육부.
  2. 교육부(2019a). 초등학교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3. 교육부(2019b). 초등학교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4. 교육부(2019c). 초등학교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5. 교육부(2019d). 초등학교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6.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 8]. 교육부.
  7. 김서령, 박만구(2021). 다전략 수학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수학교육, 24(4), 175-187.
  8. 김수미, 강흥규, 권석일, 남진영, 박문환, 서동엽, 송상헌, 유현주, 이종영, 임재훈, 정영옥(2020).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
  9.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김성여, 장혜원, 강태석, 권점례, 김민정, 방정숙, 이화영, 임미인, 이만근, 김화경, 윤상혁, 이광상, 이경은, 조혜정, 권영기, 권오남, 신동관, 강현영, 김재영, 도종훈, 박정숙, 서보억, 안현정, 오택근, 이경진, 이광연, 이문호, 이승훈, 이은정, 이지윤, 전태인, 최지선, 황선미, 박문환, 김환일, 강성권, 여미주(2015). 2015 개정수학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연구보고서 BD15120005.
  10. 박선화, 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11. 백명숙, 신항균(2007). 메타문제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1), 43-59.
  12. 여승현, 서희주, 한선영, 김진호(2021).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0(4), 431-449.
  13. 우정호(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4. 우정호(2009).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5. 임영빈(2018). 삼각부등식 개념형성을 위한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교사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28(2), 203-220.
  16. 임영빈(2019). 학력으로서 평가 및 육성 가능한 수학적 태도에 관한 고찰: 片桐重男의 관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철학연구, 1(2), 91-108. https://doi.org/10.23027/JPME.2019.1.2.4
  17. 임영빈(2020). 문장제의 보조문항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과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등수학교육, 23(2), 73-85.
  18. 이선영, 한선영(2021).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의 특징과 그 실제. 수학교육 논문집, 35(1), 37-74.
  19. 이환철, 허난, 장미숙(2009). 수학적 사고력 신장 측정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논총, 36, 89-102.
  20. 최혜진, 김상룡(2011). 생활소재를 활용한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21-139.
  21. 허도하, 오영열(2011).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사 기반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463-485.
  22. 片桐重男(1992). 問題解決過程と発問分析. 明治図書出版. 이용률 역(1999). 문제해결과정과 발문분석. 서울: 경문사
  23. 片桐重男(2004). 数学的な考え方の具体化と指導. 明治図書出版. 이용률, 정동권 공역(2013).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수학의 진정한 학력 향상을 지향하여-. 서울: 경문사.
  24. Hannula M S(2012). Emotions In Problem Solving. ICMI-12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2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류희찬.조완영.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