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Migrant Farm Workers and Employers Perceived by Farmers in Korea

농업 경영인이 인식한 외국인 근로자 및 농업인 고용주 교육 요구 분석

  • Hong-Yong Jo (Depart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Workforce Development, SNU) ;
  • Jin-Chul Jeong (Depart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Workforce Development/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 SNU)
  • 조홍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산업교육과) ;
  • 정진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농산업교육과)
  • Received : 2022.06.07
  • Accepted : 2022.12.05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migrant farm workers and farmers in Korea. For developing survey instruments, content analysis of migrant workers & employer training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ith farmers and expert reviews had been conducted. Therefore, eight parts and twenty nine educational contents for migrant workers, five parts and twenty educational contents for farmers have been constructed. For data analysis,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hir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migrant workers' educational priorities were 'basic korean for farming, working attitude in farming, safety guidelines and first aid skills for rural life, safe use of pesticides and protective equipment, driving skills, safe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ion & maintenance of agricultural machinery, pest control by crop', and for the farmers' were 'communication with migrant workers, trouble controls with employment, farming guidance, industrial accident cases and countermeasures, preventing disease and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grant work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이효진, & 김경미. (2018). 치유농업운영자의 교육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2), 23-54.
  2. 강정향, & 전용일. (2020). E-9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요인에 따른 교육체계에 관한 연구. 다문화와 평화, 14(3), 120-137.
  3. 강정향, 전용일, 강태인, 정노화, 우영옥, 김재원, et al. (2020). 외국인근로자(E-9) 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4. 고용노동부. (2019). 외국인 취업기관 모집 공고문.
  5. 고용노동부. (2021). 재입국 특례고용허가 제도 보도자료.
  6. 김연홍, & 안후남. (2020). 농업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제도 비교연구.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3(4), 126-159. doi:10.37582/CSPP.2020.13.4.126
  7. 김학실. (2020). 외국인 계절 근로자 운영에 관한 국가간 비교-역량강화와 인권기반 운영 관점. 한국자치행정학보, 34(2), 21-45. doi:10.18398/kjlgas.2020.34.2.21
  8. 류지성, & 문종원. (2013).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지속성 결정요인 분석-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경영 정책연구, 40(3), 749-766.
  9. 문병기, 라휘문, & 한승준. (2015).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종합진단 및 개선방안. 법무부.
  10. 문종원. (2014). 외국인 근로자 정책의 실효성 제고에 관한 연구: 경기도 농축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주호, 이정표, & 박윤희. (2013).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2(1), 83-105.
  12. 법무부. (2022). 사회통합정책 개요. Retrieved November 3, 2020, from https://www.immigration.go.kr/immigration/1571/subview.do
  13. 산업통상자원부. (2022). 외국인 숙련기능인력 점수제 비자 추천계획 공고문.
  14. 신윤호, & 김대희. (2012). 농업인의 교육요구를 고려한 농촌지도사업의 발전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19(1), 1-28.
  15. 양순미, 오윤자, & 정민자. (2016). 농촌 다문화공동체의 상호관계 향상 지원 프로그램 개발. 전북: 농촌진흥청.
  16. 양순미, 유일상, & 양예숙. (2018). 고용허가제도 이후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근로자 근무지이탈과 불법체류에 관한 질적 연구: 고용농가 대상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8(2), 87-140. doi:10.31894/JRS.2018.10.28.2.87
  17. 양순미. (2016).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 애로와 직무 환경 만족도의 관계 분석. 농촌경제, 39(4), 97-122. doi:10.36464/jrd.2016.39.4.005
  18. 엄진영, 박대식, 조승연, 김윤진, 이창원, 최서리, et al. (2020).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정책 방안.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엄진영, 박준기, 유찬희, & 김선웅. (2018). 농업인력 지원을 위한 외국인근로자 관련제도 개선방안.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엄진영, 우병준, & 김윤진. (2017). 농업부문 외국인 근로자 고용실태와 정책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 엄진영. (2019). 농촌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실태와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세미나 간담회. 서울:국회입법조사처.
  22. 엄진영. (2021). 농업부문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고용실태와 과제. 농촌경제, 44(2), 79-104. doi:10.36464/jrd.2021.44.2.004
  23. 이성순. (2021).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운영현황과 과제. 다문화콘텐츠연구, 36, 151-185. doi:10.15400/mccs.2021.04.36.151
  24. 이찬, 정진철, 박인섭, 임규건, 신재호, & 김태연. (2009). IT 인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실태 및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1), 161-189. doi:10.23840/agehrd.2009.41.1.161
  25. 이창원, 최서리, 이상지, & 신예진. (2020). 해외 농업부문 외국인 근로자 관련 제도 운영 실태와 변화.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이춘수, 강창수, & 양성범. (2021). 농가의 외국인 근로자고용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9(2), 187-207. doi:10.11625/KJOA.2021.29.2.187
  27. 이현욱, & 송정아. (2016). 이주노동자의 계절적 수요와 인력공급에 관한 연구: 충북 괴산 배추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247-261. doi:10.21189/JKUGS.19.2.17
  28. 이혜경, 전용일, 신영태, 엄진영, 송영호, & 주수인. (2018). 외국인 단기 계절근로자제도 실태분석 및 종합개선 방안 연구. 한국이민학회.
  29. 임동진. (2019).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요인과 교육성과 분석: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4), 283-317. doi:10.24145/KJPA.57.4.9
  30. 전윤구. (2015). 외국인고용 농축산업에서 근로시간규정 적용제외의 위헌성. 노동법논총, 33, 335-367.
  31. 전윤구. (2020). 농업분야 외국인력 활용제도의 변용과 중간착취-고용허가의 근무처 추가제도와 계절근로제를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48, 171-208.
  32. 전윤구. (2022). 농업분야에서 외국인을 활용한 근로자파견제도 도입의 문제점. 고려법학, 105, 437-458. doi:10.36532/kulri.2022.105.437
  33. 정용교. (2020).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농촌사회 유입과 적응: 경북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90, 219-248. doi: 10.21211/JHUM.90.8
  34. 정철영, 김진모, 임정훈, 이영광, 김선근, & 조은혜. (2021).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3(2), 51-75. doi:10.23840/agehrd.2021.53.2.51
  35. 주휘정, 옥준필, & 유기웅. (2012). 농어업 법인경영체 인력 실태 조사.연구.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진성희. (2019). 산업체 요구분석을 통한 신산업 융합기술교육의 방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8), 105-113. doi: 10.15207/JKCS.2019.10.8.105
  37. 최서리, & 이창원. (2014). 농축산업 외국인력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농촌사회, 24(1), 113-150.
  38. 통계청. (2020). 2020 고령자 통계.
  39. 한국산업인력공단. (2019). 사업주 외국인 고용관리교육 개요.
  40. 한국산업인력공단. (2020). 2020 재직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 위탁훈련기관 공모.
  41. 한국산업인력공단. (2020). 2020년 귀국예정자 재정착지원 교육훈련 위탁훈련기관 공모.
  42. 한국산업인력공단. (2021). 외국인(E-9)근로자 사전취업교육 안내. Retrieved from https://www.hrdkorea.or.kr/1/3/3/1/1%3bjsessionid=ePpmcwPGQ4I8QiSuThhdUZJgyDhE91jJ8_KY98Ko8yoIlaDQqnfa!-344383131
  43. 황대용, & 강경하. (2006). 외국인 농업연수생의 근로조건과 직무만족도.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3(1), 195-208.
  44. Arcury, T. A., Estrada, J. M., & Quandt, S. A. (2010). Overcoming language and literacy barriers in safety and health training of agricultural workers. Journal of Agromedicine, 15(3), 236-248. doi:10.1080/1059924X.2010.486958
  45. Berelson, B. (1952).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46. Borich, C.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doi:10.1177/002248718003100310
  47. Caffaro, F., Bagagiolo, G., Micheletti Cremasco, M., Vigoroso, L., & Cavallo, E. (2020). Tailoring safety training material to migrant farmworkers: An ergonomic user-centred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6), 2104. doi:10.3390/ijerph17062104
  48.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Thousand Oak, California: Sage publication.
  49. Douglas, E.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50. Ezzy, D.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51. ILO. (2018). Skills for migration and employment. ILO Policy Brief.
  52. Kilpatrick, S., & Bound, H. (2005). Skilling a seasonal workforce: A way forward for rural regions. Australia: National Centre for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Ltd.
  53. Klocker, N., Dun, O., Head, L., & Gopal, A. (2020). Exploring migrants' knowledge and skill in seasonal farm work: More than labouring bodies. Agriculture and Human Values, 37(2), 463-478. doi:10.1007/s10460-019-10001-y
  54.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55. OECD. (2018). Skills on the move migrants in the survey of adult skills. Paris: OECD.
  56. Spitzer, M. A. (1994). Migrant farmworker training needs and the pesticide worker protection standards. Journal of Extension, 32(3), Retrieved June 1, 2022, from https://archives.joe.org/joe/1994october/a4.php
  57. Weiler, A., Otero, G., & Wittman, H. (2016). Rock stars and bad apples: Moral economies of alternative food networks and precarious farm work regimes. Antipode, 48(4), 1140-1162. doi:10.1111/anti.1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