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mong Students Tak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ealthcare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강생의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

  • Kim, Laki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
  • Kim, Minkyung (Dept. of Health and Medical Administration, Dongju College) ;
  • Lee, Hyo Young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
  • Shin, Eun Kyu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
  • Kim, Soojeong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 김락기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김민경 (동주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 이효영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신은규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김수정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22.03.05
  • Accepted : 2022.05.06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ealthcare course from 2018 to 2020. Methods : Changes in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 well as governmen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houghts on aid, and thoughts on government's aid scale) were analyzed using web-based surveys. The pre-course survey was conducted 1-2 weeks before the semester started, and the post-course survey was conducted 1-2 weeks after the semester end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05. Results : A total of 314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before taking the course, and 28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taking the course. Analysis of the changes in students'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howed that all items (understan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government ODA, as well as having thoughts on aid and government's aid scale) were improved. Regarding changes in awaren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oughts on ai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all characteristics except for 2018. Regarding government's aid scale, awareness scores increased after taking the course in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care, fine arts and athletics, broadcasting and media studies, and digital conten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changes in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ere largest in second-year students. Compared to changes regar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government ODA, and thoughts on aid, changes regarding thoughts on government's aid scale were mino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ass content suitable for the first-year level and to supplement and operate content that can change the way of thinking on government's aid scale.

Keywords

Ⅰ. 서론

2021년 유엔인구기금(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의 세계인구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총인구수는 78억 7,500만 명이고(UNFPA, 2021), 국제연합 (united nations; UN)에 등록되어 있는 국가수는 193개로 (UN, 2021) 국가별로 독특한 전통사회와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는 하나의 지구촌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전쟁, 빈곤, 교육, 보건,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재난과 국경을 초월한 감염병 등 여러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DO)은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와 사회·경제개발을 지원하는 공공·민간영역의 모든 활동으로 이러한 개발을 실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협력이 요구된다. 이를테면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와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및 2030 어젠다 달성을 위한 ‘효과적 개발 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을 두고 각 정부와 국제기구, 시민사회, 비정부기구(non government organization; NGO) 등과 같이 다양한 주체들이 지구촌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KODA, 2016). 국제개발협력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민족, 인종, 종교 등을 초월하여 지구촌에 상호의존성을 인지시키고 세계시민의식을 각인시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Kim 등, 2010).

한편,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이란 세계시민으로서 책임감을 가지며, 전 세계와 연결된 연대감을 갖는 세계관을 일컫는다(Hett, 1993). 세계시민의식은 세계화된 사회에서 인류의 번영을 도모하고, 기본권을 향상시키며, 믿음과 실천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강조되었다(Dower & Williams, 2002). 또한, 국가 간 협력이 강조되면서 미래 사회의 주역인 아동, 청소년 및 대학생들에게 세계시민의식 함양은 교육의 중요한 측면으로 자리잡고 있다(Kim, 2015).

최근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재원의 확대와 더불어,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ODA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개발교육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Park 등, 2015).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 인지 제고 노력은 다양한 주체로부터 실시되고 있는데, 미래를 책임질 차세대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도 정부, 공교육, NGO 등을 중심으로 국제 개발 협력 관련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하고 있다(Ko, 2015). 정부 중심의 국제개발협력 교육은 초ㆍ중ㆍ고등학교 정규 교과목에서의 국제개발협력 내용 소개와 한국국제협력단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실시한 국제개발협력 인지강화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Lee, 2009), 개발교육의 주제는 국제이해, 다문화이해, 환경, 인권, 평화 등 다양하다.

외교부 산하의 KOICA는 한국과 개발도상국들의 우호적 협력관계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사회, 경제 발전을 실현하고 국제사회와의 상호조화를 이루기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대학생의 이해 및 참여도를 제고하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고자 2009년부터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대학에서 개발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대학이 국제 개발 협력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라는 관점이다. 국내에서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가 중요한 정책과제로 등장함에 따라, 이를 담당할 수 있는 국제 개발 협력 전문 인력 양성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다(Choi, 2008; Jeon, 2012).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개발 협력의 주요 이해당사자인 정부부처 및 원조전담기관, 개발 관련 NGO, 기업이나 민간컨설팅 업체, 연구소, 대학 등 다양한 주체들의 역량을 활용하는 인력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이 인력 양성의 핵심 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되었다(Kim, 2011a; Kim, 2011b).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에 선정되어, 매 학기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양 교과목(2학점) 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수업의 목표는 대학생들의 국제 개발 협력 및 ODA에 대한 이해증진,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탐색, 세계시민의식의 함양 등이었다. 이론과 더불어 국내외 현장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국제 개발 협력 분야 진로에 대한 비전과 구체적인 목표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Kim 등, 2017).

선행연구에서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 사업은 국제 개발 협력에 대한 인지도 및 이해도 증진, 국제 개발 협력 관련 진로 의식 변화를 가져왔다는 보고가 있으나 (So 등, 2018), 일부 간호대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다양한 전공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제 개발 협력 인지도 변화를 파악하고, 향후 국제 개발 협력이 해 증진 수업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이 연구는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을 위한 대학교 교양수업(‘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설계로 수행되었다.

2. 연구대상

D대학교에서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의 일환으로 개설된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라는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8년부터 2020 년까지 설문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수는 수강 전 314 명, 수강 후 286명이었다.

3. 연구도구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과목의 효과측정을 위해 KOICA에서 제공하는 수강 전 설문지와 수강 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강 전과 수강 후의 설문조사에는 기초정보 3문항(학기, 전공, 학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4문항(국제개발협력의 이해,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 원조에 대한 생각,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 이포함되었다. 국제개발협력의 이해는‘국제개발협력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다(1)’, ‘잘 모르고 있다(2)’,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3)’, ‘매우 잘 이해하고 있다(4) ’로측정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는 ‘대한민국 정부가 개발도상국에 지원하는 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라는 문항에 대해 ‘ODA에 대해 전혀 모른다(1)’, ‘ODA에 대해 들어봤지만 잘 모른다(2)’, ‘ODA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3)’, ‘ODA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다(4)’로 측정하였다. 원조에 대한 생각은 ‘원조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 대해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1)’, ‘ 별로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2)’,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3)’, ‘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4)’로 측정하였다.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은 ‘우리 정부는 앞으로 원조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습니다(원조 규모를 국민총소득 대비 ODA 비율 .16 %에서 .20 %로 확대 목표).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 대해 ‘현재 수준보다 원조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1)’, ‘원조규모를 현재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2)’, ‘약속한 수준을 지켜야 한다(3)’, ‘약속한 규모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4)’로 측정하였다. 국제 개발 협력 인지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측정도구는 없는 실정이며,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 종합평가연구’(Park, 2014)에 포함된 조사문항과 외교통상부에서 실시한 ‘ODA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포함된 문항 (Kwon 등, 2011)의 일부와 일치한다.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나, 본 연구에서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Chronbach’s α는 .74로 4개의 문항 간 신뢰도는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4. 자료수집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학기별 수강 전후 조사는 대학의 자체 이클래스 시스템의 공지사항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수강 전 설문조사는 학기 시작 후 1~2주 시점에, 수강 후 설문조사는 학기 종료 전 1~2주 시점에 이루어졌으며, 모든 조사는 무기명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모든 절차는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연구자가 속한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1041493-E-2021-001)을 받은 후 이루어졌다.

1) 학기별 수업주제

수업 주제 및 내용 개발을 위해 보건분야 국제 개발 협력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으면서 국제개발협력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교수진 4명이 3차례의 회의를 통해 학부생의 보건분야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하기 위한 수업내용을 구성하였다. 보건분야 국제 개발 협력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매 학기 수업내용은 KOICA에서 제시한 필수 강의 주제 4가지(국제개발협력과 ODA, 국제 개발 협력의 역사, 국제개발협력 최근동향과 세계시민 의식, KOICA 소개 및 참여방안)가 1주차에서 4주 차까지 진행되었고, 5주차 이후로는 개발협력과 보건, 개발협력과 교육, 개발도상국 보건사업 사례, 국제개발협력의 분야별 진로탐색 등 다양한 주제들을 포함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국제개발협력의 분야별 진로탐색에 있어서는 국제개발협력에 있어 보건분야의 전문가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를 위해 앞서 진행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전공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구성하였다. 수업은 담당 교수의 강의, 전문가 특강, 토의 및 토론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전문가 특강은 수업전 수업담당 교수와의 논의를 통해 수강생의 지식수준을 고려함과 동시에 수업계획서에 충실하도록 노력하였고, 학기별 수업내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 국내 현장 활동

수강생 중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국제 개발 협력이 해 증진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 워크숍을 수료하게 한 후 초등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대상 세계시민 교육 활동을 직접 진행하게 하였다. 또한, 수강생을 중심으로 현장 활동 사진전시회를 개최하는 활동도 진행하는 등 다양한 국내 현장활동을 실시하였다.

3) 국외 현장 활동

학기별 수강생 중 10명 내외의 학생을 선발하여 ODA 사업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필리핀, 라오스, 베트남에서 현지 전문가 특강을 통해 보건의료분야 ODA 사업을 이해한 후, 학교 및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박람회를 기획, 실행, 평가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외 대학생과의 교류를 통해 세계시민으로서의 소통기술을 함양하였다. 2020년 1학기와 2학기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국외 현장 활동은 실시하지 못했다.

5. 자료분석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강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빈도분석하였고,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수강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α=.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도 1학기부터 2020년도 2학기까지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과목 수강생 중 수강 전 또는 수강 후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이었다. 2018년도 1학기 수강생은 108명이었으며, 2020년에는 2학기 121명이었다. 계열은 보건의료가 170명(28.40 %)으로 다른 계열에 비해 비율이 높았다. 보건의료계열에는 보건행정, 간호, 치위생, 작업치료 전공 등이, 공학계열에는 전자공학, 건축공학, 메카트로닉스공학 전공 등이, 인문사회계열에는 국제관계 및 통상, 경영, 관광, 경찰행정, 경호, 어문(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전공 등이 포함되었다. 학년별 분포는 1학년 204명(34.00 %), 2학년 184명(30.67 %), 3학년 114명(19.00 %), 4학년 98명(16.33 %) 순이었다. 수강 전과 수강 후 일반적인 특성인 학기, 계열, 학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국제개발협력 이해도는 수강 전과 수강 후 각각 1.79±.66점과 2.89±.62점으로 1.10점 증가되었다(p<.001). 한국 정부의 ODA 이해도는 수강 전과 수강 후 각각 1.49±.61점과 2.99±.72점으로 1.50점 증가되었다(p<.001). 원조에 대한 생각과 우리 정부 원조규모 확대 생각은 수강 전과 수강 후 각각 .30점과 .25점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Table 2.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n= 600)

SD; standard deviation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이해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국제개발협력 이해정도는 모든 학기와 모든 계열, 모든 학년에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이해도가 증가되었다(p<.001). 학기별 분석에서는 2020년도 1학기가 수강 전 1.84±.64점에서 수강 후 3.00±.64점으로 1.16점 증가하여 학기 중 가장 큰 증가를보였다. 계열별 분석에서는 공학계열이 수강 전 1.58±.57 점에서 수강 후 2.86±.66점으로 1.28점 증가하여 계열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이 수강 전 1.71±.58점에서 수강 후 2.99±.54점으로 1.28점 증가하여 학년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Table 3.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600)

SD; standard deviation

수강 전후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학기, 모든 계열, 모든 학년에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이해도가 증가되었다(p<.001)(Table 4). 학기별 분석에서는 2020년도 1학기가 수강 전 1.52±.68점에서 수강 후 3.18±.71점으로 1.66점 증가하여 학기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계열별 분석에서는 사회복지계열이 수강 전 1.41±.56점에서 수강 후 3.02±.67 점으로 1.61점 증가하여 계열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이 수강 전 1.38±.51점에서 수강 후 3.03±.62점으로 1.65점 증가하여 학년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Table 4. Understanding of the Korean government's ODA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600)

SD; standard deviation

수강 전후 원조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2018년도를 제외한 모든 학기, 모든 계열, 모든 학년에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이해도가 증가되었다(Table 5). 학기별 분석에서는 2020년도 2학기가 수강 전 3.04±.32 점에서 수강 후 3.50±.54점으로 .45점 증가하여 학기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계열별 분석에서는 보건 의료계열이 수강 전 3.15±.44점에서 수강 후 3.52±.55점으로 .37 점 증가하여 계열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4학년이 수강 전 3.02±.57점에서 수강 후 3.41±.62점으로 .39점 증가하여 학년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Table 5. Thoughts on aid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600)

SD; standard deviation

수강 전후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학기별 분석에서는 2019년도 1학기와 2학기, 2020년도 1학기와 2학기가 수강 전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2020년도 1 학기가 수강 전 2.81±.60점에서 수강 후 3.23±.48점으로 .42점 증가하여 학기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계열별 분석에서는 예체능, 방송영상, 디지털콘텐츠 계열이 수강 전 2.46±.69점에서 수강 후 2.83±.63점으로 .37점 증가하여 계열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3학년이 수강 전 2.57±.62점에서 수강 후 3.02±. 62점으로 .45점 증가하여 학년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Table 6. Thoughts on the government's aid scal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600)

SD; standard deviation

Ⅵ. 고찰

이 연구는 KOICA의 대학생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의 지원으로 D대학교에서 운영한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양수업 수강생의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최근 국제개발협력 및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는 국민의 절반이 정부의 ODA 공여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Kwon 등, 2011). 예비교사의 개발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의 ODA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0점 정도였으며, 특히 MDGs나 국내의 ODA 현황과 정책에 대한 인식은 평균 1.6에서 1.7점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Kim 등, 2014). 일부 대학생의 ODA에 관한 지식수준 또한 낮았을 뿐만 아니라, 원조 규모 확대에 대한 찬성 정도도 낮게 보고되고 있다 (Lee 등, 2016). 한 국가의 개발협력정책의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민들의 국제개발협력 인식 제고와 함께 지지가 중요하며(Kim, 2011b), 이를 위해서는 국제 개발 협력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초, 중,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세계시민의식이 낮아진다는 보고가 있고(Lee 등, 2015), 대학생 대상 세계시민으로서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Kim 등, 2010). 또한 국제 개발 협력이 해의 학습과 경험이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Cushner & Brislin, 1996). 특히 경험요인 중 해외자원봉사 프로그램 참여는 세계시민 의식 수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UNESCO, 2021) 대학생들에게 양질의 해외자원봉사 참여 경험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강생 중 수강 전 조사응답자는 314명, 수강 후 조사 응답자는 286명으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응답자는 다소 감소하였다. 수강 전과 수강 후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계열에 비해 보건의료계열에 속한 수강생의 비율이 높았는데(170명, 28.38 %), 이는 교과목명이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이며, 수업 담당 교수가 보건행정학과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학년별 분포는 1학년 204명(34.00 %), 2학년 184명(30.67 %), 3학년 114명(19.00 %), 4학년 98명(16.33 %) 순으로 저학년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수업 담당 교수가 저학년을 중심으로 교과목에 대한 홍보를 하였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둘째, 수강생들의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에 대한 변화를 파악하였다. 인지도 관련 문항은 4개로 국제 개발 협력 이해,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 원조에 대한 생각,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이 포함되었다. 국제개발협력 이해와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는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인지도 점수가 크게 향상되었으나, 다른 인지도에 비해 수강 전 점수는 각각 1.79점과 1.49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이는 수강생의 대부분이 국제개발협력과 관련 없는 계열에 속하였으며 저학년의 비율이 높았고, 대학 내 유사한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원조에 대한 생각과 정부의 원조 규모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이유로 주 차별 수업내용 중 매 학기 공통으로 다룬 주제인 국제 개발 협력의 개요, 국제개발협력과 ODA, 국제 개발 협력의 역사, 국제개발협력 최근동향과 글로벌시민교육, 한국의 국제 개발 협력 및 KOICA 소개 및 참여방안을 통해 국제 개발 협력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이 확립되면서 원조에 대한 이해와 생각의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수강 전후 원조에 대한 생각과 우리 정부 원조 규모 확대 생각은 각각 .30점과 .25점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로 수강 전 원조에 대한 생각과 우리 정부 원조 규모 확대에 대한 생각이 국제 개발 협력이해도와 한국정부의 ODA 이해도 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수강 후 점수증가의 폭이 크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수강 후 원조에 대한 생각(3.34점)에 비해 우리 정부 원조규모 확대에 대한 생각(2.92점)이 낮았으므로 향후 수업에서는 우리 정부 원조규모 확대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내용을 강조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일반적 특성(학기, 계열, 학년)에 따라서 국제 개발 협력 이해정도와 대한민국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원조에 대한 생각은 2018-1 학기와 2018-2학기를 제외한 모든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정부의 원조 규모에 대한 생각에는 예체능, 방송영상, 디지털콘텐츠 계열에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p<.05), 2학년과 3학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생의 동질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학기별 수업주제는 동일하였지만, 국내 현장 활동, 국외 현장 활동에 일부학생만 참여하였고,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익명성으로 참여학생과 비참여학생 간의 비교분석을 못한점은 제한점이라 생각된다.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과목이 교양수업으로 진행된 바 수강학생의 전공을 제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KOICA에서 조사를 주관하였기 때문에 성별 등과 같은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잘 설계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강생의 일반적 특성과 국내 현장 활동, 국외 현장 활동, 수업성취도, 세계시민교육 참여 경험, 해외자원봉사 활동 경험, TV, SNS 등 수업이외의 관련 요인을 포함하여 수업이 국제 개발 협력 인지도에 미치는 독립적인 효과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평가도구의 내적일치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지만, 4문항으로 국제개발협력 인지도를 파악하는 진단도구로 활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고 본다. 향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표준화된 측정도구의 개발 및 이를 활용하여 보건의료계열 학부생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에 국한되므로 한국 대학생 전체에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3년 동안 축적된 자료를 분석하여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교양수업의 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수업의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D대학교에서 운영한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양수업의 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수업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업은 수강생들의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변화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저학년에서 수업의 효과가 높았으며,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의 변화는 다소 낮았다. 따라서 향후 수업은 학부 1, 2학년을 중심으로 정부의 원조 규모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수업내용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oi MK(2008). A plan to promote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strengthening partnerships wit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through the use of PPP and development consultants. Seongnam, KOICA, pp.1-218.
  2. Cushner K, Brislin RW(1996). Intercultural relations: a practical guide. 2n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pp.1-379.
  3. Dower N, Williams J(2002). Global citizenship: a critical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pp.146-157.
  4. Hett EJ(1993).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global-mindedness, Graduate school of Sandiego University, United States, Doctoral dissertation.
  5. Jeon SH(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 qualification system. Seongnam, KOICA, pp.1-180.
  6. Ko YJ(2015). The role of NGO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focusing on development NGOs in Korea.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7. Kim CH(2011a). Establishment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system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ejo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pp.1-116.
  8. Kim EM(2011b). Strategie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Korea's ODA. J Int Develop Cooper, 6(1), 97-112. https://doi.org/10.34225/jidc.2011.1.97.
  9. Kim MH, Lim DU, Yong WS, et al(2017). A report on a program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to raise awarenes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n J Health Educ, 3(2017), 11-17.
  10. Kim YH, Shon M, Kim SY, et al(2014). An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id and development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3(1), 47-63.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47.
  11. Kim JH(2015). Case study on overseas volunteer program for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 university. J Korea Cultural Industry, 15(3), 65-75.
  12. Kim JH, Park SH, Cho SM(2010). What affects Korean undergraduates global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7(4), 183-210.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9.108.
  13. KODA(2016). Global citizen's first steps must-read: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ngnam, KOICA, pp.1-395.
  14. Kwon Y, Park SK, Lee JY(2011). Trends in Korean public opinion about foreign aid. Sejo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pp.1-149.
  15. Lee EK, Oh MA, Kim TJ(2015). Analysis on the global citizenship types of Korean youth. Asian J Edu, 16(3), 157-179. https://doi.org/10.15753/aje.2015.09.16.3.157.
  16. Lee KS, Kim JH, Han SM(2016).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by Korean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Incheon cit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Urban Research, 10, 231-267.
  17. Lee SB(2009).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wareness raising and education status and tasks. J Int Develop Cooper, 4(3), 120-131. https://doi.org/10.34225/jidc.2009.3.120.
  18. Park HB(2014). Comprehensive Evaluation Research on Universit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nderstanding Promotion Project. Seongnam, KOICA, pp.1-154.
  19. Park HB, Choi JY, Kim AN, et al(2015). The case study on development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focused on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Asian J Educ, 16(1), 85-112. https://doi.org/10.15753/aje.2015.16.1.005.
  20. So SS, Cho ES, Hong SH(2018). The effect of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in universities on global citizenship. Int Develop Cooper Rev, 10(2), 191-217. https://doi.org/10.32580/idcr.2018.10.2.191.
  21. UN. Population 2021, 2021. Available at https://www.un.org/en/about-us/member-states/ Accessed December 27, 2021.
  22.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2021. Available at http://www.unesco.org/new/fileadmin/MULTIMEDIA/HQ/CLT/pdf/5_Cultural_Diversity_EN.pdf/ Accessed December 28, 2021.
  23. UNFPA. State of World Population 2021, 2021. Available at https://www.unfpa.org/swop/ Accessed December 22,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