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전자가위 CRISPR-Cas9을 이용한 인간 배아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의 책임의식 고양을 위한 거버넌스 -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47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How Governance of Genetic Scissors CRISPR-Cas9 for Research on Embryos Can Encourage a Researcher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 Focus on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Article 47 -

  • Kim, Minsung (The University of Hong Kong, Department of Law Centre for Medical Ethics and Law)
  • 투고 : 2022.03.16
  • 심사 : 2022.03.23
  • 발행 : 2022.03.31

초록

유전자가위 CRISPR-Cas9은 유전자편집을 위한 생명과학기술 가운데 하나로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는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줄 수도 있으며, 또는 예측하기 어려운 도전과제를 남겨줄 수도 있다. 유전자편집의 표준 또는 규제를 위한 거버넌스는 이러한 기술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의 과학 발전을 위한 목적과 윤리적 책무 사이의 충돌을 합리적으로 해결해기 위한 절차적 방식이다. 관련 연구자들을 비롯한 그의 연구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당사자들이 거버넌스 절차를 통해서 연구자들의 유전자가위 CRISPR-Cas9을 남용한 연구를 경계하기 위한 그들의 책임의식 향상에 기여하여야 한다. 이러한 거버넌스 절차는 연구자들의 책임의식을 어떻게 효과적이고 실효적으로 고양시켜줄 것인지 확인시켜줄 수 있다. 즉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가 누구를 위해서 진행되는지 명확히 하여야 한다. 연구를 통한 과학적 호기심의 해결이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인간 배아 연구의 목적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목적인 인간 배아는 단순한 연구의 도구로 취급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거버넌스는 유전자치료에 관한 연구를 장려하는 것과 더불어 연구자들의 책임의식을 고양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학 발전만을 위한 연구만 남을 것이고, 이러한 연구는 인류에게 기술을 통한 혜택보다 오히려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연구자의 책임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CRISPR-Cas9 is one of the gene-editing technologies that infinite potential. It may provide human beings with many benefits or cause unanticipated challenges. The governance as standards setting or regulation of gene-editing technologies can contribute to keeping a balance between scientific value and ethical commitments. Guaranteeing public participation provides an additional opportunity to think about ethical and moral considerations: For whose benefit the internationally discussed governance of gene-editing technologies is directed at? There is a doubt regarding whether the governance justifies scientific researchers' gene-editing research. Suppose that governance promotes the advancement of CRISPR-Cas9, it should also encourage greater research responsibility. If not, there may be tragedies brought about by the misconduct of researchers. Thus, the essential matter on the governance for the research of CRISPR-Cas9 is the researchers' respon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한나,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생명, 윤리와 정책」 제2권 2호,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8.
  2. 김한나.김성혜.김소윤,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3권 2호, 2015.
  3. 김현섭,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0권 2호, 2017.
  4. 남명진,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최근 발달된 크리스퍼 기술을 중심으로", 「인격주의 생명윤리」 제8권 1호,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8.
  5. 류화신.이민규,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관련 해외 규제 현황 및 국내 생명윤리법의 향후 과제", 「생명윤리」 제18권 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6. 박대웅.류화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생명윤리」 제17권 1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7. 박수경.이나은, "인간생식세포 유전자치료연구에 관한 국내법률 개선안을 위한 미국 NIH가이드라인과 HHGE가이드라인 검토", 「생명윤리정책연구」 제14권 3호,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8. 백수진.문한나.박인경.차승현.박준석.이경훈.박춘선.조희수.김명희, "배아 보존에 관한 합리적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의료법학」 제22권 3호, 대한의료법학회, 2021.
  9. 서종희, "배아연구와 불법행위책임", 「의료법학」 제12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1.
  10. 유지홍, "CRISPR-Cas9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검토", 「생명연구」 제53권,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11. 전방욱,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 「생명윤리」 제16권 2호, 한국생명윤리학회, 2015.
  12. 전방욱,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생명, 윤리와 정책」 제2권 2호,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8.
  13. 전방욱, 「크리스퍼 베이비- 유전자 변형 인간의 탄생-」, 2019.
  14. 최경석, "출산 전 생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의료법학」 제10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9.
  15. Audrey R. Chapman, The Implications of Inheritable Genetic Modifications for Justice In: Audrey R. Chapman & Mark S. Frankel, Designing Our Descendants - The Promises and Perils of Genetic Modification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16. B. Guy Peters, The Future of Governing: Four Emerging Model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6).
  17. Bret D. Asbury, Counseling after CRISPR, 21 Stan. Tech. L. Rev. 1 (2018).
  18. Charles C. Mann, The Wizard and the Prophet (First Vintage Book Edition, 2019).
  19. Dalton R. George et al., Articulating 'Free, Prior and Informed Consent'(FPIC) for Engineered Gene Drives, Proc. R. Soc. B 286: 20191484.
  20. Drew Endy, Foundations for Engineering Biology, 438 Nature 449 (2005). https://doi.org/10.1038/nature04342
  21. Elizabeth S. Anderson, What is the Point of Equality?, 109 Ethics 287 (1999). https://doi.org/10.1086/233897
  22. Hong Ma et al., Correction of a Pathogenic Gene Mutation in Human Embryos, 548 Nature 413 (2017). https://doi.org/10.1038/nature23305
  23. Jane Nielsen et al., Integrating Public Participati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to Governance of Marketing Authorisation for Genome Editing Products, 3 Front. Polit. Sci. 1 (2021).
  24. Jens Reich et al., Human Genome Surgery - Towards a Responsible Evaluation of a New Technology (2015).
  25. Jennifer A. Doudna & Emmanuelle Carpentier, Review Summary, The New Frontier of Genome Engineering with CRISPR-Cas9, 346 Science 1077 (2014).
  26. Jennifer A. Doudna & Samuel H. Sternberg, A Crack in Creation (First Mariner Books Edition, 2018).
  27. Joanna Buchthal et al., Mice Against Ticks: an Experimental Community-Guided Effort to Prevent Tick-Borne Disease by Altering the Shared Environment, Phil. Trans. R. Soc. B 374: 20180105.
  28. Joel Feinberg, Right, Justice, and the Bounds of Liber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1980).
  29. John S. Mill, Utilitar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30. John Rawls, A Theory of Justice(Cambridge: Belknap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3d printing, 2000) (1971).
  31. Julian Savulescu et al., The Moral Imperative to Continue Gene Editing Research on Human Embryos, 6(7) Protein Cell 476 (2015). https://doi.org/10.1007/s13238-015-0184-y
  32. Kevin Davies, Editing Humanity (Pegasus Books Papaerback Edition, 2021).
  33. Kolopack PA and Lavery JV. Informed Consent in Field Trials of Gene-Drive Mosquitoes [version 1; referees: 4 approved] Gates Open Research 2017, 1:14.
  34. Linnet Taylor, Public Actors Without Public Values: Legitimacy, Domination and the Regulation of the Technology Sector, 34 Philos. & Technol. 897 (2021). https://doi.org/10.1007/s13347-020-00441-4
  35.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NASEM), Human Genome Editing Science, Ethics, and Governance (2017).
  36. Presidential Commission for the Study of Bioethical Issues, New Direction: The Ethics of Synthetic Biology and Emerging Technologies (2010).
  37. Puping Liang et al., CRISPR/Cas9-Mediated Gene Editing in Human Tripronuclear Zygotes, 6(5) Protein Cell 363 (2015). https://doi.org/10.1007/s13238-015-0153-5
  38. R. Alta Charo & Henry T. Greely, CRISPR Critters and CRISPR Cracks, 15 Am. J. Bioethics 11 (2015).
  39. Rebecca Mackelprang et al., Guiding Ethical Principles in Engineering Biology Research, 10 ACS Synth. Biol. 907 (2021). https://doi.org/10.1021/acssynbio.1c00129
  40. Rodolphe Barrangou, CRISPR Crossroads for Genome Editing, 1(6) CRISPR J. 349 (2018). https://doi.org/10.1089/crispr.2018.29040.rba
  41. Simon Joss, Public Particip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and Decision-Making - Ephemeral Phenomenon or Lasting Change?, 26 Sci. Public Pol. 290 (1999). https://doi.org/10.3152/147154399781782338
  42. Tom L. Beauchamp & James F. Childre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8th ed. 2019).
  43. William D. Ross, The Right and the Good (Oxford: Clarendon Press, 1930).
  44. World Health Organization, Human Genome Editing: A Framework for Governance (2021).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Human Genome Editing: Recommendations (2021).
  46. Yvonne Cripps, The Global Person: Pig-Human Embryos, Personhood, and Precision Medicine, 25 Ind. J. Global Legal Stud. 701 (2018). https://doi.org/10.2979/indjglolegstu.25.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