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mpact on Politician Image and Trust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질이 정치인 이미지 및 신뢰와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종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SH서울주택도시공사) ;
  • 호규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22.04.29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politician's image and trust,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s. To investigate this, 306 voters were sampl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quality factors of the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age of a politician. Among them, timeliness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of politicians, but playfulness did not. Both the image and trust of politicians through YouTub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ot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poli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a politician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polit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at the fact that the image and trust of politicians is a major variable that appeals to citizen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s also applicable to YouTube.

본 연구는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질과 정치인 이미지 및 신뢰와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유권자 3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표집했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치인 유튜브 정보서비스의 질 요인들은 정치인의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적시성, 신뢰성은 정치인의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유희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튜브를 통한 정치인 이미지와 신뢰 모두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치인 이미지는 정보서비스의 질과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치인 신뢰는 적시성·신뢰성에서만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치인의 이미지와 신뢰가 시민들의 사회 및 정치참여에 호소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사실이 유튜브에서도 적용된다는 것을 밝혀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송효진, 고경민,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한국정당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75-216, 2013.
  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71590#home
  3.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PMZPKK4
  4. https://m.mk.co.kr/uberin/read.php?sc=30000001&year=2020&no=924571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19.
  6. 원성심, 김경호, "유튜브를 통한 정치인의 자기표현: '인플루언서'채널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4권, 제3호, pp.137-173, 2020. https://doi.org/10.22876/KAB.2020.34.3.005
  7. 이희은,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27권, 제2호, pp.5-46, 2019.
  8. P. Vonderau, "The video bubble: Multichannel networks and the transformation of YouTube," Convergence, Vol.22, No.4, pp.361-375, 2016. https://doi.org/10.1177/1354856516641882
  9. D. Miller, J. Sinanan, X. Wang, T. McDonald, N. Haynes, E. Costa, and R. Nicolescu, How the world changed social media, UCL press, 2016.
  10. L. Vesnic-Alujevic and S. Van Bauwel, "YouTube: A political advertising tool? A case study of the use of YouTube in the campaign for the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Journal of Political Marketing, Vol.13, No.3, pp.195-212, 2014. https://doi.org/10.1080/15377857.2014.929886
  11. D. Halpern and J. Gibbs, "Social media as a catalyst for online deliberation? Exploring the affordances of Facebook and YouTube for political express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No.3, pp.1159-1168, 2013. https://doi.org/10.1016/j.chb.2012.10.008
  12. 송경재, 민희, "미국 유튜브 정치 (YouTube Politics) 의 시민참여: 한국적 합의를 중심으로," [NIA] 정보화정책, 제15권, 제2호, 2008.
  13. 권혁남, 미디어 정치 캠페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4. R. Effing, J. V. Hillegersberg, and T. Huibers, "Social media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re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democratizing our political system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articipation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25-35, 2011
  15. 오대영,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97-115,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97
  16. 함민정, 이상우, "유튜브 정치동영상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태도극화: 정치성향별 내집단 의식의 매개 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157-169.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5.157
  17. T. McGill, V. Hobbs, and J. Klobas, "User developed appl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st of DeLone and McLean's model,"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IRMJ), Vol.16 No.1, pp.24-45, 2003. https://doi.org/10.4018/irmj.2003010103
  18. A. Parasuraman, L. L. Berry, and V. A. Zeithaml, "Understanding customer expectations of service," Sloan management review, Vol.32, No.3, pp.39-48, 1991.
  19. R. Xu, SNS 정치 정보서비스의 질과 SNS 정치정보 공유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9.
  20. R. W. Hodge, P. M. Siegel, and P. H. Rossi, "Occupational prestige in the United States, 1925-63,"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0, No.3, pp.286-302. 1964 https://doi.org/10.1086/223840
  21. 구자현, 정치인의 이미지와 투표참여의 관계연구: SNS 활동, 의사결정, 병리현상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6.
  22. T. L. Childers and M. J. Houston, "Conditions for a picture-superiority effect on consumer memor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 No.2, pp.643-654, 1984. https://doi.org/10.1086/209001
  23. J. E. Escalas, "Imagine yourself in the product: Mental simulation, narrative transportation, and persuas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33, No.2, pp.37-48, 2004. https://doi.org/10.1080/00913367.2004.10639163
  24. A. A. Mitchell, "The effect of verbal and visual components of advertisements on brand attitudes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1, pp.12-24, 1986. https://doi.org/10.1086/209044
  25. 김현주, 대통령 후보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26. 반현, "선거후보자의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2 차의제설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4호, pp.175-197, 2004.
  27. 최영재, "정치인의 이미지 관리: 언어 및 비언어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1호, pp.378-405, 2006.
  28.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15 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2호, pp.243-284. 1998.
  29. N. Berggren, H. Jordahl, and P. Poutvaara, The looks of a winner: Beauty, gender, and electoral succes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2007.
  30. D. Nimmo and R. L. Savage, "Image typologies in a senatorial campaign: A comparison of forced versus free distribution data," Political Methodology, pp.293-318, 1975.
  31. D. F. Davis, "Issue information and connotation in candidate imagery: Evidence from a laboratory experiment,"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2, No.4, pp.461-479, 1981. https://doi.org/10.1177/019251218100200406
  32. E. Thorson, W. G. Christ, and C. Caywood, "Effects of issue-image strategies, attack and support appeals, music, and visual content in political commercial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5, No.4, pp.465-486, 1991. https://doi.org/10.1080/08838159109364141
  33. 나은영, "3 수준 태도변화 이론의 검증: 태도강도에 따른 내.외집단 전달자와 메시지 강약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3권, 제1호, pp.65-90, 1999.
  34. S. Verba and N. H. Nie, Participation in America: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5. 장석준, "정치 유튜브방송 이용과 정치대화, 정치효능감, 정치참여간의 영향 관계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57호, pp.89-132. 2020. https://doi.org/10.35731/KPCA.2020..57.003
  36. 서운석, 소현수, "인터넷 사회참여 현황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제8권, 제4호, pp.162-196, 2018
  37. 류태건, "정치참여와 정치신뢰: 그 유형의 다양성과 관계성," 21세기정치학회보, 제22권, 제1호, pp.273-308, 2012. https://doi.org/10.17937/TOPSR.22.1.201205.273
  38. A. H. Miller, M. P. Wattenberg, and O. Malanchuk, "Schematic assessmen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0, No.2, pp.521-540, 1986. https://doi.org/10.2307/1958272
  39. 김재범, 최믿음,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과 유권자의 투표 행위," 광고연구, 제98호, pp.154-183, 2013.
  40. 최동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사회 및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