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ehavior of the Older Adults for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고령자의 노인여가복지시설 공간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최예림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 오지영 (부산대학교 생활환경연구소) ;
  • 박혜경 (인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22.05.31
  • Accepted : 2022.07.02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space use and satisfaction by examing the behavior, focusing on the senior center, one of the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older adul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older adults aged 65 years old (104 males, 196 females) who had experience using senior cen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use per older adults was 1-3 times a month the most, and the preferred frequency of use was 1-3 times a week.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ed to use the Senior center frequently, but they could not use it often. Considering the high preference for health promotion activity programs in senior centers, it is understood that the use of space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can be increased if provided. Second, as the usage time per route ranges from a minimum of 1 hour to a maximum of 5 hours, it is considered that satisfaction and usability can be improved if a space to support various personal activities is provided. Third,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to improve the program or space composition that can strengthen friendship or improve accessibility by appearing as difficulties in friendship and accessibility for the reasons not used per senior citizen.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하나인 경로당을 중심으로 고령자의 공간이용행태를 조사하여 공간이용도 및 만족도 개선을 위한 조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로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65세 고령자 300명(남성 104명, 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경로당 공간이용행태 및 선호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령자의 경로당 이용빈도는 월 1-3회가 가장 많았고, 선호 이용빈도는 주 1-3회로 나타났다. 즉, 경로당을 자주 이용하고 싶지만 실제로는 자주 이용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경로당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프로그램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볼 때,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두 번째, 경로당 이용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최대 5시간으로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개인적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제공된다면 만족도 및 이용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경로당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친목의 어려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친목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공간구성이 개선되거나 접근성을 제고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C2A02092454).

References

  1. Kim, H., Oh, J. & Park, H. (2020). A Study on the Color Environmental of Neighborhood Parks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enior Citizens -Focused on the Busan City-.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1), 163-169 https://doi.org/10.17703/JCCT.2020.6.1.163
  2. Choi, Y. R. & Park, H. K.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Environment for Silver Halls Based on Color Preference of the Aged.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33(1), 22-32. https://doi.org/10.17289/jkscs.33.1.201902.22
  3. Choi, Y. R. & Park, H. 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lor Checklists for Senior Center Based on Characteristicss of the elders. Journal of Korea Institure of Exhibition Industry Convergence, 34, 327-337.
  4. Um, K. & Park, I. A Study on managing State and improving way of Senior Centers in Gunsan C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0, 2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