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of Arrangement and the Direction of Rearrangement of the Archives Relating to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임시의정원 관련 기록물의 정리 현황과 재정리 방향

  • 박도원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 Received : 2022.06.30
  • Accepted : 2022.07.12
  • Published : 2022.07.30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arrangement of the archives relating to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hel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rearrangement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arrangement.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had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and records were produc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m. However, the archives lost their original order at some poin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collected and managed them in the 1960s.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did not fully consider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t the time of record production and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the storage process while organizing the collected archives. At that time,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did not follow the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of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In addi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rchives was not applied during the arrange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rranged without considering the Principal of Provenance and 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As a result, it becam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archiv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ome up with a plan for rearranging the archiv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record arrangement. First, according to the Principal of Provenanc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rganization, function, and records and classify the records item, records file, creators, dates of creation, types of records etc. Secon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he order of records was at the time when records were created and preserved.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records are completely created and valid.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arrange the archives related to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as it was in the past. However,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arrangement and the direction of rearrangement, it will be possible to newly understand the contents,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archives and create a basis for effective reference service.

본고에서는 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임시의정원 관련 기록물의 정리 현황을 살펴보고 기록물 정리의 원칙을 적용하여 재정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임시의정원은 기록물 관리 규정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 따라 기록물을 생산하고 보관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 기록물의 원질서가 해체되어 보관되다가 1960년대에 국회도서관이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회도서관은 수집한 기록물을 정리하면서 생산 당시의 기록관리 체계와 보관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당시 국회도서관은 임시의정원의 질서를 따르지 않고 정리했다. 또한 정리 과정에서 기록물의 계층 개념을 적용하지 않았고, 출처주의와 원질서 존중의 원칙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 결과 기록물의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록물의 재정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록물 정리 원칙에 따라 임시의정원 관련 기록물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아야 한다. 첫째, 출처주의에 따라 기록물 조직·기능·산출물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기록물의 기록물건·기록물철, 생산자, 생산일자, 기록물 유형 등을 구분해야 한다. 둘째, 원질서 존중의 원칙을 적용하여 기록물을 생산하여 보존하던 당시의 기록물 질서가 어떠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셋째, 기록물이 완전하게 성립하였는지 효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임시의정원 관련 기록물을 과거의 모습대로 온전하게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정리 현황과 재정리 방향을 검토함으로써 기록물의 내용·구조·맥락을 새롭게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도서관 편 (1966). 대한민국임시의정원문서목록. 서울: 국회도서관.
  2. 국회도서관 편 (1974a). 大韓民國臨時政府[실은 大韓民國臨時]議政院文書. 서울: 국회도서관.
  3. 국회도서관 편 (1974b). 大韓民國臨時政府[실은 大韓民國臨時]議政院文書. 서울: 국회도서관.
  4.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9a). (대한민국 의회정치의 시작)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 목록집: 한국.미국.일본.대만. 서울: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5.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9b). (대한민국 의회정치의 시작)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 해제집: 일본.대만. 서울: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6.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저, 홍진 편 (1919-1945). 大韓民國臨時議政院文書. 상해: 대한민국임시의정원.
  7. 동문사서점 편 (1946). 朝鮮民族運動年鑑. 서울: 동문사서점.
  8. 한시준 편 (1999). 大韓民國臨時政府法令集. 서울: 국가보훈처.
  9. 김태웅 (1995). 일제 강점 초기의 규장각 도서 정리 사업. 규장각, 18. 175-197.
  10. 김학명 (2016).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록관리의 제도와 실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기록관리학 전공.
  11. 이상찬 (2013). 朝鮮總督府의 '도서정리사업'의 식민지적 성격. 한국문화, 61. 361-391.
  12. 이승일 (2001). 조선총독부의 '조선도서 및 고문서'의 수집.분류 활동. 기록학연구, 4. 93-130. https://doi.org/10.20923/kjas.2001.4.093
  13. 이승일 (2007). 조선총독부의 기록수집 활동과 식민통치. 기록학연구, 15. 3-37. https://doi.org/10.20923/kjas.2007.15.003
  14. 이재호 (201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15.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9c). 임시의정원 아카이브. 출처: https://archives.nanet.go.kr/portal/record/recordListAll.do?curr_menu_cd=010604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