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용전공 남학생의 특성비교 연구

A Study on PAI Traits of Beauty Major Male Students

  • 고성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헬스산업학과)
  • 투고 : 2022.05.24
  • 심사 : 2022.07.14
  • 발행 : 2022.08.28

초록

본 연구는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및 충남북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남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PAI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평균척도를 비교하였을 때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일반전공 남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프로파일 유형을 보였으며 타당도척도는 부정적인상(NIM)이, 임상척도에서는 신체적 호소(SOM), 우울(DEP)과 음주문제(ALC)에서 치료고려척도에서는 자살관념(SUI)의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PAI검사에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줄 수 있는 척도를 탐색하기 위해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비교에서 유의미했던 15개 척도를 탐색요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서 신체적 호소(SOM)와 우울(DEP) 척도가 추출되었다. 따라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이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문제에 더 집착하는 감정 양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선발하거나, 교육 및 상담에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mal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PAI tests were conducted on 163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nambuk area in 2020. First, when comparing the average scales of men who majored in beauty and men who majored in general, the major male students of beauty showed an overall high clinically recognized type compared to students who majored in beauty, and a negative impression on a valid scale (NIM) considered treatment for physical complaints (SOM), depression (DEP) and drinking problems (ALC) on a clinical scal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a suicide idea (SUI) scale. Secondly, in order to navigate the PAI scale that significantly predicts beauty major male students,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5 significant scales as search factors in comparison between beauty major male and general major male students. As a result, physical complaints (SOM) and depression (DEP) scales were extracted, which became a factor that can predict male students in beauty major.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ale students in the beauty major have behavior patterns that are more obsessed with and more impulsive to physical problems than the male majors.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lot of suggestions for the selection of future male students in beauty major, selection, management, education, consultation materials, and selection of occupations after graduation.

키워드

l. 서론

생활수준 향상은 건강과 미의 욕구를 동반하는데 과거에 화장의 기능은 단지 피부보호의 건강 위주의 주제에서 현재에는 건강과 미를 포함한 이미지 형성 위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내 뷰티 산업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여성들이 이런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나 또한 남성들도 미용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해 남성들이 외모에 더 신경을 쓰게 되었다. 더 이상 Beauty, Fashion, Skin Care 등과 같은 용어들은 여성만이 사용하는 전유물이 아니라 자신을 가꾸는 남성들에게도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미용을 하나의 개성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직접 가꾸고 표현하는 남성들이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 나가고 남자도 화장하는 시대, 즉 그루밍족이라는 용어가 탄생되었다.

그루밍족이란 마부(groom)가 말을 빗질하고 목욕시키는 데서 유래된 신조어로서, 패션과 미용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남자를 일컫는 "그루밍족"이 자연스럽게 출현하게 되었으며 그루밍족의 출현은 대학교 학점 관리와 취직 준비로 긴장감이 가득한 현대 사회에서 지친 자신에게 새로운 재미와 행복을 찾을 수 있는 트렌드이며 바쁜 사회 속에서 자신이라는 사람을 잃지 않고, 자신을 찾는 과정으로서 자신을 가꿀 줄 아는 남성들을 말한다[1]. 이처럼 미용분야는 여성의 고유한 분야로 인식되어 오다가 미용산업의 확대와 더불어 남성들이 미용에 관심이 많아지는 동시에 미용분야에 다수 진출하게 되었으며 점차 남성들이 미용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미용시장의 확대와 미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남성미용사들의 숫자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여 2007년에는 전체 헤어 미용사 118,184명 중 11.3%가, 2009년에는 12.0%가 남성 헤어미용사였다.

또한, 전체 미용사 자격증 취득자 중 남성의 비율이 2010년에는 12.1%에서 2018년에는 16.6%로 늘어났 다. 이처럼 남성미용사는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2]. 그리고 미용사라는 업종은 평생 직업으로 일할 수 있는 전문직종이기 때문에 남성들에게도 미용사는 매력적인직업이 되었다. 특히 남성 미용사들은 여성 미용사들보다 체력적으로 유리하며, 여성이 갖지 못하는 남성특유의 세밀함으로 인해 남성 미용사를 찾는 고객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처럼 남성 미용사들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미용사들에 대한 특성과 관심이 높아지게 되어 이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또한 이 분야에 종사하게 될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심리적 특성도 일부 연구되었다.

미용전공 대학생들은 미래의 남성 미용인으로서 이들이 차후에 어떤 모습을 갖고 미용분야에 종사하게 되는지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게 된다. 특히 미용전공 학생들의 대다수는 여성이고 교육환경 역시 여성 중심이어서 소수인 남성에 대한 역차별적인 상황이 우려되어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들은 학교 내에서의 공통적인 학생들의 지식습득의 문제뿐만 아니라 특히 남성들만이 갖는 고민과 군입대 등의 문제등 학교내 외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자신의 내면적 문제에 영향을 주고 개인의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하며 인간생활에서 경험하면서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기도 한다[3].

각 개인들은 같은 종류의 스트레스일지라도 각자가 경험하는 차이와 대처하는 방식은 각기 다르다. 결국 이러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스트레스가 각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 개인이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4]. 따라서 이 분야에 종사할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한다면 이들이 대처하는 스트레스 방식은 차후 미래산업에 영향을 줄 것이어서 이들에 대한 대처방식을 미리 파악하면 차후 학 과적응, 진로 및 상담자료 등의 활용자료로 가능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미용학과의 특성

미용은 공중위생관리법 제2조에서 미용업은 "손님의 얼굴, 머리, 피부 등을 손질하여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미용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내용은 미적, 위생적 측면에서의 기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피부, 헤어, 메이크업, 네일등의 응용적 미용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교육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체계적인 이론교육과 고객의 심리분석 등 추가로 교육을 이수하고 있지만 기술교육이 우선시되고 있는 현실이다 [5]. 그리고 미용학원은 사업영위 기간이 타 학원사업자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질의 교육서비스를제공하는 등의 학원교육 서비스품질 개선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6]. 현재 미용 교육기관은 교육부의 인허가를 받은 사설학원으로 시작하여 고용노동부의승인으로 양성훈련과정을 운영하는 직업전문학교가 있 고, 고등학교,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와 석사, 박사과정의 대학원까지 이어진 정규교육과정이 있다[7]. 미용은 심리학과, 의학, 과학 등의 학문이 융복합된 실용학문으로서 이론적 지식이나 기능 습득은 물론이고 인간의 신체를 예술작품으로 응용하는 실질적인 교과과정이 되었다[8]. 국내에서의 미용교육은 1991년 부산 동주여자전문대학과 강릉 영동대학에서 최초의 대학교육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2, 3년제 과정과 4년제 과정으로 개설되어 있으며 미용전공 학과는 뷰티미용학과, 향장미용학과 ,의료미용학과, 미용예술과, 미용과 학과, 한방미용예술학과, 약손피부미용과 등 다양한 명칭으로 개설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만 뷰티나 미용에 관한 학과는 총 563개 학과가 대학에서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9].

2, 3년제 미용전공 학과는 전문대학에서 전문 직업인 양성함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산업현장 및 실제에 직접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실기와 이론을 겸비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이 미용기술 습득에 치중해 미용 교육 활용함을 간과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로 인해 졸업 후 사회인으로써의 학생들이 전문가로서 대우가 부적절하거나 전공과 무관한 분야에 취업하기도 한다[10]. 4년제 대학에서의 미용 계열학과의 목적은 새로운 기술을 생성해 나가고 핵심적 역할로서의 인격을 도모하며 끊임없는 연구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여 인류사회와 국가에 공헌하는 것이다[11]. 특히 Taylor(1964)는 성격특성과 학과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생의 학업성적과 비지적 특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학업성적과 유의미한 성격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은 낮은 학생보다 불안감이 적으며 스스로 자기 통제를 하여 불안감을 건설적인 목표달성을 위하여 방향전환을 한다.

둘째,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은 자신감이 없고 적응을 잘못하며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은 스스로 자기가 가치있는 인간이라는 긍정적 사고를 한다.

셋째,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은 낮은 학생보다 친구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으며 권위에 대한 동정성이 높다. 또한 의존과 독립에 대한 갈등이 적고 사회 지향적 활동보다 학구적인 활동을 택하여 목표를 선택할 때 더욱 현실적이라고 하였다[12].

2. 남자 미용사의 선행연구

현재 국내에서 미용종사자나 미용전공자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대다수의 연구들은 에니어그램과 MBTI, 한국판 아이젱크의 성격검사로 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성격의 유형을 나누어 성격을 파악하는 방식이다[4]. 성격에 관한남자 미용사들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용전공 대학생의 Holland 직업 성격유형별 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13]에서 실재형(R) 집단은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기업형(E) 집단역시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사회형(S)과 예술형(A)은 남자보다 여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관습형(C)과 탐구형(I) 도 여자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고 하였다.

안창규(1998)는 고등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직업선호도 검사결과에서 현실형과 탐구형, 진취형은 남자가 높은 점수를 보이고 예술형(A)과 사회형(S)은 여자가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전공이라 하더라도 남자와 여자에서는 직업성격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알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 남자 미용인을 대상으로 미용인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 선호도에 관한 연구[14] 에서 남자 미용인들은 (ESFP)로 사교적이고 태평스럽고 수용적이고 친절하며 만사를 즐기는 형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일에 재미를 느끼게 한다. 운동을 좋아하고 주위에 벌어지는 일에 관심이 많아 끼어들기 좋아하며 추상적인 이론보다는 구체인 사실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건전한 상식이나 사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능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미용 남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용 고등학생의 에니어 그램 성격유형과전공 선택 인식 및 교육 만족도[15]에서 남자고등학생은 에니어그램에서 여자고등학생이 남학생보다 가슴(감정)에서 높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 즉 여성들이 감정적인 면을 더 사용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가슴 중심 사람들은 자신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여지는지에 대한 관심이 우선이여서 수치심과 관계가 되고, 체격이 둥글둥글한 것이 특징이며 매력적인 미소를 띤 얼굴을 하고 있어 만나는 사람들에게 기쁨을 발견하려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보임으로써 그들이 속으로 딴생각을 못하게 한다. 또한, 사람들은 상황파악에 있어서 직관적이며, 사람들과 맺는 관계와 접촉의 감각때문에 사람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는 남성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미용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16]에서 남자 미용종사자는 중재자유형이 많이 나왔다. 중재자유형은 평화주의자, 양보하는 유형이며, 이 유형은 모든 것 을 수용하는 사람들이다. 참을성이 많으며, 낙천적이고 친절하다. 갈등이나 긴장을 피하는 평화주의자로 자신의 내면이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싫어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동화되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좋은 환경에 있으면 마음이 넓고 동요되는 일이 없음 강한 인내심을 보인다. 편견이 없고 다른 사람의 기분을 이해할 줄 알기 때문에 타인의 고민을 잘 들어주어, 다른 사람들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기도 한다고 하였다[17].

3. PAI 검사도구

기존 미용전공자의 성격특성을 살펴보면 미용전공자들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DISC, MBTI, 에니어그램등의 성격검사지를 통해 성격유형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으나 이러한 성격유형검사는 유형에 맞춘 성격검사로서 개인차를 무시한 단순화한 유형이며, 성격의 기술적인 이론이고 개인의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초래한다는 성격유형론의 한계점이 있으나[18] PAI가 정서적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사례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상황하에서의 행동방식을 가장 광범위하게 파악할 수있는 검사 중 한가지라고 보고하였다[19]. 이 성격평가 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는성격과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형 성격검사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변인들을 다루고 있는 자기보고형 질문지이다. 임상진단, 진료계획 및 진단 집단을 변별하는데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성격검사이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PAI는 이미 많은 임상가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고 심리측정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다른 검사들 보다 크게 향상된 검사로 최근에 개발된 성격검사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검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20].

PAI에 들어있는 임상적 증후군은 정신장애 진단분류와 진단실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PAI는 변별타당도가 높고, 행동의 손상 정도나 주관적 불편감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장애의 상대적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할수 있다[21].

Piotrowski(2017)은 PAI는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검사도구로서 Millon 인벤토리와 NEO-PI, 등과 같은 검사도구보다 지난 10년 동안 급증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하였다.

금번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PAI 성격검사지를 이용하여 미용전공 남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수준과 성격특성을 살펴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역동적인 성격 특성을 파악하려 한다.

Ⅲ. 연구

1. 연구 방법

1.1 조사대상자

본 연구는 미용전공 남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PAI의 데이터를 얻은 결과, 성의 없는 답변 즉 일률적 답변이든지 무응답이든지 등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7명을 삭제하여 총 163명의 검사지를 통계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비율을 보면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총 163명중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79명(48.5%)이고 일반전공 남학생들은 84명(51.5%)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20.56세이었으며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평균연령은 20.69이고 일반전공 남학생들은 20.44이었다. 가족관계는 조사대상자군 모두 차남, 장남, 독자 순이었으며 이중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차남비율은 46명(58.2%)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전공 남학생들도 차남비율이 45명(53.6%) 가장 많았다. 종교생활에서 미용전공 학생들 59명(74.7%), 일반전공 대학생들은 44명(52.3%)가 무교였으며 기독교, 천주교, 불교순의 종교를 갖고 있었다. 거주지는 미용전공 학생들은 36.7%가 서울과 수도권에 그리고 63.3%가 지방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일반전공 대학생은 서울과 수도권에 42.9%가 지방에 57%가 거주하고 있었다.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희망전공은 헤어 53.1%, 피부 8.8%, 메이크업 25.3%, 네일 2.6%로 분포되어 있었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1.2 조사도구

PAI는 총 344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지로서 4개의 타당도 척도 11개의 임상척도, 5개의 치료고려척도, 2개의 대인관계척도를 포함하여 모두 22개 척도로 구성되어있다. 이 검사의 반응 양식은 4지 선다형으로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중간이다" "매우 그렇다"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PAI는 김영환 등(2001)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내적 합치도는 .60-.88이며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77-.91로 나타났다[3].

1.3 자료분석

미용전공 학생들과 일반전공 학생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PAI의 프로파일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용전공 학생을 예측할 수 있는 PAI의 주요 척도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면서 분류예언율을 산출하였다.

2. 연구결과 및 논의

2.1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의 척도 비교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의 PAI검사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용전공 남학생 79명과 일반전공 남학생 84명, 전체 163명에게 PAI를 실시하였다.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의 PAI 22개 척도의 기술 통계와 t검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고 두 집단의 PAI 척도의 프로파일은 [그림 1]에 나타내었다.

그림 1. 전공별 남학생의 PAI프로파일

표 2.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의 PAI척도 평균비교

* p<.05 **p<.01, ***p<.001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전체적인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보면 약물사용(DRG)과 음주문제(ALC)가 가장 높이 상승하였으며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타당도 척도인 저빈도(INF)와 긍정적 인상(PIM), 치료 고려척도인 치료 거부(RXR), 대인관계 척도인 지배성(DOM)과 온정성(WRM)을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높은 프로파일 유형을 보였다. 일반전공 남학생들은 치료거부(RXR)와 온정성(WRM)에서 가장 높게 상승하였다.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간 타당도 척도와 대인관계 척도를 제외하고 임상척도와 치료고려 척도에서 두 집단 간의 비슷한 프로파일 모양을 보이고 있으나 미용전공 남학생은 임상 척도 전체에서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임상척도에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이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는 행동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2]에서 보면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간의 차이는 타당도 척도에서 부정적 인상(t=5.755,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임상척도에서는 신체적 호소(t=5.500, p<.001), 우울(t=5.626, p<.05), 음주문제(t=2.755, p<.001)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나타내었고 치료 고려 척도에서는 자살관념(t=4.718,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부정적 인상(NIM)의 상승은 전반적으로 자신의상태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음을 엿볼 수 있으며신체적 호소(SOM)는 신체기능과 전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한 호소와 염려를 반영한다. 이 척도의 상승은 수검자의 삶에서 신체적 상태가 중심 주제라는 것을 시사한다. 신체적 호소(SOM)의 점수가 60미만으로 신체적 증상의 호소는 별로 없으며 전형적으로 낙천적이고 행동이 기민하며 효율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음주문제(ALC)는 알코올의 사용, 남용 및 의존과 관련된 행동과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4].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T점수가 60미만이어서 술을 마시기는 하지만 술로 인해 문제는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 전공 남학생들간의 유의미하게 상승한 척도나 높은 척도들은 T점수가 60점미만이어서 커다란 차이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다른 척도들에서는 비슷한 평균값을 보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미용전공 남학생들이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높은 형태의 프로파일 유형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행동의 외현화가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2.2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의 예언지표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을 변별할 수 있는 척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타당도 척도를 제외한 PAI 18개 척도들을 이용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하고 분류예언율을 산출하였다. 타당도 척도를 제외시킨 이유는 타당도 척도는 수검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서 긍정적 인상이거나 부정적 인상을 주려하거나 문항에 대해 일관성없게 반응하거나 혹은 부주의하게 반응한 태도를 측정하려는 척도로서 일차적으로 검사의 반응을 선별하는 지표로서 유용하지만 응답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등과 같은 성격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타당도 척도를 제외하고 분석하였으며 판별분석의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미용집단과 일반집단의 정준판별함수

18개의 척도점수를 예언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한 결과 판별함수의 정준 상관계수는 .437이고 Wilks 람다값은 .809(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표 4.각척도들의 판별기능분석

*p.0.05, **p<0.01, ***p<0.00

PAI중 판별분석결과에서 18개 척도점수를 예언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한 결과 3개 척도를 제외한 15개 척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F값이 가장 큰 신체적호소(F=30.253)와 우울(F=31.649) 2개의 척도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남학생과 일반전공 남학생을 판별하는데 기여하는 척도는 우울(DEP)과 신체적 호소(SOM) 척도가 가장 변별력이 높은 척도로 선정되었다.

[표 5]에서와 같이 판별분석에서 나온 2개 척도로 예측했을 때 판별적중률은 일반전공 남학생 62%, 미용전공 남학생 75%로 나타났으며 실제 소속집단이 예측소속집단과 일치하는 분류정확률은 68.7%였다.

표 5. 미용전공과 일반전공의 판별분석

IV. 결론

미용을 전공으로 하거나 미용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은 대부분이 여성들이었으나 남성들이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으며 남성 미용 전문인들의 역할이 미용분야에서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기존 미용인들의 성격연구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남성에 대한 미용인들의 성격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K-Beauty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남자 미용인들에 대한 성격파악이 중요시 되며 이 또한 시급한 연구주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남자 미용인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PAI를 이용하여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격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I 프로파일 차이를 이용하여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타당도 척도와 대인관계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약물사용(DRG)이 가장 높게 상승하였고 일반전공 남학생들은 치료거부(RXR)척도가 가장 높이 상승하였으며 특히 임상척도중에서 신체적 호소 (SOM), 우울(DEP)과 음주문제(ALC)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료고려척도에서는 자살관념(SUI)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전체적인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보면 임상척도에서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전체적으로 상향되어 있어 행동의 외현화 경향성을 보이며 비지지 (NON)가 제일 낮아안정적이고 지지적인 친구나 가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존감이 높고 자기 자신의 욕구충족을 위해 환경을 통제하지 못한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시 친절하고 순종적으로 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홍상황외 3명(2002)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한 PAI 프로파일 유형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고 성격특성적인 면에서는 이동건(2008)의 연구에서 MBTI 성격유형을 통해 미용사들이 외향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는 결과와 같았다.

둘째,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예측해 줄수 있는 PAI의 하위척도를 탐색하기 위해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비교에서 유의미했던 15개 척도를 탐색요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서 신체적 호소(SOM)과 우울(DEP) 척도가 추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격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PAI를 사용하여 일반전공 대학생들과 비교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타당도척도를 제외한 2개의 척도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 미용전공 남학생들이 일반전공 남학생들과 성격적으로 다를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으나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 모두 평균 T점수가 60점 이하로 정상적인 성인의 전형적 응답 범주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는 없으며 특히 차이를 살피자면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타학생들에 비해 외현적인 행동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몇 가지 제한점은 이 검사는 자기보고형 질문지로서 대면 검사지로 설계되었으나 COVID-19로 인해 직접 검사를 실시하지 못하고 비대면인 인터넷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지가 인터넷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신뢰도 검사가 먼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충남북지역의 대학에 재학중인 남학생들을 조사하였으나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비율이 너무 적어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생들도 표본을 확대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는 대조군과는 다른 지역에서 선별되어 본 연구 결과를 전체 미용전공 학생들로 확대하여 해석하여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점 즉 연령별, 지역별 등을 통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학부에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비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구성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공특성상 미용이라는 학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은 환경이어서 남학생들에 대한 상호작용이 실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위축받을 수 있어 보다 세심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성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AI를 사용하여 개인 차원의 성격특성 결과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결과들을 활용하면 학생들의 상담이나 지도 등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미용전공 남학생들에 대하여 이번 연구처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성격특성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효율적인 학생들의 관리 및 진로가 이루어질 것이다.

참고문헌

  1. https://blog.naver.com. 2018/08/20.
  2. https:/www.joblibrary.net. 2020/11/26.
  3. 김윤정, "5요인 성격특성이 미용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20권, 제1호, p.91, 2014.
  4. 고성연, "미용대학생들의 성격특성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336-344,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336
  5. 전은수, 미용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이 교육성과와 구전활동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학원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임혜정,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만족도와 학원경영에 미치는 영향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김영주,국내거주 외국인의 미용교육 만족도와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 김남희, 한국과 일본이 미용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http://www.academyinfo.go.kr
  10. 김민하,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장선하, 미용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고선옥,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이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권은숙, 송제호, "미용전공대학생의 Holland 직업 성격유형별 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5-44, 2015.
  14. 이동건, 미용인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최옥선, 미용 고등학생의 에니어 그램 성격유형과 전공선택인식 및 교육만족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6. 장효주, 미용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복지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7. 윤채성, 성은지, 김환영, 황충연, "Bell's palsy 환자의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성격분석," 한방안이빈후피부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00-206, 2008.
  18. 최정윤,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2.
  19. M. T. Boccaccini and S. L. Brodsky, "Diagnostic test usage by forensic psychologists in emotional injury cas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30, No.3, pp.253-259, 1999. https://doi.org/10.1037/0735-7028.30.3.253
  20.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양영란, 홍상황, "PAI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0권, 제2호, pp.311-329, 2001.
  21. 김세일, 이영순, "교도소 수형자와 일반인 간의 성격 특성분석: PAI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논단, 제7권, 제1호, pp.21-3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