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2.05.23
  • Accepted : 2022.06.09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n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a survey of 248 peopl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communication ability was 2.19, job satisfaction 3.09 and turnover also 2.14 on a five-point scal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communication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ere positive correlations(p<.05)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were negative correlations.(p<.05). According to the multiple return analysis, drinking groups, higher income groups, higher hospital-level groups, higher job satisfaction groups, and lower turnover groups have higher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systematic measure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devised.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 248명의 조사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5점 척도에서 2.19, 직무만족 3.09, 이직의도 2.14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p<.05),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도 음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음주집단, 수입이 높은 집단, 의료기관이 병원급 이상 집단, 직무만족 높은 집단 이직의도 낮은 집단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 모색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Ⅰ. 서론

현대 사회는 국민들의 의료수준 향상과 더불어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치과 의료기관도 증가하고 있다[1]. 치과 의료기관은 환자 유치를 위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경쟁력 있는 치과위생사채용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것이 현실이다[2].

과거 치과 의료기관은 진료의 전문화로 치과위생사가 치과진료협력업무나 구강보건교육과 예방과 같은 기술과 능력을 강조하였으나 최근에는 그와 함께 치과의료기관의 인적, 물적 관리 및 경영관리 등 조직 관리와 대인관계기술, 협력자의 역할 등 인적관리에 있어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사항이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고 연구되었다[3]. 이러한 요구사항은 병원의료기관의 경쟁력의 핵심이며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4]. 의료기관은 노동집약적이며 많은 직종과 직급이 근무하는 곳으로 고도의 상호 의존성이 요구되는 조직으로서 인적관리가 중요하며 인적관리를 위해서는 원만한 대인관계기술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대인관계기술은 사람들 간의 역동적이고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의미하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5]. 의사소통능력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수단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잘하는 것을 말하며[6], 성공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치과의사를 포함한 치과종사자와 환자와의 소통을 위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2]. 또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의 요구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7]. 직무만족은 직무와 관련되어 자신의 태도 신념, 가치 및 요구 등의 수준과 차원에 따라 갖는 감정적 상태나 직무수행의 결과로 충족되는 유쾌하고 긍정적 상태로서[8]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구강건강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9]. 그러나 직무만족이 낮을 경우에는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서 이직할 확률이 높아진다.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23점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직의도가 보통 이상임을 의미한다[10]. 2015 년에 보건의료인 실태조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평균 근속연수는 8.05년으로 의료전문직 9.5년보다 짧은 결과를 나타냈다[11]. 그러므로 치과 의료기관의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높임으로서 경쟁력 있는 치과 의료기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동안 이와 관련된 연구로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12][13],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2]I5],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14-16]가 이루어졌으나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의사소통능력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가 의사소통능력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치과의료기관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인적 조직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9년 6월 1일에서 7월 10일까지 대구, 경북, 대전, 경기지역의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50부를 배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2부를 제외한 248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2. 설문조사

설문은 조사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치위생(학)과 교수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을 하였으며 설문에 대한 이해도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20 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자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수정, 보완한 후 설문을 작성하였다.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 수는 G*Power 3.1.3을 활용하여 Effect size F(효과크기) 0.2, α =0.05, 검정력(1-8)=0.90에서 200명이 필요한 것으로 산출되어 총 248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설문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5문항), 근무특성(5문항), 의사소통능력(15문항), 직무만족(5문항), 이직의도(2문항)로 구성하였다.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는 각 문항을 Liker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부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 연구도구

의사소통능력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방법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얼마나 잘하는가에 대한 능력을 의미한다[6].

본 연구에서는 허[17]가 개발한 의사소통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노촐, 역지사지, 사회적 긴장완화, 주장력, 상호작용 관리, 표현력, 지지, 즉시성, 집중력, 효율성, 사회적 적절성, 조리성, 목표, 간파. 반응력, 잡음 통제력의 15문항의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은 0 .926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직무만족은 조직 구성원으로서 직무와 관련되어개인의 태도 신념, 가치 및 요구 등의 수준이나 차원에 따라 갖게 되는 감정적 상태나 직무수행의 결과로 충족되는 유쾌하고 긍정적 상태를 의미한다[8].

본 연구는 김[18]이 사용한 설문을 사용하여 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은 0.938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s)는 조직을 이동하여는 심리적 행도의지를 의미한다[19]. 본 연구는 서와이[20]가 사용한 설문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Cronbach's alpha값은 0.889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일반적은 특징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항목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 사후 검증은 Scheffe 검증을 하였다.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징 근무특성,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의사소통,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a로 검증하였다. 검정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총 248명이 모두 여성이었으며 나이는 30세 미만이 138(55.6%)명, 학력은 전문대졸업 이하가 167(673%)명으로 많았다. 결혼은 미혼이 156(63.2%)명, 음주는 171(69.8%)명, 흡연은9(3.6%)명으로 나타났다.

근무특성은 경력이 1-5년이 126(51.2%)명으로 많았으며, 직위는 팀장급 치과위생사 45(18.4%)명, 의료기 222020 의원급이 227(91.5%)명, 직원수는 10명 미만이 194(79.2%)명, 수입은 년 2500만원 미만이 146(59.6%)명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md working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2. 일반적인 특징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에서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은 3.19로 나타났다. 연령은 30대 이상이 다소 높았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3.30으로 전문대학 졸업 3.13보다 높았다(p<.05). 결혼은 기혼이 미혼보다 높았다. 음주는 3.26으로 비음주 3.03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흡연은 하는 경우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경력은 긴 경우 짧은 경우보다 다소 높았으며 직위는 팀장급 치과위생사가 치과위생사보다 높았다. 의료기관 종별은 병원급 이상이 의원급에 비해 높았으며 직원 수는 많을수록 높게 분포되었다. 수입은 2500민원 미만이 3.11로 2500-3000만원3.29, 3000만원 초과가 3.27로 수입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높았다(p<.05).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총 평균이 3.09이며 연령은 30대 이상이 3.23으로 30대 미만 297보다 높았으며(p<.05),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이 2.99로 대학교 졸업 2.39보다 높았다(p<.05).

결혼은 기혼이 3.28로 미혼 2.97보다 높았다(p<.05). 음주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흡연은 비흡연이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경력은 10년 이상이 3.48로 가장 높았으며(p<.05), 직위는 팀장급 치과위생사가 치과위생사에 비해 다소 높았다. 의료기관 종별은 의원급이 병원급에 비해 약간 높았다. 직원 수는 20명 초과가 3.48로 가장 높았으며 (p<.05), 수입은 많아질수록 높았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일반적인 특징과 근무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총평균은 2.14이며 연령은큰 치아가 없었으며 교육은 전문대졸업이 2.25로 대학교 졸업 1.93보다 높았다(p4.05). 결혼은 미혼이 2.28, 기혼이 1.93으로 미혼이 높았으며 (p<.05), 음주는 2.23으로 비음주 1.95보다 높았다 (p<.05). 흡연은큰 차이가 없었다. 경력은 낮을수록 높 았다. 직위는 치과위생사가 2.21로 팀장급 치과위생사1.88보다 높았다(p<.05). 의료기관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직원 수는 적은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수입은2500-3000만원인 경우 다소 높았다[Table 2].

Table 2. Communication Ability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haracteristics

*** p<.05 **p<.01 p<.001 scheffe post verification: a)b

3.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의사소통 능력의 상관관계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 (p<.05), 의사소통능력과 이직의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도 음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p<.05 **p<.01 ***p/.001

4. 일반적인 특성, 근무특성,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의사소통능력의 회귀분석

일반적인 특징, 근무특성,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인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델1은 일반적인 특징은 의사소통능력을 4.6%설명하고 있으며 음주를 하는 집단(t=3.164, p=.002), 모델 2는 모델1에서 하위요인중 근무특성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델1에 비해 4.6% 더 설명하고 있으며 음주를 하는 집단(t=2.599, p=.010), 수입이 높은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t=2.165, p=.0321). 모델 3은 모델 2에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이다. 모델3은 의사소통능력에 변량을 38.3%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모델2에 비해 24.1% 더 설명하고 있는 결과이다. 또한, 음주를 하는 집단(t=2.484, p=.014), 의료기관이 병원급 이상인 집단(t=2.201, p=.029), 직무만족이 높은 집단 ((t=10.154, p=.001), 이직의도가 낮은 집단(t=-2.724, p=.007)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Table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communication

p<.05 **p<.01 ***p<.001 subordination variable: Communication Ability, Age(,<30 years:0, 30 years≤:1), Education(≤College:0, University≤:1), Married(Non-Married:0, Married:1), Drinking(No: 0, Yes:1), Smoking(No: 0, Yes:1), Career(.≤5years:0, 5years:0, 5years<:1), Status(Dental Hygienist:0, Responsible Dental Hygienist:1), Medical institutions(Dental Clinic:0, Dental Hospital:1), Number of employees(<10:0, 10≤1), Income (thousand won)(≤2500:0, 2500<:1)

IV. 결론 및 논의

의료기관은 정확한 임상적 의사결정과 양질의 진료를 추구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기관의 구성원들과의 시기적절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요구되며[21], 또한 환자들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22].

따라서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분석하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인 치과위생사는 248명으로 모두 여성이며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은 5 점 척도에서 3.19로 권과 한[2]이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평균 3.49보다는 낮으며 박과 정[12]의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평균 3.20과는 거의 동일한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학력, 음주, 수입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p<.05) 교육은 전문대 졸업 이하가 대학졸업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았다. 권과 한[2]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즉 높은 학력은 업무 수행 과정에서 글과 말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신의 뜻을 표현할 때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인 의사소통에 관한 교육의 기회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음주는 하는 경우 의사소통능력이 높았다. 김 외[23]는 음주는 대인관계의 중요한 매개체로 음주로 통해 깊은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즉 음주는 의사소통을 위한 하나의 매개체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수입은 높은 경우 의사소통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김과 김[5]도 경제적으로 좋은 조건인 경우 의사소통능력이 높다고 하였으며 송과 이[24]는 경력이 높은 경우 의사소통능력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수입은 경력이 높을수록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높은 경력은 조직에 대한 적응도와 응집력이 높아져 의사소통 또한 높아질 것이라 판단된다. 직무만족 평균은 3.09로 김 외[25]는 3.38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은 나이, 학력, 결혼 상태, 경력, 직원 수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p<.05). 나이는 많은 경우, 학력은 낮은 경우 직무만족이 높았으며 김 외[25]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미혼에 비해 직무만족이 높았으며 이는 이와 이[15]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나타냈다. 경력은 높은 경우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나 윤과 정[26]의 결과와 동일했다. 즉 나이가 많은 경우, 기혼, 높은 경력이 직무만족이 높은 것은 직무 기간이 오래되면 직무에 대한 적응도가 높아 자신감이 높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근무경력이 짧은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 교육과 더불어 직원들 간의 배려하는 직장 내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직원 수는 직원의 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다. 이와 이[10]도 직원 수가 많은 경우 직무만족이 높다고 하였다. 김 외[25]는 치과병원급이 치과의원급보다 직무만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즉 직원 수는 병원의 규모가 클수록 많을 것이며 직원 수가 많은 병원급 이상인 경우 직무만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직의도의 평균은 2.14로최 외[27]의 2.95보다 낮게 분석되었다.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는 학력, 결혼 상태, 음주, 직위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학력은 낮은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학력이 낮은 경우 직무만족이 높아 이직의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 하였으나 이직의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김 외[25]도 낮은 학력이 높은 직무만족, 높은 이직의도를 나타내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고하여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더욱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결혼산태는 기혼이 미혼에 비해 이직의도가 낮았다. 조와 문[22]은 미혼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기혼에 비해 높다고 보고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기혼이 이직의도도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음주는 하는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다. 전 외[28]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음주량이 높아짐을 보고한 바있다. 이직의도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직 의도가 높다는 것은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그로 인해 음주량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음주는 의사소통을 위한 매개체도 되지만 스트레스로 기인한 음주도 있어 음주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직위는 책임치과위생사보다 치과위새사인 경우 이직 의도가 높았다. 책임치과위생사는 일반적으로 경력이 일반 치과위생사에 비해 높으며 직무를 잘 파악하고 있 는 상태이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바 경력이 높은 경우 직무만족이 높은 것은 결과로 보아 경력이 높고 직무 파악이 잘 정립된 책임치과위생사가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는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은 양의 상관관계 (p<.05), 의사소통능력과 이직의도는 음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으며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도 음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 이는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이 높은 경우 이직의도가 낮은 것을 말한다. 치과의료기관이 이직율을 낮추고 위한 질 높은 환자진료를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치과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방안 모색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일반적인 특징, 근무 특성,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의사소통능력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음주집단(t=3.164 p=.002), 수입이 높은 집단(t=2.165, p=.0321). 의료기관이 병원급 이상 집단(t=2.201, p=.029), 직무만족 높은 집단((t=10.154, p=.001), 이직의도 낮은 집단 (t=-2.724, p=.007)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는 치과병의원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특성, 근무특성, 직무만족, 이직의도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함으로서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선정하였기에 다른 지역의 결과와는 차이점이 있을 것이며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각적인 변수들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더욱 심도 깊게 이루어져 본 연구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재확인 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S. R. Jeong and J. E. Jang, "The Correlation between Conflict Level within the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Vol.15, No.1, pp.38-45,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1.38
  2. A. R. Gwon and S. J. Ha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 No.6, pp.1009-1017,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6.1009
  3. S. H. Shim and Y. J. Seo, "Determinants of occup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13, pp.84-102, 2008.
  4. C. S. Lee, S. H. Lim, and J. H. Han, "The effect of the intramural marketing activities in dental hygienis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Vol.12, No.1, pp.15-22, 2012.
  5. S. J. Kim and H. H. Kim, "Impa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Abil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Vol.13, No.3, pp.304-313, 2013.
  6. M. J. Papa, "Communicati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Th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55, pp.87-101, 1989. https://doi.org/10.1080/10417948909372779
  7. H. S. Lee and H. J. Moon, "A Study of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9, No.2, pp.61-73, 2001.
  8. H. J. Ahn and S. Y. Lee,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its Relations to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31, No.2, pp.77-103, 2014.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2.77
  9. H. E. Cho and I. B. Mo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by the Optimism, Self-efficacy and Job Stresses of Dental Hygienis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0, No.4, pp.121-132, 2014. https://doi.org/10.22900/KPHR.2014.40.4.010
  10. M. L. Lee and H. C. Lee, "The effect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 No.2, pp.303-11,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303
  11. M. S. Yoon, K. H. Lee, and M. S. Choi,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Vol.6, No.3, pp.147-152, 2006.
  12. J. H. Park and S. K. Chung,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operation Society Vol.17, No.10, pp.236-244, 2016.
  13. H. J. Song and S. M. Lee,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 Korean Acad Nurs Adm, Vol.22, No.3, pp.220-229,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
  14. S. B. Jeong, E. M. Choi, and J. S. Choi,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8, No.1, pp.50-58, 2014. https://doi.org/10.11149/jkaoh.2014.38.1.50
  15. M. L. Lee and H. C. Lee, "The effect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 No.2, pp.303-311,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303
  16. B. H. Lee and J. S. Kim,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Dental Hygienis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 No.11, pp.217-227, 2018.
  17. K. H. Heo,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47, No.6, pp.380-408, 2003.
  18. S. E. Kim,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ing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Job Expertise, konkuk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2.
  19. R. P. Tett and J. P.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a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20. E. H. Seo and M. S. Lee,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J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7, No.3, pp.155-170, 2002.
  21. K. O. Park, "Nurses' Experience of Health Communication with Doctor in the Clinical Fields," J Korean Acad Nurs Adm, Vol.21, No.1, pp.53-63, 200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53
  22. H. E. Cho and I. B. Mo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by the Optimism, Self-efficacy and Job Stresses of Dental Hygienis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0, No.4, 121-132, 2014. https://doi.org/10.22900/KPHR.2014.40.4.010
  23. D. S. Kim, J. W. Lee, and S. I. Ahn, "A Moderating Effects of Alcohol Drinking Motives between Employee Alcohol Drink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hesion - Focus on Service Industry Employees,"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1, No.4, pp.1-22, 2014.
  24. H. J. Song and S. M. Lee,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 Korean Acad Nurs Adm, Vol.22, No.3, pp.220-229,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
  25. E. S. Kim, S. H. Yu, T. Y. Sohn, and E C. Park,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Vol.16, No.4, pp.1-16, 2011.
  26. Y. S. Yoon and Y. H. Jung,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s of Dental Hospital Manager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3, No.2, pp.51- 57, 2003.
  27. H. N. Choi, S. R. Lim, and Y. S. Cho,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Dental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0, No.6, pp.973-981, 2010.
  28. J. Y. Jun, D. Y. Oh, M. S. Koo, J. S. Lee, K. A. Cheon, W. S. Park, and S. A. Kim, "The Relationship o Alcohol Use and Stres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45, No.4, pp.343-34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