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ealth-related Community Facility Characteristics Typification and Relationship to Transaction Prices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특성 유형화 및 거래가격과의 관계

  • 최원준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22.07.01
  • Accepted : 2022.08.06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Recently,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have emerged as the most optional factor in the apartment market, and their level is becoming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each typ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centering on health-related community facilities in 126 domestic main apartment complexe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vided into a Pilates group, GX and Yoga group, Golf and Table Tennis practice range group, and overall low group. Among the four groups, Pilates, GX, and yoga group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Gangnam, Seocho and Songpa compared to complexes with many golf and table tennis practice ranges,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action price is also the highest.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hanges in the preference for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reflected when constructing community facilities, and that health-related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high preference for fitness facilities in youth housing.

최근 아파트 시장에서 가장 많은 선택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이며 그 수준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아파트 단지 300세대 이상, 126곳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을 중심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분석 결과 필라테스 집단, GX 및 요가집단, 골프 및 탁구연습장 집단, 전반적 저집단 총 4집단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4집단 중 필라테스 집단과 GX 및 요가집단은 골프 및 탁구연습장이 많은 단지에 비해 강남, 서초, 송파 등에 속할 가능성이 높음과 동시에 거래가격 역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커뮤니티 시설을 구성할 때 여가활동 선호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 청년주택 등에서의 피트니스 시설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감안하여 주거복지정책에서도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제공 계획을 깊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l. 서론

우리나라에서 아파트는 대표적인 주택 유형으로 2020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2.3%(2019년 기준)에 이른다[1][2]. 가격 상승률 측면에서도 변동성이 약했던 단독주택과는 달리 아파트는 전체 주택가격 상승률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이러한 아파트 가격의 영향력과 중요성을 감안했을 때, 아파트 가격 동향을 파악하고 아파트 가격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국민의 안정적인 주거생활 영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주택가격의 급등에는 저금리, 과잉 유동성, 공급 부족 등 복합적인 원인들이 혼재되어 있는데, 신규 아파트에의 높아진 선호도는 가격 상승을 견인하였다. 신규 아파트는 최신시설로 거주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커뮤니티 시설을 갖추고 있다. 커뮤니티 시설은 아파트 거주자만이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이외 지역 거주자에게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해당 아파트 거주자에게는 단지 내 소속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규 아파트 선호추세에 따라 커뮤니티 시설은 점차 다양화, 고급화, 다변화되고 있다. 서초구에 '그랑자이' 아파트의 경우 커뮤니티와 상업시설이 결합된 시설이 스트리트몰의 형태로 갖춰졌으며, 용산구에 위치한 '나인원 한남' 아파트의 경우 커뮤니티 외 단지 내 상업시설로 백화점의 식음료 브랜드가 입점되는 등 커뮤니티 시설의 범위와 가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다만 아파트 공급 경쟁에 따라 커뮤니티시설도 상업성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커뮤니티시설의 다양성과 수준에 의해 아파트 분양 가격이 좌우되는 상황도 나타나고 있고 공동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커뮤니티 시설들은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아파트의 커뮤니티 시설은 단지 규모세대 수에 따른 설치기준 면적기준에 따라 최소규모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3].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강남(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북(성동구), 부산(해운대구) 등의 커뮤니티 시설을 보유한 단지(300세대 이상)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특성이 아파트 가격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커뮤니티 시설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이 건강 및 운동 관련 시설이라는 점을 감안[4]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커뮤니티 시설 변수는 건강관련 커뮤니티 시설(사우나, 필라테스, 피트니스, 골프연습장, 체육관, 요가, GX, 탁구장 등총 8개)의 종류로 제한하였다. 더불어 단순히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전체적인 양적 수준을 측정하는 것 보다는, 국내 아파트 단지의 경우 어떠한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지, 어떠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접근이 중요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대상의 자료 값을 활용하여 유사한 값을 가지는 대상을 가지고 군집화 시킬 수 있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국내 아파트 단지의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유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유형을 활용하여 유형별 특성이나, 거래가격의 차이를 확인하여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설계에 대한 시사점 등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Ⅱ. 선행연구 고찰

1.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정의와 기능

커뮤니티 개념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지역 커뮤니티, 온라인상에서 형성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관점에서 브랜드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브랜드 커뮤니티 등 다양하다. 커뮤니티 의식은 소속감, 구성원 상호 간의 영향력, 공동의 욕구 해소를 위한 협력의식과 이에 대한 신뢰, 구성원들이 역사와 장소, 시간 및 경험을 현재 공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관계가 지속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McMilan Chavis(1986)는 커뮤니티는 인간 사이의 관계적 측면 뿐 아니라 공간적 개념도 존재하며, 공간은 커뮤니티가 발현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5]라고 정의 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고, 단지의 특성화 및 건설사의 마케팅과 맞물려 커뮤니티 시설이 발전하게 되었다. 아파트 입주자의 복리증진을 위해 복리시설, 주민공동시설, 주민운동시설로 이루어져 있는데 스포츠, 운동 시설은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시설의 가장 중요한 일부분으로 만들어져 있고 최근에는 학원, 연회장 등 부대 복리시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어린이 놀이터, 노인정, 중앙광장, 휴게공간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분류하고, 실내외 운동 공간 및 산책로도 커뮤니티 범주에 추가할 수 있다. 2008년 이후 입주한 대단지 아파트는 체육시설 및 연회장, 사우나, 운동, 교육 등 다양한 시설을 단지내 공용시설로 추가하고 있다.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지역사회의 공동체적 성격으로인해 커뮤니티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주거의 이동성이 높고 재개발, 재건축등의 정비사업 방식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자연 발생적으로는 형성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주거환경에서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새로운 주거환경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표 1. 대표적인 커뮤니티 시설의 종류

자료: 국가법령정보시스템

2. 선행연구 분스

아파트 소유 형태 상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분석으로 김병길 김기수(2018)는 분양아파트와 임대아파트의 커뮤니티 부대 복리시설의 선호도 설문조사를 통해 임대아파트보다 분양아파트의 입주민의 시설 만족도가 높고 이를 통해 임대아파트도 분양아파트 수준의 커뮤니티 시설확대와 운영 프로그램 미비에 따른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다[6]. 그리고 커뮤니티 시설 중 건강 및 문화 관련 부대시설에 관한 연구로 이진원·모정현(2021)은 피트니스와, 사우나, GX가 가장 많은 이용률에 따른 선호도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운동, 휴게 시설이 주민 만족도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시설이라 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시설 및 운영에 있어 보완점을 제시하였는데 입주민 동선을 배려한 구성과 혼잡도를 감안한 프로그램 배치 등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7].

커뮤니티 시설과 가격에 미치는 변수들에 관한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특정한 단지 시설 및 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로 성낙원 이용만(2020)은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중 스포츠시설의 면적의 규모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선형모형보다 반로그모형이 더 우수한 설명력이 있었고 결과 스포츠시설의 면적이 커지면 가격도 상승되나 일정규모를 넘어서면 하락하는 것으로 설명했다[8].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에 관한 정량적 연구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가치 및 거주자 의식 수준에 관한 연구가 있는데 조주현 김선곤(2005)은 스포츠 시설의 커뮤니티 시설 내 잠재적 가격 가치를 최초로 측정[9]하였다. 측정 부분에 있어 개선할 점은 연구 모수 대상이 29개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에 한정 되어 있었고 단지의 커뮤니티 시설 내 스포츠 시설의 규모와 세대 수 차이를 고려하고 있지 않은 점이 있었다.

아파트 커뮤니티에 관한 정성적 의식 연구로 이태경·강혜경(2014)은 아파트에서 거주자가 가지는 커뮤니티 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지속 가능한 아파트 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을 커뮤니티 의식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정주공간으로서의 아파트 주거 공간 조성방안 모색에 기여해야 한다고 하였다[10].

김태균·최민섭(2018)은 아파트 커뮤니티가 주거만족도 및 지속적인 거주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KMO 검정과 Barlett 구형성 검정을 하였다. 또한 운동시설의 주거만족도 보다 비운동시설의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 바 주거 안정성을 위한 시설과 무형의 편의시설의 가치가 매우 중요해 지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11].

차성미 외 2인(2014)은 아파트단지의 커뮤니티 시설이 단순한 물리적 지원시설로서의 역할을 넘어 이웃 간의 교류를 활성화 시키고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기성주거지와의 연계를 고려한 지역차원의 커뮤니티 시설 계획이 요구[12]된다고 하였다. 안종훈(2014)은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용현황 및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거주자의 커뮤니티 센터 내 다양한 시설에서의 이용 선호도 및 만족도를 통한 거주 후 평가를 통해 이후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시설 계획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13]이 있다고 하였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관리에 관한 연구로 김채리 김석경(2021)은 서울, 경기지역에 11개 단지를 설문조사 하여 입주민들의 방역인식과 운영주체의 적극적인 통제 의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고 이로 인한 주민들의 커뮤니티 시설 이용도와 만족도가 큰 편차가 난다고 하였다. 현재 단지별로 다른 방역 상황에서 국가 방역당국의 주민 커뮤니티 시설의 분명한 방역 지침 또한 제정 할 필요가 있다 하였다[14].

독립 변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로 홍하연 이주형(2015)은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 단지요인, 환경요인, 시설요인, 교육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영향력의 분포는 공간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이동하며 특히, 변수의 영향력은 인접 지역으로 이동 혹은 확대되는 패턴을 볼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이나 단지에서의 건축행위는 인접 지역에 공간적인 영향[15]을 준다고 하였다. 이경숙 외 2인(2019)은 거주층이 높아질수록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다가 일정층수를 초과하면 하락추세로 내용의 실증분석을 통해 지역 특성과 층수에 따른 가격변동을 분석[16]하였다. 정원구 이상엽(2007)은 인공신경망 이론을 적용하여 강 남지역, 강북지역의 실험 시 강북지역의 예측력은 상대적으로 강남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급격한 가격변동의 예측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설명[17]하였다. 강요명 서정렬(2020)은 브랜드 아파트가 가진 입지, 브랜드, 소비자 선호도의 차이 따라 가격적 요소와 비 가격적 요소가 가격에 반영 되어 동일 지역 내에서도 브랜드 아파트의 가격이 높음을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유의미성을 설명하였다 [18].

이렇듯 대부분의 연구에서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격 사이트[19] 개설 이후 아파트 가격에 관련한 다양한 요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주로 헤도닉모형을 이용하여 정(+), 부(-)의 영향을 판별하는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고 이러한 원인에 있어 주로 교육시설 접근성 여부, 지하철 및 고속철도 역 접근성 여부, 대규모 쇼핑센터 접근 여부, 도시기반 시설 접근성 여부, 공원의 접근성 여부, 한강 및 호수뷰 가능여부, 조망권 가능 여부 등 물리적 요건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가장 최근 연구로 아파트의 개방형 평면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헤도닉 모형과 인공 신경망 이론을 적용 하여 분석한 연구[20]가 있었는데 그것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변수들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일종의 선호도가 변하고 시기적 특성에 따라 등락한다는 결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 선호도 및 가격 특성에 있어 매우 밀접한 영향을 지니는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과 아파트 가격 영향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제로 건강관련 커뮤니티 시설 항목을 많이 보유한 아파트 단지와 그중에서도 선호되는 커뮤니티 시설의 우선순위 비교를 통해 각 지역별로 커뮤니티 가치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동시에 최근 주택 시장의 트렌드인 지역별로 차별화 되고있는 강남, 강북의 가격 차이에 있어 커뮤니티 시설 요인과 지방 대도시의 사례도 동시에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그것의 가치 판단 기준에 있어 단지별 고급화에 따른 건강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수준의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설정했고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은 결국 설치 우선순위 따라 가격 차이를 나타낸다는 이러한 차별성을 가지고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파트 커뮤니티에 관한 선호도 및 의식조사 차원의 기존 선행 연구를 보다 더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이 미치는 가격 상관관계 연구로 심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Ⅲ. 실증분석 모형 및 변수측정

1. 자료 및 변수측정

연구 대상지역은 우리나라 아파트 시장을 대표하는 서울과 부산으로 한정하였으며, 특히 서울의 경우 강남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북(성동구), 부산(해운대구)로 한정하였다. 아파트는 준공 입주 13년 이내, 총 300 세대 이상 단지로 한정하고, 최종적으로 126개 단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2008년 이후 기존 입주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아파트 단지에 커뮤니티에 대한 정의와 도입이 2008년 전 후로 나뉘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는 대규모 신축 아파트에 주민들을 위한 일반적인 공용 부대시설이 대부분 관리사무소, 노인정, 독서실 등에 국한되었다. 따라서 2008년이전 아파트 단지의 커뮤니티 시설이 대부분 부재하며 커뮤니티 시설 항목 적용이 되지 않아 가격 상승률의 변화에 있어서도 기존 아파트와 동일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2008년부터 2020년 말까지 입주 아파트 단지를 대상[21]으로 구분하여 연구 집단을 한정 하였다.

2008년 준공된 반포동의 GS건설의 '반포자이' 아파트, 2009년 삼성물산의 '반포래미안'의 준공을 시작으로 아파트의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소개되면서 증가하기 시작[22]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강남과 강북의 대표적으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자치구 내 아파트 단지의 표본을 조사하였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가 대규모입주 세대수와 거래량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이고 부산 해운대는 지방 지역과의 특성을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기준이 되는 아파트 단지의 평형은 전용면적 84m이며 변수 선정에 있어서 종속변수는 아파트 가격으로 KB 리브온[23] 사이트에서 2018년~2020년 기간의 평균값을 추출하였는데 그 시기가 3년간의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에 있어 상승폭이 큰 시기였고 그전인 2008년~2017년은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작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시설을 포함한 커뮤니티 아파트 단지의 구성은 아파트 분양가의 상승과 분양 사업성에 연동되었기 때문에 부동산 침체기였던 2008년~2017년에 준공된 아파트 단지 보다 부동산의 상승기였던 2018년~2020 년의 사이에 준공되어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반영한 아파트들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기간을 한정한 이유가 있다. 주요 커뮤니티 시설이 최소 5개 이상 포함한 아파트 단지들은 분양 활성화 시기인 2016년 이후에 서울 강남권 및 부산 해운대 지역 아파트들을 중심으로 기존에 준공되었고 향후 준공 예정인 아파트 단지들의 표본이 많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건강 관련 커뮤니티 항목은 사우나, 피트니스, 필라테스, 골프연습장, 생활체육관, 탁구장, GX, 요가 등 총 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거래가격 외에도 관련이 있을 만한 변수로 세대수, 그리고 아파트 건설사 시공능력평가에서 10위권 안에 드는 아파트인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으로 한 더미변수를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2.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특성을 유형화하고, 해당 유형의 기본적인 특성, 그리고 거래가격의 차이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SPSS 25ver,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주요변수의 기본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유형을 도출한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집단 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AIC, BIC, SSABIC는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록, Entropy는 1에 가까울수록, LMR-LRT의 유의 확률이 0.05 미만일 경우 등의 조건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였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유형에 따른 거래가격 수준의 차이, 시공능력평가 수준 및 세대수 차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IV. 실증분석 결과

1. 분석대상의 기본적

본 연구의 분석대상의 기본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2]와 같다. 요가의 경우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고, 피트니스 시설은 80% 이상의 단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대수 평균은 1,012.74, 2020년도 거래가격은 157.528.40(만원)으로 분석되었다. 가격 변수의 경우 대부분 정규분포 문제가 있어 로그를 취하는 등의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지만, 3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를 분석대상으로 한정하여 왜도 .467~, 첨도-.348의 범위를 보여 가격 변수를 그대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2. 분석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잠재프로파일부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은 비슷한 자료 값을 가진 분석대상끼리 군집화 시켜주는 분석으로 2집단, 3집단, 4집단순으로 구분해가며 가장 적합도가 좋은 집단 수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AIC, BIC, SSABIC는 낮을수록, Entropy는 1에 가까울수록, LMR-LRT는 유의할 경우 가장 좋은 모형으로 간주되는데, 4집단 구분 모형의 경우 SSABIC는 가장 낮고, Entropy는 1에 가장 가까우며 LMR-LRT값 역이 유의하여 전반적인 적합도지수를 고려했을 때 가장 양호한 집단 구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집단 유형의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점수를 시각화한 결과는 아래 [그림 1]과 같다. 먼저1집단의 경우 사우나, 피트니스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고수준을 지니며, 특히 필라테스 시설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단지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20개 단지로 구성되어 있는 이 1집단은 필라테스 고집단으로 명명하였다. 2집단의 경우 필라테스 시설은 1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사우나, 피트니스, 골프연습장 등은 1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고, GX와 요가 시설을 가장 높게 확보하고 있는 단지로 나타났다.

총 12개 단지로 구성되어 있는 2집단은 GX 및 요가고집단으로 명명하였다. 3집단은 골프연습장과 탁구장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보였고 총 51개 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프 및 탁구연습장 고집단으로 명명하였다. 4집단의 경우 43개 단지로 구성되었고, 전반적으로 시설 보유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 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표 3. 잠재프로파일 분석 모형적합도

그림 1.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유형화

3. 유형에 따른 기본적특성 차이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유형에 따른 기본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일원배치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군 시공여부와 지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열별 비율 비교분석을 통해 결과를 살펴보면 1군 시공의 경우 필라테스집단>GX 및 요가집단>골프 및 탁구연습장집단>전반적 저집단순으로 확인되었다. 즉, 1집단에서 4집단으로 갈수록 1 군 시공일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경우 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필라테스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성동은 GX 및 요가집단, 부산은 골프 및 탁구연습장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1군 시공사이거나 강남, 서초, 송파 등 상대적으로 거래가격이 높은 집단의 경우 필라테스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전반적 저집단에 속하는 단지 역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세대수는 단지의 규모를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이지만 본 분석에서 집단에 따른 세대 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1.317, p=.272).

표 4. 교차분석

*p<.05, **p<.01, *** p<.001

4. 유형에 따른 거래가격 차이

유형에 따른 거래가격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72, p<.001),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필라테스 집단과 GX 및 요가집단의 거래가격 차이는 없었으나, 필라테스 집단이 골프 및 탁구연습장집단 및 전반적 저집단에 비해 거래가격이 높았고, GX 및 요가집단 역시 전반적 저집단에 비해 거래가격이 높았다.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지역을 더미 변환하여 통제한 후 분석을 할 수 있는 공분산분석(ANCOVA)에서도 여전히 유의함을 확인하였다(F=18.115, p<.001).

표 5. 거래가격의 차이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는 아직 다뤄지지 않은 개별 신규 입주 아파트 단지의 건강 관련 커뮤니티 환경 특성을 유형화 하고, 이에 따른 지역별 가격 추이를 분석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내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은 전반적 점수가 높으면서 필라테스 시설이 유독 많은 1집단, 1집단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면서 필라테스 보다는 GX와 요가시설이 많은 2집단, 골프 및 탁구연습장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3집단, 전반적으로 커뮤니티 시설이 부족한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전반적 저집단의 경우 34% 수준에 그쳐 과거에 비해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이 아파트단지에서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고급화 여부를 시사하는 1군 시공사부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필라테스 집단과 GX 및 요가집단일 경우 1군 시공일 가능성이 더 높았고, 지역에 따른 차이에서는 서초, 송파, 강남의 경우 역시 필라테스와 GX 및 요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집단에 따른 세대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뮤니티 시설 유형이 꼭 단지의 규모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 하는 결과이다. 거래가격의 경우 전반적 저집단이 가장 낮은 가격을 보이는 것은 예상되는 결과인 반면, 골프 및 탁구 연습장의 비중이 높은 단지보다는 필라테스, GX 및 요가시설이 많이 확보되어 있는 단지일 경우 거래가격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를 통해 골프나 탁구연습장 같은 시설 보다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유행하게 된 필라테스나 GX 및 요가 등의 시설선호가 반영되는 것이므로, 커뮤니티 시설 역시 선호도의 변화 흐름을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 중 피트니스 가장 많이 선호되는 것이 피트니스 시설이라는 점에서 그 안에서도 어떠한 건강 관련 커뮤니티 시설 유형에 따라 단지의 고급화, 매매 가격 등이 결정되는지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최근 청년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24] 피트니스 시설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아파트 단지의 가격경쟁력차원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서도 피트니스 시설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주거복지 측면에서도 양질의 커뮤니티 시설 제공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를 분양하는 시행사 및 건설사는 반드시 커뮤니티의 운동관련 시설 선정에 앞서 결과로 도출된 건강 관련 한 4가지 집단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시설을 구성할 수 있는 근거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금번 연구는 기존에 커뮤니티 시설의 일반적인 시설현황에 따른 선호도 연구에 더하여 건강과 관련한 커뮤니티 시설의 현황에 따른 주요 서울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와 강북의 성동구, 부산 해운대구의 거래 가격 추이까지 볼 수 있어 추후 비즈니스적으로 입주민이 선호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와 효율적인 세부설계,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까지 고려할 수 있는 기회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학문적 관점에서 일원배치분산분석과 공분산분석을 활용하여 가격과 우선집단의 유의함을 차례대로 확인했고 추후 지역과 변수를 확대한 연구에서도 이 부분이 활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표본 수집동일시기 내 서울 전 지역의 신규 입주 단지의 커뮤니티 시설 항목을 조사하지 못한 점, 가격 상승률에 있어 기간을 더 확대하여 살펴보지 못한 점, 지방 6대 대도시로 확대하여 신규 입주 아파트의 커뮤니티 항목과 가격 상승률의 데이터를 비교하지 못한 점, 주택시장에서 가격을 결정짓는 더 다양한 하위특성들을 고려하지 못한 점, 아파트 규모의 왜곡 효과 등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 점 등의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82874407
  2.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Census), 인구세대수 조사, https://www.census.go.kr/dat/ysr/ysrList.do?q_menu=6&q_sub=3,
  3. www.law.go.kr/874662 "국가법령정보시스템"
  4. 김채리, 김석경,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실내운동시설을 중심으로,"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제2호, pp.351-354, 2020.
  5. D. W. McMillan and 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p.22-23, 1986.
  6. 김병길, 김기수, "부대복리시설(커뮤니티시설)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8권, 제1호, pp.221-224, 2018.
  7. 이진원, 모정현, "아파트 커뮤니티 건강.문화시설 이용 현황 및 만족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제30권, 제6호, pp.49-51, 2021.
  8. 성낙원, 이용만, "아파트 커뮤니티시설과 스포츠 시설의 잠재적 가치 추정," 부동산연구, 제20집, 제1호, pp.25-27, 2020.
  9. 조주현, 김선곤, "주상복합아파트의 가격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0권, 제3호, pp.82-86, 2005.
  10. 이태경, 강혜경, "고층고밀 아파트단지 거주자의 커뮤니티 의식 구성특성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3권, 제2호, pp.87-89, 2014. https://doi.org/10.21195/JIDR.2014.13.2.008
  11. 김태균, 최민섭, "아파트 커뮤니티가 주거만족도 및 지속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제16권, 제3호, pp.249-250, 2018.
  12. 차성미, 이정형, 김지엽,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관점에서 아파트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 현황과 한계: 서울 강남구 역삼2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15권, pp.151-152, 2014.
  13. 안종훈, 아파트 단지 내 대형커뮤니티 시설의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 반포 재개발지구 아파트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5-58, 2014.
  14. 김채리, 김석경,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내 실내운동시설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32권, 제5호, pp.16-18, 2021.
  15. 홍하연, 이주형,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시공간적 영향력 변화 연구: 서울시 25개 구를 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6권, 제2호, pp.87-89, 2015. https://doi.org/10.23129/SEOULS.16.2.201506.87
  16. 이경숙, 박세운, 정태윤, "거주층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간.시간모형 분석," 주택연구, 제27권, 제2호, pp.9-11, 2019.
  17. 정원구, 이상엽,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가격지수 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제15권, 제3호, pp.39-42, 2007.
  18. 강요명, 서정렬, "아파트 가격에서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연구, 제2권, 제1호, pp.99-101, 2020.
  19.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rt.molit.go.kr
  20. 배상영, 이상엽, "단위세대의 개방형 평면구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연구, 제27집, 제1호, pp.28-30, 2017.
  21. 빅데이타(부동산 지인), 신규입주아파트 조사, http://www.aptgin.com
  22.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8112643611
  23. KB (리브온), 아파트 가격 조사, https://kbland.
  24. 이장원, 최정민, "역세권 청년주택 커뮤니티시설의 운영 현황 및 선호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호, 제2호, pp.309-312,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