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and Interpretation of Health Care Laws Based on Civil Law

보건의료관련 법령의 동의에 관한 민법적 검토

  • 이재경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2.12.14
  • Accepted : 2022.12.2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In this article, 「Act o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Organs Transplant Act」, 「Safety And Management Of Human Tissue Act」, 「Pharmaceutical Affairs Act」, 「Prevention Of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ct」, 「Tuberculosis Prevention Act」,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were reviewed.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consent in these laws are related to civil law. even 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civil law in relation to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consent. In order to consistently operate medical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ivil law decision-making.

본 글에서는 보건의료관련 법령 중 「연명의료결정법」, 「정신건강복지법」, 「장기이식법」, 「인체조직법」, 「약사법」, 「에이즈예방법」, 「결핵예방법」, 「감염병예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들 법률에 민법적 사고가 필요한 부분은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동의에 관한 부분이다. 그리고 환자가족을 통한 의사결정이 환자의 의사결정을 대행하는 것인지 환자가족이 환자를 위하여 고유의 권한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것인지와 관련하여 성년후견제도에서 후견인의 동의대행과 비교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보건의료관련 법령은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그 실현을 위한 동의대행의 문제에서 민법과 깊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개 법률의 관련 규정은 민법의 동의에 관한 원칙이나 성년후견제도와 별개로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건의료관련법령의 일차적 목적이 환자의 자기결정권 실현에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의료관련 행정이 통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민법의 의사결정 및 그 대행에 관한 원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 「의료법학」 제20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9.
  2. 김용덕 편, 「주석 민법 [민법총칙]」, 한국사법행정학회, 2019.
  3. 김천수, "성년후견과 의료행위의 결정", 「가족법연구」 제21권 2호, 한국가족법학회, 2007.
  4. 김천수,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성균관법학」 제31권 4호, 2019.
  5. 김천수, 「진료에 대한 설명과 동의의 법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9.
  6.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가족법연구」 제24권 2호, 2010.
  7. 박형욱,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저스티스」 통권 제158-3호, 한국법학원, 2017.
  8. 방재호, "정신질환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자책임-책임주체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의생명과학과 법」 제20권, 2018.
  9. 안병하,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환자 인격권의 관점에서-", 「민사법학」 제84호, 2018.
  10. 오병철, "민법의 시각에서 바라본 개인정보 보호법의 의의와 과제", 「연세법학」 제39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11. 윤석찬, "의료행위에 대한 미성년자의 동의능력에 관한 고찰", 「법학논총」 제28집 1호, 전남대학교법률행정연구소, 2008.
  12. 이석배, "인간의 존엄, 생명권 그리고 연명의료", 「형사법연구」 제31권 3호, 형사법학회, 2019.
  13. 이재경, "성년책임무능력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자책임", 「동아법학」 제83호, 2019.
  14. 이재경, "성년후견제도에 있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와 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가족법연구」 제26권 3호, 한국가족법학회, 2012.
  15. 이재경, "의료분야에서 성년후견제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제21권 3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16. 이재경, "정신질환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구 정신보건법상 보호의무자의 감독자책임 -대법원 2021. 7. 29. 선고 2018다228486 판결-", 「법학연구」 통권 제69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17. 이재경,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환자의 동의능력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민사법학」 제50호, 한국민사법학회, 2010.
  18. 제철웅, "성년후견인의 민법 제755조의 책임-그 정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조」 통권 제670호, 2012.
  19. 주호노,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6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8.
  20. 최성경, "성년책임무능력자의 감독자의 책임", 「아주법학」 제11권 1호, 2017.
  21. 현소혜,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홍익법학」 제13권 2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