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데이터 정규화를 위한 쌀 음식의 건물중 기반 영양 편차 고찰

A Study on Dry Weight-Based Nutritional Deviations in Rice Foods for Normalization of Food Data

  • 김상철 (전북대학교 지능로봇연구소) ;
  • 이운용 ((주)지능로봇스튜디오) ;
  • 박우풍 ((주)지능로봇스튜디오) ;
  • 윤기오 ((주)지능로봇스튜디오) ;
  • 김종린 ((주)지능로봇스튜디오)
  • 투고 : 2022.06.29
  • 심사 : 2022.08.09
  • 발행 : 2022.08.31

초록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고, 식품명이나 음식명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중량에서 식품의 영양성분이 편차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 원인은 조리 방법과 조리 공정에 따른 음식의 수분함량과 깊은 관계가 있다. 개인의 건강 맞춤형 식단을 설계하고, 정확한 열량과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조리 공정이나 조리 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음식 데이터의 표시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식자재나 식품이 함수율의 차이로 인해 다른 식자재나 식품으로 분류됨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복잡성과 활용측면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건물중(乾物重) 기반의 식품 데이터 표시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식품재료로서 쌀의 특징과 쌀을 재료로 한 다양한 쌀 가공 식품의 물성에 대하여 수분의 변화에 따른 주요 영양성분의 변화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식품 데이터를 정규화 하기 위한 예시로서 쌀의 건물중 기반 영양 표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재료로 가공된 32종의 쌀 가공 식품 데이터는 수분 분포에 있어 1.1~95%, 에너지량은 20~415kcal, 단백질은 0.3~9.1g, 지질은 0.1~3.9g, 탄수화물은 4.4~91.0g의 범위로 매우 넓은 영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영향을 제거하고 고형물로 환산한 쌀가공 식품의 100g 당 영양성분은 에너지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376.9~421.1kcal, 단백질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4.3~12.6g, 지질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0.1~4.1g, 탄수화물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는 80.5~95.1g 로 나타났다. 수분 중량을 포함한 음식의 영양성분 데이터에 비해 최대값과 최소값, 데이터의 표준편차가 90%이상 감소하고, 정규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Korea, where rice is the staple foo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food is different at the same weight, even though the same ingredients are used and the food or food name is the same. The cause is closely related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cooking process. In order to design a diet tailored to individual health and supply accurate calories and nutrients, a method of expressing food data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ooking process or cooking method is required. Usually, the same ingredients or foods show a lot of deviation from the nutritional components presented in the standard food database due to the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For this reason, there are problems that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food ingredient database and the difficulty in using it. As a method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would like to propose a food data expression method based on dry weight. As an example of this, the characteristics of rice as a food material and changes i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moisture of various rice-processed foods made from rice were considered.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how to normalize food data through this, the dry weight-based nutrition label of rice was presented.

키워드

과제정보

본 결과물은 전북대학교 지능형로봇연구소의 지원과 농촌진흥청의 재원으로 빅데이터 기반 농식품성분 DB 구축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과제명: 맞춤형 농식품정보 제공을 위한 농식품 DB 활용 고도화 연구)

참고문헌

  1. 김황준, "진동가속도 분석시스템에서 고속푸리에변환을 이용한 기준진동수의 검출 및 감쇠인식,"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2호, 16-20쪽, 2019년 06월
  2. 농촌진흥청, "제9개정판 국가표준식품성분표 I",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40-42쪽, 2021
  3. 이준수, "국가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생산연구 최종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156-270쪽, 2016년 11월
  4. 이중근, "식자재 표준화를 통한 산업화 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2-43쪽, 2004년 6월
  5. 이태석, 강승식, "LSTM 기반의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한글 자동 띄어쓰기,"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4호, 17-23쪽, 2018년
  6. 천성길, 이주홍, 최범기, 송재원, "대규모 외생 변수 및 Deep Neural Network 기반 금융 시장 예측 및 성능 향상,"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4호, 26-35쪽, 2020년 12월
  7.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쌀가공 식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34-50쪽, 2021년 1월
  8. Bordoni A, Capozzi F. "Foodomics for healthy nutrition," Curr Opin Clin NutriMetab Care, Vol . 17, No. 5, pp. 418-424, Sep. 2014. https://doi.org/10.1097/MCO.0000000000000089
  9. Chen, J. Bertrand, S. Galy, O. Raubenheimer, D. Allman-Farinelli, M. Caillaud, C.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Food Composition Database for an Electronic Tool to Assess Food Intake in New Caledonian Families," Nutrients, Vol. 13, No. 5, May, 2021.
  10. Francesco Vitali., Rosario Lombardo., Damariz Rivero., et al. "An ontology for a standardized description of interventions and observational studies in nutrition," Genes & Nutrition Vol. 13, No. 12, Apr. 2018.
  11.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2020 Processed Food Segment Market Status Report: Rice Processed Food.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pp. 17-25, 2021.
  12. Leaf A. Weber P.C. "A new era for science in nutrition," Am J Clin Nutr. Vol. 45, pp. 1048-1053. May, 1987. https://doi.org/10.1093/ajcn/45.5.1048
  13. Wahlqvist ML. The new nutrition scienc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Public Health Nutr, Vol. 8, Sep. 2005.
  1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mplementation plan to foster rice processing industry and promote rice use in FY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3-15, 2021.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Standard Food Ingredient Database 9.3, Agri-food All-baro (koreanfood.rda.go.kr). 2021.
  16. Serra-Majem L, MacLean D, Ribas L, Brule D, Sekula W, Prattala R,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 data from national, household, and individual levels: results from a WHO-CINDI collaborative project in Canada, Finland, Poland, and Spai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 57, No. 1, pp.74-80, 2003. https://doi.org/10.1136/jech.57.1.74
  17. Susan E. Gebhardt and Robin G. Thomas. Nutritive Value of Foods, USA ARS, pp. 3-8, Nov.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