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Pursuit Benefits in Clothing Materials in the Intent to Purchase Natural Dyeing Produc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toward Natural Dyeing Products

의류소재 추구혜택이 천연염색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천연염색제품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Shin, Kyung Ha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신경하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2.07.20
  • Accepted : 2022.08.08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pursuit benefits in clothing materials, the attitude toward natural dyeing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 among consumers interested in natural dyeing products. For this study, 489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60s were surveyed,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pursuit benefits in clothing materials, function and originality factor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 of natural dyeing products. Second, of the pursuit benefit of clothing materials, functions, sustainability, and original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mpacte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ttitude toward natural dyeing products. Thir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ttitude toward natural dyeing produc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ly impacted the purchase inte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benefits in clothing materials and the purchase intent of natural dyeing product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ttitudes toward natural dyeing products were shown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현. (2015). 천연염색. 광주: 선.비젼.
  2. 김유정. (2012). 소비자 태도와 포지셔닝을 통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주현. (2020). 팔로워의 패션의견선도력에 따른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관계몰입, 구매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 김호석. (2011). 친환경식품 선택동기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남미우, 정재만. (2007). 의복 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천연 염색 의류제품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7), 105-117.
  6. 박자명, 신혜원. (2014). 중고등학생의 업사이클링 인지와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따른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6, 89-99.
  7. 박현희, 추태귀. (2015).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의 지각된 위험 차원과 신뢰,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의 영향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2), 216-226. https://doi.org/10.5805/SFTI.2015.17.2.216
  8. 신계남, 전병익, 유흥식. (2016). 천연염색의 새로운 기법. 서울: 도서출판 함께가는길.
  9. 오미현, 김일. (2014).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1), 101-120.
  10. 유혜진. (2013). TV홈쇼핑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의 특성 인식이 제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두희. (2002). 광고론: 통합적 광고. 서울: 박영사.
  12. 이봉철. (2014). 골프연습장 시설디자인이 소비자 태도와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원권. (2015). 기능성 증진을 위한 한방약재와 천연염료의 복합염색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정임. (2010).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유형별 인지적 적합성이 추천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지연. (2003). 천연염색을 이용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12). 소비자 행동(제5판). 서울: 법문사.
  17. 이학식. (201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18. 이화인. (2014). 서비스고객의 심리와 행동. 서울: 기문사.
  19. 임현정. (2014). 경험적 소비특성이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 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재만. (2008). 소비자의 천연염색 선호도와 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 농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서연. (2016).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건강기능 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영양지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최수경. (2014). 의복추구혜택이 인터넷 쇼핑태도와 구매정보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615-627.
  23. 최종명, 김숙현. (2014). 한미 여대생의 의류소재 추구혜택과 천연염색 태도가 천연염색 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복식문화연구, 22(2), 183-197. https://doi.org/10.29049/RJCC.2014.22.2.183
  24. 홍경희, 최인려. (2009). 노년층 소비자의 기능성 소재 추구 혜택, 태도 및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1), 149-159. https://doi.org/10.29049/RJCC.2009.17.1.149
  25. 홍병숙, 이은지, 박성희. (2010). 친환경 유.아동 속옷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의복추구혜택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4(4), 686-696.
  26. 홍세희, 정송. (2014).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21(4), 1-24.
  27. 홍영민, 김용주. (2014). 업사이클 (Upcycle) 패션상품에 대한 한국 대학생소비자의 태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 207-218.
  28. 홍희숙, 고애란. (1996). 상황과 소비자 특성의 추구혜택과 선호 브랜드 유형에 대한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738-752.
  29. 홍희숙, 홍병숙. (2008). 천연염색 의류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과 혜택-천연염색 제품지식에 따른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32(9), 1343-1355.
  30.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31.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32.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33. FITI. (2017). SPS쪽 추출 천연색소 시험방법 (SPS-FITITM 0009-718:2017).
  34. Gutman, J. (1982).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46(2), 60-78. https://doi.org/10.1177/002224298204600207
  35. Haley, R. I. (1968). Benefit segmentation: A decision-oriented research tool. Journal of Marketing, 32(3), 30-35. https://doi.org/10.1177/002224296803200306
  36.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IL: Irwin Inc.
  37. Peter, J. P., & Olson, J. C.(200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8th ed.). New York: Mc Grew-Hill.
  38. Shim, S. Y.,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s of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2), 1-12. https://doi.org/10.1177/0887302X9401200201
  39. Siegrist, M., Cvetkovich, G., & Roth, C. (2000). Salient value similarity, social trust and knowledge. Risk Analysis, 20(5), 713-719. https://doi.org/10.1111/0272-4332.205064
  40. Solomon, M. R. (2016).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12th ed.) London, UK: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