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성현. (2015). 천연염색. 광주: 선.비젼.
- 김유정. (2012). 소비자 태도와 포지셔닝을 통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주현. (2020). 팔로워의 패션의견선도력에 따른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관계몰입, 구매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김호석. (2011). 친환경식품 선택동기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미우, 정재만. (2007). 의복 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천연 염색 의류제품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7), 105-117.
- 박자명, 신혜원. (2014). 중고등학생의 업사이클링 인지와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따른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6, 89-99.
- 박현희, 추태귀. (2015).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의 지각된 위험 차원과 신뢰,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의 영향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2), 216-226. https://doi.org/10.5805/SFTI.2015.17.2.216
- 신계남, 전병익, 유흥식. (2016). 천연염색의 새로운 기법. 서울: 도서출판 함께가는길.
- 오미현, 김일. (2014).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1), 101-120.
- 유혜진. (2013). TV홈쇼핑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의 특성 인식이 제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두희. (2002). 광고론: 통합적 광고. 서울: 박영사.
- 이봉철. (2014). 골프연습장 시설디자인이 소비자 태도와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원권. (2015). 기능성 증진을 위한 한방약재와 천연염료의 복합염색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임. (2010).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유형별 인지적 적합성이 추천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지연. (2003). 천연염색을 이용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12). 소비자 행동(제5판). 서울: 법문사.
- 이학식. (201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 이화인. (2014). 서비스고객의 심리와 행동. 서울: 기문사.
- 임현정. (2014). 경험적 소비특성이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 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재만. (2008). 소비자의 천연염색 선호도와 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 농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서연. (2016).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건강기능 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영양지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수경. (2014). 의복추구혜택이 인터넷 쇼핑태도와 구매정보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615-627.
- 최종명, 김숙현. (2014). 한미 여대생의 의류소재 추구혜택과 천연염색 태도가 천연염색 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복식문화연구, 22(2), 183-197. https://doi.org/10.29049/RJCC.2014.22.2.183
- 홍경희, 최인려. (2009). 노년층 소비자의 기능성 소재 추구 혜택, 태도 및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7(1), 149-159. https://doi.org/10.29049/RJCC.2009.17.1.149
- 홍병숙, 이은지, 박성희. (2010). 친환경 유.아동 속옷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의복추구혜택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4(4), 686-696.
- 홍세희, 정송. (2014).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21(4), 1-24.
- 홍영민, 김용주. (2014). 업사이클 (Upcycle) 패션상품에 대한 한국 대학생소비자의 태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 207-218.
- 홍희숙, 고애란. (1996). 상황과 소비자 특성의 추구혜택과 선호 브랜드 유형에 대한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738-752.
- 홍희숙, 홍병숙. (2008). 천연염색 의류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과 혜택-천연염색 제품지식에 따른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32(9), 1343-1355.
-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73-84.
-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 FITI. (2017). SPS쪽 추출 천연색소 시험방법 (SPS-FITITM 0009-718:2017).
- Gutman, J. (1982).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46(2), 60-78. https://doi.org/10.1177/002224298204600207
- Haley, R. I. (1968). Benefit segmentation: A decision-oriented research tool. Journal of Marketing, 32(3), 30-35. https://doi.org/10.1177/002224296803200306
-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IL: Irwin Inc.
- Peter, J. P., & Olson, J. C.(200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8th ed.). New York: Mc Grew-Hill.
- Shim, S. Y.,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s of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2), 1-12. https://doi.org/10.1177/0887302X9401200201
- Siegrist, M., Cvetkovich, G., & Roth, C. (2000). Salient value similarity, social trust and knowledge. Risk Analysis, 20(5), 713-719. https://doi.org/10.1111/0272-4332.205064
- Solomon, M. R. (2016).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12th ed.) London, UK: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