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대면 강의 운영 전략: 온라인 창업수업을 중심으로

Analyzing Offline and Online Entrepreneurship Course Outcomes and Remote Education Strategy

  • 이주성 (순천향대학교 융합창업학부)
  • Lee, Joosung (Enterpris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 투고 : 2022.07.27
  • 심사 : 2022.08.16
  • 발행 : 2022.09.30

초록

Distance learning has become an efficient tool and is being widely used at work and in school.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sults of a project-oriented entrepreneurship course taught both in classroom and online for a period of 3 year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Despite the various challenges, the outcome demonstrated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attain required knowledge and capabilitie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s such, this paper discusses effective ways to blend in distance learning components so that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benefit from Internet-based education technologies. In the future, both face-to-face and virtual project work and study are likely to get integrated into a 'hyflex' class, which is flexible, on-offline educ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순천향대학교 연구논문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번호-20221121).

참고문헌

  1. 계보경 외(2021). 메타버스(Metaverse)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교육부(2020). 일반대학 1학기 원격수업 관련 설문조사. 영남대고등교육중점연구소.
  3. 교육부(2022.02.17). 일반대학도 '온라인 석사과정' 운영 ...교육부, 7개 학위과정 승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9062에서 얻음.
  4. 권성연(2011).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7(3), 535-560.
  5. 권순정(2020). 코로나19 이후 교육의 과제 : 재조명되는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학교의 역할. 서울교육, 239호.
  6. 김문수(2022). 온라인 프로젝트기반 학습모형 적용과 효과: 공학회계 사례. 공학교육연구, 25(2), 13-21. https://doi.org/10.18108/JEER.2022.25.2.13
  7. 김용태(2020). 비대면 온라인창업교육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업 및 창업교육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4(1), 160-179.
  8. 나영준(2021). 에듀테인먼트를 적용한 코로나 시대의 원격강의 동기부여 방법. 제1회 대학 원격교육 우수사례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서윤경 외(2020).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16(3), 83-94. https://doi.org/10.17662/KSDIM.2020.16.3.083
  10. 신금수.김동식(2021). 3-Way 하이브리드 실험실습강의시스템 구축을 통한 뉴노멀 블렌디드 교육 혁신. 제1회 대학 원격교육 우수사례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421.
  12. 이보경(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13. 이승환(2021). 2학기 앞둔 대학생들, '실험·실습 수업은 대면, 이론은 비대면' 선호. e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367에서 얻음.
  14. 이용상.신동광(2020).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39-57.
  15. 이용성(2021). 실시간 화상수업을 위한 메타버스(게더타운) 활용. 제1회 대학 원격교육 우수사례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6. 이영희.박윤정.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열린교육연구, 28(3), 211-234.
  17. 이종찬(2021). 메타버스를 통한 순천향대학교 '피닉스 열린 강좌'교육 콘텐츠 개발 사례. 제1회 대학 원격교육 우수사례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8. 최주철(2015). 온라인 창업교육이 글로벌 창업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통상정보연구, 17(3), 59-70. https://doi.org/10.15798/KAICI.17.3.201509.59
  19. 최회명.이동훈(2021). 대규모 원격캠프 운영 사례 및 최적 실시간 화상강의 플랫폼 구축. 제1회 대학 원격교육 우수사례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 현선해.서문교(2017). 온라인 창업교육의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학습 기대 감의 매개효과 연구. 벤처창업연구, 12(5), 79-87. https://doi.org/10.16972/APJBVE.12.5.201710.79
  21. 황지영(2017). 팀 프로젝트 기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2. Fayolle, A., Gailly, B. & Lassas-Clere, N.(2006). Assess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s : A New Methodolog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30(9), 701-720. https://doi.org/10.1108/03090590610715022
  23. Gallagher, S. & Palmer, J.(2020). The Pandemic Pushed Universities Online. The Change Was Long Overdue.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 29.
  24. Garrison, D., Anderson, T. & Archer, W.(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9(3), 133-148.
  25. HolonIQ(2020). $4.5B Global EdTech Venture Capital for 1H 2020. New York.
  26. Kalenzi, C., Back, D., & Yim, M.(2020.11.13). The future of online education: Lessons from South Korea. World Economic Forum. https://www.weforum.org/agenda/2020/11/lessons-from-south-korea-on-the-future-of-online-education/에서 얻음.
  27. Kassean, H. et al.(2015).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need for reflection, real-world experience and 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 Research, 21(5), 690-708. https://doi.org/10.1108/IJEBR-07-2014-0123
  28. KUPC(2018). 온라인에서 펼쳐지는 고려대학교 혁신 강의 NeMo.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upride@logNo=221427392773에서 얻음.
  29. Li, C. & Lalani, F.(2020.04.29).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education forever: This is how. World Economic Forum. https://www.weforum.org/agenda/2020/04/coronavirus-education-global-covid19-online-digital-learning/에서 얻음.
  30. Liguori, E. & Winkler, C.(2020). From Offline to Onlin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edagogy, April, 1-6.
  31. Neck, H. M., Greene, P. G. & Brush, C. G.(Eds.)(2014). Teaching entrepreneurship: A practice-based approach. Edward Elgar Publishing.
  32. Pihie, Z. & Sani, A.(2009). Exploring the Entrepreneurial Mindset of Students: Implication for Improvemen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at University.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al Research, 8(2), 340-345.
  33. Singh, S. S., Sen, R. & Borle, S.(2022). Online Training of Salespeople: Impact, Heterogeneity, and Spillover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9(1).
  34. UNICEF(2020.06.02). Education and COVID-19. https://data.unicef.org/topic/education/covid-19에서 얻음.